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나비엔의 마케팅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동나비엔의 마케팅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기업선정이유

Ⅱ 본 론
1. 기업분석
2. 산업분석
3. 제품분석
4. 마케팅분석
4-1 SWOT 분석
4-2 경동나비엔 4P's
4-3 경쟁사 4P's
4-4 STP전략
4-5 CRM 분석

Ⅲ 결 론
1. 추천전략

Ⅳ 참고자료

<그림 목 차>
1-3 경동나비엔의 조직도
2-1 보일러의 난방작동원리와 온수작동원리
2-2-(1) 실내난방방식의 변화
2-4-(1) 기름보일러의 연도별 생산량 추이
3-1-(1) 경동나비엔의 제품종류
3-1-(4) 콘덴싱보일러와 일반보일러의 열효율비교
3-1-(4) 콘덴싱보일러와 일반보일러의 가스비절감 비교
3-1-(4) 경동나비엔콘덴싱보일러의 열효율성
3-1-(4) 실사용열효율 비교
3-1-(4) 경동나비엔콘덴싱보일러의 ASA시스템
3-1-(4) 콘덴싱보일러와 일반보일러의 온도계비교
3-1-(4) 경동나비엔콘덴싱보일러의 스테인레스 열교환기
3-4-(1) 경동나비엔의 지속가능경영
3-4-(1) 경동나비엔의 환경경영활동
3-4-(2) 이상기후현상
3-4-(2) 콘덴싱보일러와 일반보일러의 LCA과정
3-4-(2) 콘덴싱보일러의 응축수과정
4-3-(3) 경동나비엔과 귀뚜라미의 포지셔닝
4-2-(2) 귀뚜라미보일러의 송.배풍 이중방식구조
4-4-(2) 경동나비엔의 서비스센터 소개

<표 목 차>
1-2 경동나비엔의 연혁도
2-3-(3) 매출액기준 시장점유율
2-3-(4) 제품만족도와 상품충성도 관계
2-4-(1) 기름보일러의 뚜렷한 사양화
3-2 국내 콘덴싱 보일러의 보급과정
3-3 콘덴싱보일러의 설치순서
3-4-(2) 온실가스의 종류
3-4-(2) 해외 선진국의 콘덴싱보일러 법제화 과정
4-1 SWOT분석
4-2-(1) 경동나비엔의 제품분석
4-2-(2) 경동나비엔 일반가스보일러의 설치가격
4-2-(2) 경동나비엔 콘덴싱가스보일러의 설치가격
4-2-(2) 귀뚜라미의 제품분석

본문내용

CA
현재 경동나비엔의 콘덴싱보일러 같은 경우는 각 협력업체들에게 부품들을 받아
조립하는 식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과정상의 환경적 요인을 말하기는 조금 곤란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제조, 유통, 소비, 폐기 이러한 제품의 단계에서 경동나비엔은 소비 부분에서의 환경적 부분을 최소화에 모든 초점을 맞춘다고 보아야 한다. 즉 소비자가 보일러를 쓸 때 얼마나 CO2를 적게 발생시킬 수 있는가를 체크하는 것이 중점적이다.
< 일반보일러 >
여러 가지 고온의 배기가스를 공기중으로 배출

배출된 CO2는 온난화물질로서 지구온도를상승

배출된 대기오염물질들은 산성비를 내려
환경을 오염시킴

광범위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을 유발
자연과 생활환경, 인체에 해를 끼침
<나비엔콘덴싱보일러>
소량의 고온의 배기가스를 공기중으로 배출

