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DMM>
<Function generator 및 Oscilloscope 사용하기>
축전기(저항과의 위상 관찰)
※ 실험에 대한 토의
<Function generator 및 Oscilloscope 사용하기>
축전기(저항과의 위상 관찰)
※ 실험에 대한 토의
본문내용
위상차가 없는 것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저항과 축전기 그래프에서는 둘 다 위상차가 발생하였다. 저항에서의 위상차는 실험자의 예상으로 발생하지 않았어야 하지만 앞에서 밝힌 오차의 원인처럼 도선 내의 내부 저항이나 회선의 문제로 위상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축전기에서의 위상차를 쉽게 설명하자면 축전기에 전류가 흐를 때는 저항처럼 바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축전기의 양극판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극에서 -극으로 갈 때 충전시간이 발생하므로 그만큼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위상차가 만큼 나야하는데 그래프 확인결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과Report
<2008일반전자 공학 실험>
Elvis 사용법 익히기
결과Report
<2008일반전자 공학 실험>
Elvis 사용법 익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