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성장전략
■ 방어전략
■ 원가우위전략
■ 차별화전략
■ 초점전략
■ 방어전략
■ 원가우위전략
■ 차별화전략
■ 초점전략
본문내용
품을 뺀 사업모델로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다. 우선 브랜트 명칭을 이름난 들어도 바로 무슨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인지 떠올릴 수 있도록 ‘더페이스샵’(the face shop)으로 정했다. 화장은 얼굴에 하는 것인 만큼 얼굴과 관련된 모든 것을 파는 가게라는 뜻이다. 몸과 관련된 모든 제품을 판다는 이미지를 지닌 ‘바디샵’이라는 해외 유명 목욕용품 브랜드를 벤치마킹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웰빙 열풍으로 자연 친화적인 제품이 통할 것으로 판단해 꽃·과일·곡물 등 식물성 재료에서 추출한 원료로 화장품을 만들고, 제품의 특성인 ‘자연주의’를 브랜드 컨셉트로 잡는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렇게 1000원짜리 립스틱, 3000원대 로션과 크림으로 출범 첫해에 매출 1000억원의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http://blog.naver.com/hongjig/140007406739
■ 차별화전략
1. 아마존(Amazon)
- 1990년대 초반 인터넷 등장에 매료된 베조스는 앞으로 인터넷을 통한 판매가 급증하리라고 예상하고 인터넷 판매가 가장 적당한 제품이라고 평가하고 인터넷 서점 아마존 (Amazon.com)을 창업했다. 서적은 종류가 엄청나게 많아서 아무리 큰 서점이라도 모두 진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대형t점을 방문한 고객이 자신이 원하는 책을 빨리 찾기도 어렵다. 아마존은 전통적 서점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진열서적의 수를 무한대로 늘릴 수 있고, 공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진열서적의 수를 무한대로 늘릴 수 있고,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책은 품질을 중요시하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판매한다고 해서 구매자가 특별히 불리할 이유가 없다. 처음에는 100만 종으로 출발했지만 얼마되지 않아 310만 종으로 책 종류를 늘렸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서점의 15배 규모이다. 1997년 1분기 매출액은 1600만 달러를 넘어섰다. 그해 5월 나스닥에 상장되었고 시장가치는 5억 6000만 달러에 이르렀다.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 P.29~P.92((주)북21, 2003, 저자 김병도)
2. 스타벅스
- 1980년대에 이르기 전까지 미국에서 커피는 비용전감을 최우선시하여 제조되었다. 품질과 향을 무시하고 값싼 원두를 섞어서 캔에 담았으며, 커피가 찌들때까지 고객에게 판매했다. 1971년 시애틀에 처음 점포를 오픈한 스타버스는 이러한 저질 커피 시장에서 탈피해 소수의 커피 애호가들이 집에서 만들어 마시는 고급커피를 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7년 스타 벅스 매장은 17개, 그러나 1990년 84개, 1995년 676개, 2000년 3,300개, 2002년 7월말 5,689개로 비약적인 확장을 거듭해 왔다. 스타벅스는 기존의 커피를 풍미있는 고급커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삼고 제품 차별화에 노력을 기울렸다. 이를 위해 스타벅스는 최고급 원두만을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 오지까지 커피원두를 찾으러 갔으며, 품질에 따라 원두의 정확한 등급을 정했다. 항상 신선한 커피를 위해 1주일 넘은 원두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당일 볶은 원두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았고, 커피 맛의 기본이 되는 물은 특수 여과장치로 세 번 정수하여 사용한다. 스타벅스는 단순히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데에서 탈피한 지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세계적인 서점 체인 반스앤노블과의 제휴를 통해 ‘책을 많이 읽는 도시의 지성인’이라는 이미지를 브랜드에 녹아들게 했다. 반스앤노블 서점 내 한 모퉁이에 있는 스타벅스 매장은 고객들이 두 회사의 서비스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해 왔다. 인터넷의 발달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스타벅스는 직장이나 집의 속박에서 벗어나, 쉬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공공장소를 갖고자 하는 고객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조용한 장소를 제공했다. 직원들은 신속하고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귀찮게 하는 일이 없었다. 스타벅스는 단지 커피를 마시는 공간이아니라 다양한 고급문화 정보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마케팅 어드벤쳐’ P.87~P.92 (미래의 창, 2002, 저자 김민주)
