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김학공전(金鶴公傳)
1. 신분제 동요의 원인과 실상
2. 한문단편과의 비교, 작품의 형성 과정
3. 별선의 부활과 생사관(生死觀)
4. 작가의식
5. 신소설 <탄금대>와의 관계
1. 신분제 동요의 원인과 실상
2. 한문단편과의 비교, 작품의 형성 과정
3. 별선의 부활과 생사관(生死觀)
4. 작가의식
5. 신소설 <탄금대>와의 관계
본문내용
갚음.
채 대신의 편지를 받은 밀양 군수가 주오위장을 처형하려 하자 오히려 만득이 그의 방면을 부탁한다. 복수하기 전에 상대방을 관용으로 대하여 개전의 기회를 줄 것을 강조하고 있다.
(10) - L
별선의 부활
시체의 부상
7. 결 론
가. <김학공전>은 노주(奴主)간의 대립갈등과 복수를 다룬 고소설로 사건의 전개나 구성면에서 특이하다.
나. 이 작품은 납속수직납전면천, 타 신분으로의 모칭 등으로 신분제가 크게 동요되었던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다. 강담사들이 당시 사회 현실에서 취재하여 꾸민 이야기를 한문단편으로 기록되는 한편, 고소설 작가에 의하여 <김학공전>으로 구성된 것이다.
라. 별선의 부활은 최선의 치하와 보상의 방법으로 구성한 것이다. 영육분리의 이원적 사고와 영혼불멸관, 삶과 죽음과 같은 양극적 상황도 바뀌어 순환한다는 순환사고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마. 작자는 모반에 의한 신분해방은 용서하지 않으면서도, 옥향과 춘섬의 속량을 통하여 정당한 절차에 따런 신분의 해방을 지지, 봉건적 신분의식을 비판하였다.
바. 신소설 작가 이해조에 의하여 <탄금대>로 개작도었다.
사. 이해조는 개작하면서 구한말의 윤리의식을 반영하였다.
채 대신의 편지를 받은 밀양 군수가 주오위장을 처형하려 하자 오히려 만득이 그의 방면을 부탁한다. 복수하기 전에 상대방을 관용으로 대하여 개전의 기회를 줄 것을 강조하고 있다.
(10) - L
별선의 부활
시체의 부상
7. 결 론
가. <김학공전>은 노주(奴主)간의 대립갈등과 복수를 다룬 고소설로 사건의 전개나 구성면에서 특이하다.
나. 이 작품은 납속수직납전면천, 타 신분으로의 모칭 등으로 신분제가 크게 동요되었던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다. 강담사들이 당시 사회 현실에서 취재하여 꾸민 이야기를 한문단편으로 기록되는 한편, 고소설 작가에 의하여 <김학공전>으로 구성된 것이다.
라. 별선의 부활은 최선의 치하와 보상의 방법으로 구성한 것이다. 영육분리의 이원적 사고와 영혼불멸관, 삶과 죽음과 같은 양극적 상황도 바뀌어 순환한다는 순환사고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마. 작자는 모반에 의한 신분해방은 용서하지 않으면서도, 옥향과 춘섬의 속량을 통하여 정당한 절차에 따런 신분의 해방을 지지, 봉건적 신분의식을 비판하였다.
바. 신소설 작가 이해조에 의하여 <탄금대>로 개작도었다.
사. 이해조는 개작하면서 구한말의 윤리의식을 반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