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의 봉인과 스웨덴 예술영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7의 봉인과 스웨덴 예술영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스웨덴 영화사와 거장 잉마르 베리만
1-1. 스웨덴 영화의 역사
1-2. 잉마르 베리만

2. 제7의 봉인
2-1. 제 7의 봉인과 스웨덴영화사에서의 위치
2-2. 제 7의 봉인 줄거리
2-3. 제 7의 봉인으로 보는 종교와 신의 존재

3. 결론

본문내용

베리만감독의 타계 뉴스를 본적이 있었다. 그리고 우연히 입수하게 된 <제7의 봉인>이 베리만감독의 작품이란 것을 알았고 이번기회에 감상하고 이런 감상문까지 쓰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영화는 시작부터 신의 존재에 대해서 논한다. 죽음이 계속 등장하기는 하지만 그도 신의 존재에 대해 확답을 해 주지는 못한다. 신의 존재에 대해 확신할 수 있는 누군가가 있을까. 하지만 죽음이 존재한다는건 확실하다. 눈 앞의 죽음을 부정하고 신을 찾는다는건 계속되는 고뇌의 고통일지도 모른다. 종교가 하나의 집단이자 단체로 전락해 영향력이 감소해가는 현대에도 여전히 신에 대한 담론은 뜨겁다 못해 무섭다. 한국은 몇 해 전부터 종교에 대한 맹목적인 신앙과 극에 달한 무신론적 반발감이 매섭게 충돌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치가 종교에 얽매이고 권력의 수단처럼 인식되면서 기독교 논쟁에 불이 붙기도 했다. 신의 명분하에 온갖 부도덕한 만행을 저지르는 자들을 보면서 신의 존재 자체에 의심이 들 때도 있다. 그들은 신이 아닌 신의 사도를 자처하며 신을 모욕한다. 리처드 도킨스처럼 종교를 악으로 규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 종교란 굴레에 대해 어떤 회의감이 드는 것은 근본적인 허무함이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신이 있다면 세상의 부정과 부조리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신이 침묵하는 것은 그가 무능하기 때문인가 아니면 사악하기 때문인가.
이것은 근본적으로 종교를 믿는 자들의 고민이다. 종교를 접하지 않고서는 결코 신의 존재에 대해 고민할 수가 없다. 신에 대한 담론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지만 그의 존재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은 종교의 영역이다. 신에 대해 부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신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신을 믿는 자들은 끝도 없는 고민에 시달려야 한다. 논리를 종종 무시해야 하고 당연하지 않은 것도 합리화시키지 않으면 스스로의 존재자체가 곤란해진다. 신의 존재에 대한 고민은 자기자신의 생존이유와도 동일한 것이다.
“흑사병이 종교적광기와 뭐가 다를것인가”
블로크는 끈질기게 객관적인 의미를 추구하며 의구심을 품는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유신론자임을 포기하지 않는다. 만일 그렇게 되면 십자군전쟁을 참가했던 지난 세월 모두를 부정하는 것이 되어버리고 그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이미 종교는 그만큼 무언의 믿음을 우리에게 강요하고 있다. 마치 믿지 않으면 자신의 인생을 무가치하게 만들만큼.
인물 중 기사와는 비슷하면서도 대립되는 인물인 광대 요프가 나온다. 그의 부인 미아는 그런 것 따윈 안중에 없는 세속적인 인물이고 요프는 신을 보기도 하며 신을 믿어 의심치 않는 인물이다. 중세는 아기대신 말이 태어났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았던 시대였고 흑사병이라는 두려움은 서로가 서로를 자학하는 속죄의식 혹은 마녀사냥 등의 왜곡된 행동으로 두려움을 배출하기도 했다. 그런 그들은 심지어 신의 경외심과 두려움에 자신보다는 우습다고 생각되는 광대를 집단적 광기에 휩싸여 그를 웃음거리로 전락시키며 마음의 위로를 얻는 비겁한 행위를 해버리기도 한다. 자신보다 약한자를 따돌림으로써 얻는 카타르시스에 그들은 흑사병의 두려움을 날려버리고 있었던 것이다.
블로크 일행은 가는 도중 광대 부부를 만나고 그들은 만나 자연을 통해 잠시 마음의 안식을 얻기도 하지만 그 순간도 죽음은 가만두지 않는다. 블로크는 심지어는 마녀사냥 당한 소녀에게 다가가 신을 보았냐며 다급하게 묻지만 그녀는 알 수 없는 대답뿐이다. 그녀를 통해 신을 느끼기는 커녕 더욱 신이 없음을 절감 하게된다. 그들 일행은 어찌되었든 결국은 비극적인 결말을 맡게된다. 그것이 비극인 이유는 그가 자신의 곤경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1.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5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