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식 위주의 교육은 분명 잘못되었음을 앞서 설명했다. ‘수능’ 시험에 만점 받은 학생을 성숙한 사람이라 일컬을 순 없다. 도덕점수가 100점인 학생을 또한 성숙한 사람이라 말할 순 없다. 최소한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이란 사람을 평가하는 잣대가 아니라, 인류의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사회화를 통한 미성숙한 사람의 성숙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적으로 조직된 지식으로서의 교육과정
대학생 성지식과 성교육 욕구에 대한 설문지
교육 현상의 철학적 의미와 이해 (부제 : 학생, 교사, 학교, 지식, 시험의 다양한 의미와 목적)
교과 활동(I) - 지식과 교육
공학적 인간관, 독단적 지식관, 기능적 교수관, 소극적 자아관을 통해 바라본 우리나라 교육...
[아동문학] 아동문학 장르(전승문학, 환상문학, 사실문학, 지식정보책) 각각 개념과 특징...
교사와 전문성의 이해 - 교사의 전문성의 개념(능력 기반 전문성, 지식 기반 전문성, 신념 기...
[교육] 변화속의 교실수업 상황과 수업 전문성을 위한 교사의 지식요건 및 교직의 수업전문성...
교육의 기능 (젊은 이성, 속박되는 지성, 지식과 지성)
[교육원리]R. S. Peters의 ‘교육받은 사람’ 개념 비판적 해석(합리성의 문제, 자발성의 문제,...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그람시(Gramsci)의 ‘진지전(war of position)과 지식인(int...
[교육敎育학개론] 브루너의 교수이론에 대한 이해(브루너의 교수이론에 대한 개념과 특성(학...
[사회과 교육내용][지리, 역사, 사회과학 영역별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지식기반 사회와 학습사회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미래사회의 환경변화 양상에 비추어 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