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산과 유전자 표현에 대하여 정리한 한글 문서입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핵산과 유전자 표현에 대하여 정리한 한글 문서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핵산

2. 유전 정보의 흐름

3. DNA

4. DNA의 구조

5. DNA의 2중 나선 구조

6. DNA 복제

7. 돌연변이

8. RNA

9. 전사

10. mRNA

11. 번역

12. 유전적 코드

13. tRNA

14. 해독

본문내용

쪽 사슬을 거푸집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유전자 가운데 아미노산을 지정하지 않은 염기 배열 부분. 개재 배열이라고도 한다. 이것에 대하여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부분을 \'엑손\'이라고 한다. 진핵 생물의 경우 게놈 DNA에서 유전자로서 작용하는 부분은 약간이고, 나머지는 불필요한 부분이다. 그렇지만 그 유전자 자체에도 불필요한 부분이 있다. 그것이 인트론인데 1개의 유전자를 분단하듯이 어느 곳에도 들어 있다. 인트론을 가진 DNA에서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DNA의 염기 배열을 복사한 RNA가 만들어진다. 이 RNA가 단백질 합성의 바탕이 되는 mRNA가 될 때에 인트론 부분을 잘라 내는 작업이 효소에 의해 행해진다.
11. 번역(Translation)
DNA의 유전 정보 즉 염기 배열로부터 단백질이 만들어질 때 우선 DNA의 염기 배열을 베낀 mRNA가 만들어진다. 이 mRNA의 염기 배열에 따라 실제로 단백질이 합성된다. mRNA로의 정보 복사 과정을 \'전사\'라고 하며, mRNA에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고 한다. 번역 과정에서는 mRNA가 세포 내의 리보솜이라는 입자에 결합하고, tRNA가 mRNA의 \'코돈\'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을 운반해 온다. 아미노산은 리보솜상에서 연결되면서 점점 합해지다가 mRNA에 \'정지\'의 코돈이 오면 끝난다. 연결된 아미노산은 리보솜에서 분리되어 접혀져서 단백질이 된다. 리보솜은 큰 subunit과 작은 subunit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mRNA 분자를 5‘에서 3’ 방향으로 번역하기 위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subunit은 번역이 완료되었을 때 분리된다.
12. 유전적 코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을 결정하기 위한 DNA의 염기 배열. 유전 코드라고도 한다. 유전자 본체는 DNA이지만 실제로 몸의 조직을 만들거나 체내의 화학 반응을 진행시키고 있는 것은 거의 모두 단백질이다. DNA를 몸의 설계도라고 하면 단백질은 행동 대원으로서, DNA의 정보도 단백질로 변환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요컨대 DNA가 가진 유전 정보(유전 암호)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정보인 셈이다.
단백질은 20종류 이상의 아미노산이 여러 가지 순서로 길게 이어진 물질이다. 단백질을 만드는 데 있어 어느 아미노산을 어느 순서로 늘어서게 하는가를 DNA는 염기 배열로 지정하고 있다.
즉 유전 암호는 염기가 늘어서는 방식(염기 배열)이다. 코드를 문자로 나타낼 때는 염기를 가리키는 약어 A

키워드

DNA,   RNA,   tRNA,   mRNA,   유전정보,   복제,   전사,   돌연변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1.25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