3. APPLE 컴퓨터
- Apple 컴퓨터는 퍼스널컴퓨터를 세계 최초로 발명한 이후 지금까지 전세계 컴퓨터 애호가 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회사이다. 1980년대 초기는 대개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사용하거나 집에서 취미로 사용하는 오락용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이 당시 대형컴퓨터 시장을 주도 하던 IBM은 과거의 대형컴퓨터에서와 같이 폐쇄시스템을 지양하고 오픈시스템으로 대중화 되지 않은 PC시장에 진입하였다. 오픈시스템이란 IBM이 개발한 PC의 내용을 공개하고 어느 누구라도 IBM과 같은 지능을 하는 복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그 결과, PC시장에는수없이 많은 IBM호환기종이 나오기 시작하였고 Apple의 시장점유율은 급격히 하락하였다. 이에 Apple은 1985년에 Macintosh(매킨토시)라는 혁신적인 컴퓨터를 출시하였다. 이 Macintosh는 IBM의 PC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Apple은 주변기기면에서도 성능이 우수한 모니터와 레이저프린터 등을 제공하여, IBM기종이 도저히 따라 올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성능과 편리함으로 PC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초반부터 IBM호환기종은 가격이 20~30%씩 가격이 인하되고 성능면에서도 처리속도가 빠른 컴퓨터가 계속해서 나오게 되었다. 또한 Microsoft사의 Windows가 발표되면서 Apple 컴퓨터가 IBM호환기종 컴퓨터간에 있었던 사용상 편리함의 차이를 대폭 좁혔다. 즉 지금까지 Apple이 소비자들로부터 사랑받아 왔던 뛰어난 성능과 편리한 사용방법이 Microsoft사에 의해 모방되면서 더 이상 차별화의 우위를 누릴수 없게 되었다. 1990년대에 후반에 들어서도 IBM호환기종 시장은 계속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Intel은 Pentium 칩을 개발해서 성능면에서 Apple사의 컴퓨터를 바짝 뒤
http://blog.naver.com/hongjig/140007406739
■ 차별화전략
1. 아마존(Amazon)
- 1990년대 초반 인터넷 등장에 매료된 베조스는 앞으로 인터넷을 통한 판매가 급증하리라고 예상하고 인터넷 판매가 가장 적당한 제품이라고 평가하고 인터넷 서점 아마존 (Amazon.com)을 창업했다. 서적은 종류가 엄청나게 많아서 아무리 큰 서점이라도 모두 진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대형t점을 방문한 고객이 자신이 원하는 책을 빨리 찾기도 어렵다. 아마존은 전통적 서점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진열서적의 수를 무한대로 늘릴 수 있고, 공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진열서적의 수를 무한대로 늘릴 수 있고,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책은 품질을 중요시하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판매한다고 해서 구매자가 특별히 불리할 이유가 없다. 처음에는 100만 종으로 출발했지만 얼마되지 않아 310만 종으로 책 종류를 늘렸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서점의 15배 규모이다. 1997년 1분기 매출액은 1600만 달러를 넘어섰다. 그해 5월 나스닥에 상장되었고 시장가치는 5억 6000만 달러에 이르렀다.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 P.29~P.92((주)북21, 2003, 저자 김병도)
2. 스타벅스
