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수영, 수상인명구조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전수영, 수상인명구조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 하여야 한다.
인간 사슬
많은 사람들이 있다거나, 물 깊이가 가슴을 넘지 않는다면, 인간 사슬을 만들어 구조대상자를 도울 수 있다.
서로를 잡을 때는 서로의 손목의 위를 잡음으로써 구조자에 의해 사슬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
사슬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들은 몸의 중심을 안전지대 쪽으로 기울이도록 한다.
기타 특별한 경우
자동차가 침수하는 경우
안전 벨트를 항상 착용하도록 하여 입수시에 자신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중형 승용차는 입수 후 완전 잠수까지 약 45초가 걸린다고 한다. 이 시간동안 창문을 열어 창문을 통해 탈출하도록 한다.
차가 가라앉기 시작하면 차안의 가장 높은 곳으로 이동하여 남아 있는 공기로 호흡을 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이 탈출 한다. - 창문을 연다, 차안에 물이 거의 찼을때 작동하는 문을 연다, 창문을 부순다.
찬물에 빠졌을때
물속에서는 머리와 얼굴을 통해 열이 빨리 방출되기 때문에 체온하강이 급격히 일어난다.
순간적으로 숨을 고르기 위해서 숨을 들이마실 수 있다. 만약 구조대상자가 물 속에 있다면 폐에 물이 들어갈 수도 있다.
물 위에 있다면 급격한 호흡으로 인해 의식을 잃거나 물을 들이마실 수도 있다.
높은 혈압과 심장박동수로 인해 심장마비가 발생될 수 있다.
차가운 물에 오래 있으면 저체온증으로 인해 의식을 잃을 수도 있다. 차가운 물이 득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생존 확률을 높이는 경우도 있다.
차가운 물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체온이 내려가고 물을 들이마시면 저체온증이 가속된다.
체온이 내려감에 따라 신체 활동이 둔해지면서 필요 산소량 또한 떨어진다.
혈액 속에 남아 있는 산소가 핵심적인 장기의 활동을 위해 심장과 뇌로 전달된다. 이러한 결과로 물 속에 오래 잠겨있던 구조대상자가 안전하게 구조되는 경우도 있다.
차가운 물에서의 구조 - 구조원 자신도 차가운 물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물 속에 들어가지 말고 실행해야 한다. 구명튜브를 이용하여 구조대상자를 구조한다.
맥박이 없거나 약할 때, 호흡이 없을 때, 추위로 인해 피부색이 퍼렇게 질려있을 때, 근육 경직과 같은 증상을 보여도 살아 있을 수 있다.
구조 호흡 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저체온증에 대한 응급처치 실시, 신속히 응급의료서비스기관(EMS)에 연락, 신속한 응급처치는 부상자의 생존률을 상승시킨다.
체온 하강을 방지하는 방법 - 물가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는 항시 구명동의를 착용한다. 날씨가 추운 경우에는 비옷이나 울로 옷을 입는 것이 좋다. 울로 된 옷은 젖은 경우에도 보온 효과가 좋다. 여러 겹의 옷을 입는다. 술을 마시는 것은 금해야 한다.
겨울옷은 물 위로 뜨는데 도움을 준다. 게다가 옷의 두께가 열의 이동을 차단한다. 그래서 살아 있는 시간을 연장시켜준다. 구조를 기다릴때에는 입영을 하지 말아야 한다. 입영은 떠 있기가 곤란한 상황에 한해서만 사용한다.
찬물에서 구명동의를 입고 있을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 한다.
얼굴과 머리를물 위에 내놓는다. 옷이 물에 젖었다 하더라도 계속 입고 있도록 한다.
조류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에는 항시 다리를 이동 방향 쪽으로 하여 다리 먼저 앞으로향한 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각적인 위험이 없고 육지에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 자리에서 구조를 기다린다.
떠내려가지 않고 홀로 구조를 기다릴 때는 팔을 움츠리고 무릎을 가슴 쪽으로 모아 되도록 몸을 움츠린다.
여러 명이 한자리에서 구조를 기다릴 때는 서너명 정도가 마주보고 어깨동무를 같이 떠 있는다. 아동은 그 가운데 위치를 주시한다.
제 6장 다이빙
다이빙 안전
다이빙 위험성
이런 스포츠와 관련된 부상 중에서 66%가 얕은 물에서의 다이빙으로 인한 것이었다.
부상의 원인
대부분의 척추 부상은 얕은 물에서 발생한다.
안전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경험이 있는 다이버는 위험을 인지하고 다이빙 하지 않는다.
다이빙 안전의 원리
자격증이 있는 강사로부터 올바른 다이빙 방법을 배워라. 독학으로 배운 다이버는 부상당하기가 더 쉽다.
항상 안전 규칙을 따라라 - 예외를 만들지 말아라.
귀마개(방수용)을 끼지 말아라, 그것은 내려갈 때 위험스러운 압력을 첨가할 수 있다.
“No Diving\"신호를 지켜라. 그것은 안전을 위해 그곳에 있는 것이다.
물 깊이를 확인해라. 물에 처음들어 갈 때, 천천히 걸어 들어가라, 점프하거나 다이빙하지 말아라.
수영장의 얕은 곳으로 다이빙하지 말아라.
흐리고, 어두운 물에 다이빙하지 말아라.
개방 지역에서는 수면 아래 통나무, 그루터기, 돌, 말뚝 같은 물체가 있는지 먼저 확인해라.
다이빙 지역이 다이빙을 하는데 충분히 크고 깊은지 확인하기 위해 수영장의 바닥 형태를 체크해라.
다이빙대가 있다는 것이 다이빙하는데 안전하다느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라.
다이빙대의 측면에서 다이빙하지 말아라. 수영장의 측면과 부딪칠 수 있다.
다이빙대의 끝에서 한번 이상 뛰지 말아라, 다이빙대 밖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다이빙대에서 달리거나 공중에 높이 뛰는 방법으로 다이빙을 시도하지 말아라. 물이 깊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이빙대로부터 멀리 수영해라, 그러면 다음 다이버에게 위험이 없다.
다이빙 할 때 약품과 술을 복용하지 말아라.
다이빙 금지 표시
5피트 깊이보다 더 얕은 어떤 수영지역은 안전을 위해 “위험-얕은물, 다이빙 못함”이라는 표지판을 설치하라고 권고한다.
표지판 위치는 얕은물 옆 수영장 벽이나 울타리 가장자리 근처 푸울 가장자리가 좋다.
경고표시판
대조적인 색깔로 푸울 가장자리 위에 다이빙 금지(No Diving)
대조적인 색깔로 푸울 가장자리 안에 새긴 모자이크 문자 도안
푸을 가장자리 안에 새긴 보편적인 다이빙 금지(No Diving) 모자이크
백 울타리, 스텐드에 붙인 조형 표시
수상공원과 수상미끄럼대
수상미끄럼대에 붙어 있는 모든 지시사항을 따라라.
항상 발부터 먼저 내려와라.
미끄럼대 앞쪽에 있는 착륙지역에 사람이 없도록 해라.
의도적으로 깊게 입수하지 말아라.
미끄럼대가 푸울 가장자리까지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라
만약 미끄럼대의 착륙지역이 물의 수면이나 푸울 가장자리보다 더 높은 곳에 있다면, 바닥에 부딪치지 않을 만큼 충분히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