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경영전략 분석
5. 향후 개선방안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경영전략 분석
5. 향후 개선방안
본문내용
지는 높은 품질의 기능성이 있는 제품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코오롱 스포츠의 아웃도어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가 코오롱 스포츠의 경쟁우위임을 나타낸다. 등산복과 같은 아웃도어 웨어의 구매장소 선호도는 상설점이었다. 현재 코오롱 스포츠의 매출액 중 판매망별 구성비는 직영점 6.43%, 대리점 35.38%, 백화점 47.87%, 상설점 10.32%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코오롱 스포츠의 상설점 유통망의 비중이 타 브랜드보다 높다는 점이다. 상설점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잘 파악한 판매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망 역시 코오롱 스포츠의 경쟁우위이라고 할 수 있다.
5. 향후 개선방안
(1) 윤리의식 재고
공정한 입장에서 가맹점 주들과의 마찰을 해결하고 가맹점의 사기 증진을 위한 경영자의 윤리의식 재고가 필요하다. 또 실추된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이미지 광고 등 대책이 요구된다.
(2) 브랜드 통합
타사에 비해 많은 브랜드로 인해 기업 인지도 저해의 우려가 있다. 앞으로 브랜드 통합과 집중/선택이 필요하다. 제일모직은 명실상부한 국내 의류 업계 제 1위로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들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빈폴을 세부적으로 나눠서 브랜드 개수를 늘리고 있는데(19개중 6개가 빈폴)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빈폴’이라는 통합브랜드가 확실히 각인 될 것이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코오롱도 소비자들에게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브랜드 수를 줄이는 것이 좋지만 그것이 힘들다면 가장 유명한 브랜드 위주로 통합해서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확실하게 각인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다양한 특색을 가진 브랜드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대표 브랜드의 육성에 더 힘을 써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3) 인지도 개선
기업이미지 개선을 위한 광고 대상에 변화를 주거나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동종 타사에 비해 단조로운 홈페이지를 디자인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개편하는 것이 요구되어 진다.
(4) 경쟁력 있는 자체 브랜드 개발
자체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수입상품과 국내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도 글로벌화 중 하나이다. 또한 수입브랜드로 입지가 좁아진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진출을 해야만 하는데 이를 성공적으로 해내기 위해서는 자국 내에서 강력한 브랜드 파워, 세계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상품력과 통일된 브랜드 컨셉, 마케팅 능력, 그리고 이를 믹스해 메뉴얼화 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가 필요하다.
(5) 필요 없는 업무량 줄이기, 직원들의 사기/복리 증진
직원들의 사기 증진을 위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여야 한다. 기업의 개선점이나 직원들의 평생 학습을 위해 독서경영(월 3회씩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 내는 것)이라는 것의 취지는 좋지만 부수적인 많은 업무량으로 인해 그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 현장 업무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횟수를 줄이거나 의무가 아닌 인센티브를 주는 쪽으로 해서 개선이 필요한 듯 보인다. 또한 직원들의 복리증진을 위한 회사 차원에서의 배려가 필요하다. 직원들에게 휴식을 주는 제도 혹은 사원의 휴식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다.
<참고자료>
www.koloncorp.com
www.kolonsport.co.kr
www.fik.com
www.fashionchannel.co.kr
www.fashionbiz.co.kr
www.kaia.or.kr
www.samsungdesign.net
www.koreaherald.co.kr
www.ddaily.co.kr
www.mk.co.kr
www.hankyung.com
5. 향후 개선방안
(1) 윤리의식 재고
공정한 입장에서 가맹점 주들과의 마찰을 해결하고 가맹점의 사기 증진을 위한 경영자의 윤리의식 재고가 필요하다. 또 실추된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이미지 광고 등 대책이 요구된다.
(2) 브랜드 통합
타사에 비해 많은 브랜드로 인해 기업 인지도 저해의 우려가 있다. 앞으로 브랜드 통합과 집중/선택이 필요하다. 제일모직은 명실상부한 국내 의류 업계 제 1위로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들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빈폴을 세부적으로 나눠서 브랜드 개수를 늘리고 있는데(19개중 6개가 빈폴)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빈폴’이라는 통합브랜드가 확실히 각인 될 것이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코오롱도 소비자들에게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브랜드 수를 줄이는 것이 좋지만 그것이 힘들다면 가장 유명한 브랜드 위주로 통합해서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확실하게 각인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다양한 특색을 가진 브랜드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대표 브랜드의 육성에 더 힘을 써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3) 인지도 개선
기업이미지 개선을 위한 광고 대상에 변화를 주거나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동종 타사에 비해 단조로운 홈페이지를 디자인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개편하는 것이 요구되어 진다.
(4) 경쟁력 있는 자체 브랜드 개발
자체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수입상품과 국내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도 글로벌화 중 하나이다. 또한 수입브랜드로 입지가 좁아진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진출을 해야만 하는데 이를 성공적으로 해내기 위해서는 자국 내에서 강력한 브랜드 파워, 세계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상품력과 통일된 브랜드 컨셉, 마케팅 능력, 그리고 이를 믹스해 메뉴얼화 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가 필요하다.
(5) 필요 없는 업무량 줄이기, 직원들의 사기/복리 증진
직원들의 사기 증진을 위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여야 한다. 기업의 개선점이나 직원들의 평생 학습을 위해 독서경영(월 3회씩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 내는 것)이라는 것의 취지는 좋지만 부수적인 많은 업무량으로 인해 그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 현장 업무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횟수를 줄이거나 의무가 아닌 인센티브를 주는 쪽으로 해서 개선이 필요한 듯 보인다. 또한 직원들의 복리증진을 위한 회사 차원에서의 배려가 필요하다. 직원들에게 휴식을 주는 제도 혹은 사원의 휴식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다.
<참고자료>
www.koloncorp.com
www.kolonsport.co.kr
www.fik.com
www.fashionchannel.co.kr
www.fashionbiz.co.kr
www.kaia.or.kr
www.samsungdesign.net
www.koreaherald.co.kr
www.ddaily.co.kr
www.mk.co.kr
ww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