목차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2.문헌고찰
Ⅱ.본론
1.간호사정
2.간호문제
3.간호진단
Ⅲ.결론
<참고문헌>
1.연구의 필요성
2.문헌고찰
Ⅱ.본론
1.간호사정
2.간호문제
3.간호진단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잘 생긴다. 뇌의 중심에 있는 작은 관통 동맥에 아주 작은 혈전이 생겨서 거기에 작은 경색이 오는, 대개 1.5cm 이하의 작은 경색이다.
4)치료
딱히 이렇다고 말할 치료는 없다. 사람마다 경색의 종류나 위치, 크기 등이 다르므로 치료법도 이에 따라서 달라진다. 식생활 조절과 운동을 병행하면서 약물을 사용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뇌경색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예방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환자가 원래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의 질병을 갖고 있었다면 이에 대한 치료도 이루어 져야한다.
약물요법: 헤파린이나 와파린 같은 항응고제나 혈전 용해제, 항혈소판 제제를 쓸 수도 있다.
수술요법: 외과적인 수술 방법으로는 내경동맥을 열어서 그 속의 물질을 떼어내는 내경동맥 내피제거술이 있고, 막힌 부분과 주위의 정상 혈관을 이어주는 회로 단락술을 하기도 하며, 뇌압이 너무 높으면 응급으로 두개골을 열고 감압술을 할 수도 있다. 혈관 조영술을 하면서 막힌 부분에 카테터를 통해서 혈전 용해제를 넣어서 혈전을 직접 녹인다.
5)예방
위험인자와의 접촉을 줄인다.
고혈압, 고지질혈증이 있는지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다.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제한한다.
금주, 금연, 운동요법으로 예방한다.
Ⅱ.본론
1.간호사정
1)개인력
성명
박○○
연령
59
성별
F
주소
창원시 남양동 개나리 3차 306-1501
결혼상태
기혼
종교
기독교
직업
자영업(세탁소)
학력
고졸
입원일
2008.09.25
진단명
뇌경색(뇌간경색)
정보제공자
환자본인
2)현병력
2008년 9월 25일. 일주일 전부터 dizziness, headache, nausea, vomiting, Rt. arm powerless, 안구통과 함께 앞이 깜깜하고 안보이는 Sx으로 입원.
3)과거력
2005년 5월 25일 뇌경색 초기 발병하였고, vomiting, dizziness 심해 작년까지 파티마병원과 태봉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4)간호력
(1)건강관리 양상
건강유지- 운동(수영, 걷기)
(2)영양-대사 양상
평상시 섭취 음식- 야채, 생선을 많이 섭취함.
질병으로 인한 식생활의 변화- 육미 못 먹고, 야채나 생선, 익힌 것을 많이 먹음.
(3) 활동과 휴식 양상
움직이는데 어려움- 오른쪽 편마비로 인해, 오른쪽 다리가 뻣뻣하고 끌림.
폴대잡고 걷지 않으면 옆으로 쏠림.
실제 활동정도- 화장실갈 때 외에는 특별한 활동없음.
현재 하루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나-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옛날을 상상하며 보냄.
(4)역할관계 양상
대상자의 입원으로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시간적 문제
(5)인지-지각 양상
자신의 질환, 건강팀, 치료에 대한 생각- 의료인의 말을 잘들어야 병이 빨리 낳을 것
이라고 생각함.
(6)기타
최근 생활에 위기- 9월 25일에 병원에 입원할때까지 상황의 심각성을 모르고 병원에
왔는데, 병명을 보고나서 ‘위험했구나! 이정도일줄이야..’ 생각함.
6)각 기관별 사정
일반상태
활력징후: 입원시 110/70-68-20-36으로 현재까지 큰 변화는 없다.
신장: 157cm
체중: 59kg
체중변화(+) 몇일 사이 2~3kg 불었음
눈
시력(+)
구강
미각(+), 의치(+)
목
연하곤란(+) 입원당시 연하곤란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없는 상태.
근골격계
부종(+) 얼굴, 몸이 부음
강직(+) Lt.편마비
신경계
두통(+), 어지러움(+)
혈액
출혈(+) 몇일 전 휴지 두 장 축축히 젖을 정도의 코피 흘렸음.
7)진단검사
검사명
검사목적
정상범위
결과
결과의 해석
ESR
염증성, 악성질환을 모니터하기 위해
0~20mm/1hrs
▲ 28
염증반응의 결과
monocyte
단핵구.