- 1980년대에 이르기 전까지 미국에서 커피는 비용전감을 최우선시하여 제조되었다. 품질과 향을 무시하고 값싼 원두를 섞어서 캔에 담았으며, 커피가 찌들때까지 고객에게 판매했다. 1971년 시애틀에 처음 점포를 오픈한 스타버스는 이러한 저질 커피 시장에서 탈피해 소수의 커피 애호가들이 집에서 만들어 마시는 고급커피를 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7년 스타 벅스 매장은 17개, 그러나 1990년 84개, 1995년 676개, 2000년 3,300개, 2002년 7월말 5,689개로 비약적인 확장을 거듭해 왔다. 스타벅스는 기존의 커피를 풍미있는 고급커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삼고 제품 차별화에 노력을 기울렸다. 이를 위해 스타벅스는 최고급 원두만을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 오지까지 커피원두를 찾으러 갔으며, 품질에 따라 원두의 정확한 등급을 정했다. 항상 신선한 커피를 위해 1주일 넘은 원두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당일 볶은 원두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았고, 커피 맛의 기본이 되는 물은 특수 여과장치로 세 번 정수하여 사용한다. 스타벅스는 단순히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데에서 탈피한 지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세계적인 서점 체인 반스앤노블과의 제휴를 통해 ‘책을 많이 읽는 도시의 지성인’이라는 이미지를 브랜드에 녹아들게 했다. 반스앤노블 서점 내 한 모퉁이에 있는 스타벅스 매장은 고객들이 두 회사의 서비스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해 왔다. 인터넷의 발달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스타벅스는 직장이나 집의 속박에서 벗어나, 쉬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공공장소를 갖고자 하는 고객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조용한 장소를 제공했다. 직원들은 신속하고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귀찮게 하는 일이 없었다. 스타벅스는 단지 커피를 마시는 공간이아니라 다양한 고급문화 정보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마케팅 어드벤쳐’ P.87~P.92 (미래의 창, 2002, 저자 김민주)
3. APPLE 컴퓨터
- Apple 컴퓨터는 퍼스널컴퓨터를 세계 최초로 발명한 이후 지금까지 전세계 컴퓨터 애호가 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회사이다. 1980년대 초기는 대개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사용하거나 집에서 취미로 사용하는 오락용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이 당시 대형컴퓨터 시장을 주도 하던 IBM은 과거의 대형컴퓨터에서와 같이 폐쇄시스템을 지양하고 오픈시스템으로 대중화 되지 않은 PC시장에 진입하였다. 오픈시스템이란 IBM이 개발한 PC의 내용을 공개하고 어느 누구라도 IBM과 같은 지능을 하는 복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그 결과, PC시장에는수없이 많은 IBM호환기종이 나오기 시작하였고 Apple의 시장점유율은 급격히 하락하였다. 이에 Apple은 1985년에 Macintosh(매킨토시)라는 혁신적인 컴퓨터를 출시하였다. 이 Macintosh는 IBM의 PC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Apple은 주변기기면에서도 성능이 우수한 모니터와 레이저프린터 등을 제공하여, IBM기종이 도저히 따라 올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성능과 편리함으로 PC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초반부터 IBM호환기종은 가격이 20~30%씩 가격이 인하되고 성능면에서도 처리속도가 빠른 컴퓨터가 계속해서 나오게 되었다. 또한 Microsoft사의 Windows가 발표되면서 Apple 컴퓨터가 IBM호환기종 컴퓨터간에 있었던 사용상 편리함의 차이를 대폭 좁혔다. 즉 지금까지 Apple이 소비자들로부터 사랑받아 왔던 뛰어난 성능과 편리한 사용방법이 Microsoft사에 의해 모방되면서 더 이상 차별화의 우위를 누릴수 없게 되었다. 1990년대에 후반에 들어서도 IBM호환기종 시장은 계속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Intel은 Pentium 칩을 개발해서 성능면에서 Apple사의 컴퓨터를 바짝 뒤
추천자료
롯데리아 마케팅전략
[정신보건, 치료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에 대하여
NGO 개념의 발생과 개념 정의.hwp
치료레크리에이션( 발전방향과 정의,문제점, 배경등 포함)
TTL 마케팅 전략 분석과 새로운 마케팅 전략 수립
[청소년복지정책]청소년기의 정의와 문화 그리고 복지정책에 대하여
[마케팅] 풀무원 완벽 분석
경영조직론상 전략과 조직구조
[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육]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육)의 발달, 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
인본주의 이론과 생태학적 이론
청소년 정신건강
[방통대국제무역정책] 국제무역정책 중간과제 공통 경제동향 FTA 탄력관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