응축수를 발생시킴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들을 미연에 방지

배출된 응축수는 알칼리 생활하수와섞여
수질오염개선효과
결론 : 이렇듯 경동나비엔의 콘덴싱보일러는 소비자의 보일러사용과정에서 응축수를 미리 발생시킴으로써 방출되는 대기오염물질들을 미연에 방지할뿐더러 수질오염개선의 효과까지 가져다줄 수 있다. 이러한 콘덴싱보일러 1대는 년간 467kg의 CO2를 줄여줌으로써 소나무 168그루를 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응축수배출의 효과>
*응축수란.?
- 응측수란 자체의 온도와 외부온도 차이에 의해 생기는 수분으로 냉장고, 에어컨 등 이미 집 내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만들어지는 물을 뜻한다.
- 수증기 상태에서 이슬점 이하로 온도가 변화했을때 생기는 현상으로 이 현상이 바로
콘덴싱 이다.
*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과정
- 콘덴싱 보일러는 잠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미리 발생시킴으로써 일반 보일러에 비해 낮은 배기가스 온도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잠열 이용에 따라 실사용 효율은 일반보일러 대비 최고 16%이상 높아지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도 응축수에 녹여 배출하게 되므로 오염물질 발생은 물론 배출도 최소화하게 된다
② 콘덴싱보일러의 폐기과정중의 LCA
- 설치후 폐보일러 수거
<4> 마케팅분석
<4>-1 S W O 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1. 네덜란드 기업과 기술제휴로 인한
콘덴싱 가스 보일러의 기술 뛰어남
(국내 콘덴싱가스보일러부문 1위)
2. 디자인의 고급화로 소비자의 호응
3. 중국, 카자흐스탄, 러시아 등 활발한
해외진출( 특히 중국내 현지법인1위)
4.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효,PPL)으로 제품인지도를 높임
5. 업계에서 유일한 환경마크 획득
6. 환경을 제일 먼저생각하는 친환경이미지로 자리매김
1. 현재 대부분의 보일러가 시공업체에 의해 선택되어 설치되는 구조
2. 1위기업에 뒤쳐지는 자체기술력
3. 브랜드인지도2위, 시장점유율2위.
4. 더이상효심은마케팅의차별화가못되므로새로운전략요구
5. 3사중 가장 부족한 서비스센터의 수
6. 소비자들에게 A/S가 약함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1.환경변화(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의식 성장
2.소비자의 인식변화,환경적이미지가 곧 기업의 이미지가 되는 사회적 분위기
3.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로 인한 우위성
4.친환경 아파트 건설에 따른 정부지원정책
5.에너지고갈에 대한 에너지절감인식 확산
6. 현재 홈네트워크의 부상
1. 동종업계(롯데,대성)의 공격적이고 활발한 경영전략추진으로 경쟁치열예상
2.소비자의 환경의식부족(가격먼저중요시)
3.현 정부의 지원정책 부족(다른나라는 콘덴싱 보일러에 대한 정부 지원금 有)
4. 국제유가 인상, 원자재 가격 인상
5. 국내경기 부진으로 인한건설경기위축
그로인한 신규수요가 낮을 것
(참고자료....)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제: 2002년 2월16일 최저소비효율제를 도입키로 하고 최저소비효율 기준을 72%에서 80%로 상향했다. 또 효율측정은 가스안전공사의 정밀검사성적서를 적용키로 했다. 최저효율 80%를 기준으로 각 등급별 2%의 효율차를 둬 86% 이상을 1등급으로 총 4단계로 등급 부여기준이 정해졌다. 시행은 2003년 1월1일부터였다.
2003년 5월에는 제조사별 자발적으로 효율을 표시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돼 종전의 측정열효율만 표시하던 효율등급제도에 측정열효율과 제조사 표시열효율을 동시에 표시토록 했다.
올해는 가정용 가스보일러를 일반보일러(84%)와 콘덴싱보일러(87%)로 효율등급 이원화와 대기전력 기준을 도입키로 하고 내년 1월1일부터 시행할 예정으로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이 제시한 ‘가정용 가스보일러 등급표시 기준(안)’에 따르면 일반보일러의 1등급 기준은 표시난방열효율 84% 이상, 대기전력 3W 이하이며 나머지 2~5등급까지는 대기전력 기준은 없고 등급별 1.3%의 열효율 격차를 두기로 했다. 콘덴싱보일러의 1등급은 87% 이상, 대기전력 3W 이하이며 나머지 2~5등급은 대기전력 기준은 없고 등급별 2.3%의 열효율 격차를 두기로 했다.
고효율기자재로 가정용 가스보일러가 지정된 것은 1999년 8월7일 ‘고효율기자재 보급 촉진에 관한 규정’에 의해 이뤄졌다. 이후 2000년 9월28일 열효율범위를 고위발열량 기준(82%)으로 조정해 일반보일러에 콘덴싱보일러(87%)를 추가해 열효율 기준을 정했으며 시행시기는 2001년 1월1일이었다.
2002년 9월16일에는 일반보일러의 경우 기술기준을 총발열량 82%에서 84%로 적용, 2004년 7월1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이후 2003년 3월12일 정밀검사 성적서에 따라 효율값을 제조자가 표시토록 했으며 시행은 2003년 5월1일부터 적용됐다.
2004년 6월30일 당초 일반보일러의 총발열량 기준을 84%로 인상키로 했으나 안전성 문제로 인해 2년간의 유예기간을 두기로 하고 2007년 7월1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4>-2 4P 분석
1. 제품 (Product)
1) 일반가스보일러
모델명
표준형 ACE II
특징
*스테인리스 열교환기 사용 - 부식없이 오래사용가능
*3단계 맞춤온수기능
*순간식 비례제어기능 - 빠르게 물을 데워 가스비낭비를 줄이고
불꽃의 크기를 조절하여 가스를 사용해 가스비를 줄임
*1℃
  • 가격2,5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0.01.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