Glucocorticoid사용시 감소할 수 있음
4~10%
▽ 3.9
Alkaline
phosphatase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쪽이 증가함.
42~128IU/dl
▲ 154
Chloride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조절하는 전해질로서 산염기 불균형의 측정, 체액의 상태의 평가를 위해 측정함.
98~110mEq/L
▲ 111
증가 : 탈수, 호흡성알카리증, 대사성 산증
감소 : 수분과잉, 소화액 상실, 이뇨제사용
검사명
검사목적
결과
MRI
자기 공명 영상촬영.
뇌혈관 질환, 척추 디스크질환, 관절 질환, 전립선 질환, 자궁경부암, 유방암등의 진단을 위하여
Multiple small patchy nodular increased signal intensity lesions at the SCWM areas of the bifrontal lobes in the T2WI and FLAIR axial images are noted.
Focal increased SI at the anterior central area of left side of pons is noted.
Impression:
①Unidentified bright objects at the PVWM and SCWM -- R/O Small vessel disease
②Focal ischemic infarction at the left side of pons
③Mild sinusitis at the esthmoid sinuses
Rec) F/U
MRA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
중추 신경계 질환, 골격계 질환, 심 혈관계 질환 등의 진단을 위하여
1.R/O Luminal narrowing at the left A1 portion
2.R/O Luminal narrowing at the suprasellar cavernous portions of both ICAs
Rec) F/U
8)치료 및 경과
처방일
약/주사명
분류
효능/효과
2008.09.30
Normal saline 1L
정주용&
기타 멸균용제
수분/전해질 결핍시 보급,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Urokinase inj.
10만 iu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섬유소용해제
(혈전용해제)
뇌혈전증·뇌경색, 말초 동·정맥폐색증, 급성심근경색, 폐색전증
2008.10.10
Neuromed inj. 1g
뇌기능개선제
*뇌기능부전에 의한 기질성 뇌증후군: 기억력
4)치료
딱히 이렇다고 말할 치료는 없다. 사람마다 경색의 종류나 위치, 크기 등이 다르므로 치료법도 이에 따라서 달라진다. 식생활 조절과 운동을 병행하면서 약물을 사용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뇌경색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예방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환자가 원래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의 질병을 갖고 있었다면 이에 대한 치료도 이루어 져야한다.
약물요법: 헤파린이나 와파린 같은 항응고제나 혈전 용해제, 항혈소판 제제를 쓸 수도 있다.
수술요법: 외과적인 수술 방법으로는 내경동맥을 열어서 그 속의 물질을 떼어내는 내경동맥 내피제거술이 있고, 막힌 부분과 주위의 정상 혈관을 이어주는 회로 단락술을 하기도 하며, 뇌압이 너무 높으면 응급으로 두개골을 열고 감압술을 할 수도 있다. 혈관 조영술을 하면서 막힌 부분에 카테터를 통해서 혈전 용해제를 넣어서 혈전을 직접 녹인다.
5)예방
위험인자와의 접촉을 줄인다.
고혈압, 고지질혈증이 있는지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다.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제한한다.
금주, 금연, 운동요법으로 예방한다.
Ⅱ.본론
1.간호사정
1)개인력
성명
박○○
연령
59
성별
F
주소
창원시 남양동 개나리 3차 306-1501
결혼상태
기혼
종교
기독교
직업
자영업(세탁소)
학력
고졸
입원일
2008.09.25
진단명
뇌경색(뇌간경색)
정보제공자
환자본인
2)현병력
2008년 9월 25일. 일주일 전부터 dizziness, headache, nausea, vomiting, Rt. arm powerless, 안구통과 함께 앞이 깜깜하고 안보이는 Sx으로 입원.
3)과거력
2005년 5월 25일 뇌경색 초기 발병하였고, vomiting, dizziness 심해 작년까지 파티마병원과 태봉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4)간호력
(1)건강관리 양상
건강유지- 운동(수영, 걷기)
(2)영양-대사 양상
평상시 섭취 음식- 야채, 생선을 많이 섭취함.
질병으로 인한 식생활의 변화- 육미 못 먹고, 야채나 생선, 익힌 것을 많이 먹음.
(3) 활동과 휴식 양상
움직이는데 어려움- 오른쪽 편마비로 인해, 오른쪽 다리가 뻣뻣하고 끌림.
폴대잡고 걷지 않으면 옆으로 쏠림.
실제 활동정도- 화장실갈 때 외에는 특별한 활동없음.
현재 하루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나- 눈이 잘 보이지 않아 옛날을 상상하며 보냄.
(4)역할관계 양상
대상자의 입원으로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시간적 문제
(5)인지-지각 양상
자신의 질환, 건강팀, 치료에 대한 생각- 의료인의 말을 잘들어야 병이 빨리 낳을 것
이라고 생각함.
(6)기타
최근 생활에 위기- 9월 25일에 병원에 입원할때까지 상황의 심각성을 모르고 병원에
왔는데, 병명을 보고나서 ‘위험했구나! 이정도일줄이야..’ 생각함.
6)각 기관별 사정
일반상태
활력징후: 입원시 110/70-68-20-36으로 현재까지 큰 변화는 없다.
신장: 157cm
체중: 59kg
체중변화(+) 몇일 사이 2~3kg 불었음
눈
시력(+)
구강
미각(+), 의치(+)
목
연하곤란(+) 입원당시 연하곤란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없는 상태.
근골격계
부종(+) 얼굴, 몸이 부음
강직(+) Lt.편마비
신경계
두통(+), 어지러움(+)
혈액
출혈(+) 몇일 전 휴지 두 장 축축히 젖을 정도의 코피 흘렸음.
7)진단검사
검사명
검사목적
정상범위
결과
결과의 해석
ESR
염증성, 악성질환을 모니터하기 위해
0~20mm/1hrs
▲ 28
염증반응의 결과
monocyte
단핵구.
Glucocorticoid사용시 감소할 수 있음
4~10%
▽ 3.9
Alkaline
phosphatase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쪽이 증가함.
42~128IU/dl
▲ 154
Chloride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조절하는 전해질로서 산염기 불균형의 측정, 체액의 상태의 평가를 위해 측정함.
98~110mEq/L
▲ 111
증가 : 탈수, 호흡성알카리증, 대사성 산증
감소 : 수분과잉, 소화액 상실, 이뇨제사용
검사명
검사목적
결과
MRI
자기 공명 영상촬영.
뇌혈관 질환, 척추 디스크질환, 관절 질환, 전립선 질환, 자궁경부암, 유방암등의 진단을 위하여
Multiple small patchy nodular increased signal intensity lesions at the SCWM areas of the bifrontal lobes in the T2WI and FLAIR axial images are noted.
Focal increased SI at the anterior central area of left side of pons is noted.
Impression:
①Unidentified bright objects at the PVWM and SCWM -- R/O Small vessel disease
②Focal ischemic infarction at the left side of pons
③Mild sinusitis at the esthmoid sinuses
Rec) F/U
MRA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
중추 신경계 질환, 골격계 질환, 심 혈관계 질환 등의 진단을 위하여
1.R/O Luminal narrowing at the left A1 portion
2.R/O Luminal narrowing at the suprasellar cavernous portions of both ICAs
Rec) F/U
8)치료 및 경과
처방일
약/주사명
분류
효능/효과
2008.09.30
Normal saline 1L
정주용&
기타 멸균용제
수분/전해질 결핍시 보급,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Urokinase inj.
10만 iu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섬유소용해제
(혈전용해제)
뇌혈전증·뇌경색, 말초 동·정맥폐색증, 급성심근경색, 폐색전증
2008.10.10
Neuromed inj. 1g
뇌기능개선제
*뇌기능부전에 의한 기질성 뇌증후군: 기억력
추천자료
사례연구의 개요 내담자에 대한 기초조사 상담 개요 상담의 결과 사례연구의 어려움 및 반성점
정책사례연구 - 한국전력 구조개편과 민영화
국제합작투자연구사례
감성마케팅의효과와활용사례연구
감성마케팅의_효과와_활용사례_연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청소년기 특징, 청소년기 발달과정, 실천사례, 사례연구에 관한 보고서
[평생교육방법론]체험적 교육방법 교수-학습기법의 사례와 분석 - 미술 치료 사례연구-
[평생교육방법론]체험적 교육방법 교수-학습기법의 사례와 분석 - 미술 치료 사례연구-
단일사례연구에 있어서 자료 기록방법은 조사 실시 전에 미리 결정되어야 하고 표준화된 양식...
단일사례연구설계
경영전략사례연구 종합정리 (휘센,딤채,타이어뱅크,하이마트,이케아,질레트,페덱스,코닥,제록...
물류기업의 윤리경영 성공,실패 사례분석 (신세계,금호아시아나,현대글로비스 윤리경영 사례...
추천자료[놀이치료 Play teraphy] 놀이치료 개념, 놀이치료 필요성, 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