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실험이론
3.실험방법
4.실험결과
5.논의&토의
6.참고문헌
2.실험이론
3.실험방법
4.실험결과
5.논의&토의
6.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침전이 생기자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과 여액을 분리시켰다. 실험 교재의 내용은 정성여과지를 사 용하는 것이었는데 우리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였다. 침전된 물질은 AgCl, Hg2Cl2, PbCl2를 포함하는 물질이므로 남겨두고 여액은 다음주 실험 2족 양이온의 정성분석 시간에 필요하므로 버렸다.
4. 침전된 물질을 열수로 씻어 다시 녹였다. 열수는 알코올 램프와 삼발이, 철망, 비커 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열수를 이용하는 이유는 Pb2+이온이 뜨거운 물에 잘 녹아서이 다. 이 물질을 다시 원심분리기에 넣어 침전과 여액을 분리시켰다.
5. 침전된 물질에는 AgCl, Hg2Cl2가 들어있고 여액에는 PbCl2가 들어있다. 그래서 침전 된 물질을 AgCl, Hg2Cl2로 분리하기 위해 6N-NH4OH를 첨가한다. 6N-NH4OH시약 은 NH3 40ml와 H2O 60ml를 섞어 100ml 6N-NH4OH를 만들었다.
6.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분리한 뒤 침전물이 회흑색을 띠는 것으로 Hg22+ 의 존재를 확인했다.
7. 6번 과정에서 만들어진 여액에 페놀프탈레인 1방울을 가하고 6N-HCl을 적당량 가 해 붉은색이 무색으로 되게 만들었다. 백색침전으로 인하여 Ag+의 존재를 확인했다.
8. 4번 과정에서 만들어진 여액을 둘로 나눈다. Pb2+이온을 확인하기 위해서인데 2가지 방법이 있어서 둘로 나누었다.
9. 한쪽 시험관에 3N-K2CrO4를 첨가하여 황색침전으로 Pb2+의 존재를 확인했다. 3N-K2CrO4는 시약크롬산칼륨 14.5g과 물을 섞어 50ml를 되게 하여 만들었다. 다른 시험관에는 2N-H2SO4를 첨가하여 백색침전으로 Pb2+의 존재를 확인했다. 2N-H2SO4는 우선 6N-H2SO4을 만들기위해 물25ml와 황산 8.5ml,그리고 물을 더 넣 어 50ml를 되게 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2N-H2SO4을 만들기 위해 6N과 물의 비율을 1대2로 섞어 만들었다.
4. 결과 및 토론(Results and Discussion)
분족시약 HCl과 Ag+, Hg22+, Pb2+와의 반응으로 인해 AgCl, Hg2Cl2, PbCl2의 흰색 침전이 생긴다. 그리고 원심분리기와 시약을 이용하여 침전을 이용한 분리를 한다. 그 러면 맨 마지막 단계에서 마지막 검출시약에 의해 색상 변화를 통해 Ag+, Hg22+, Pb2+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2조는 처음 실험할 때 실험시 필요한 시약은 조교님께서 만들어 주시는걸로 알 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었다. 나는 1학년때의 실험때만을 생각해서 당연히 만들어 주시 는걸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주어진 기본 시약을 가지고 교재를 찾아서 물과의 비율을 맞추어 실험에 필요한 노르말 시약을 만들어야만 했다. 시약을 직접 찾아보고 제조해 보는 것이 처음이라 낯설었지만 몇 개 만들어 봄에 따라 점점 익숙해졌다. 우리조는 시 약 때문에 첫 번째 실험 단계에서 12N염산을 사용하여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는 시행 착오를 겪었다.
그리고 시약을 많이 만들다 보니 어떤 시약인지 헷갈려 포스트
4. 침전된 물질을 열수로 씻어 다시 녹였다. 열수는 알코올 램프와 삼발이, 철망, 비커 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열수를 이용하는 이유는 Pb2+이온이 뜨거운 물에 잘 녹아서이 다. 이 물질을 다시 원심분리기에 넣어 침전과 여액을 분리시켰다.
5. 침전된 물질에는 AgCl, Hg2Cl2가 들어있고 여액에는 PbCl2가 들어있다. 그래서 침전 된 물질을 AgCl, Hg2Cl2로 분리하기 위해 6N-NH4OH를 첨가한다. 6N-NH4OH시약 은 NH3 40ml와 H2O 60ml를 섞어 100ml 6N-NH4OH를 만들었다.
6.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분리한 뒤 침전물이 회흑색을 띠는 것으로 Hg22+ 의 존재를 확인했다.
7. 6번 과정에서 만들어진 여액에 페놀프탈레인 1방울을 가하고 6N-HCl을 적당량 가 해 붉은색이 무색으로 되게 만들었다. 백색침전으로 인하여 Ag+의 존재를 확인했다.
8. 4번 과정에서 만들어진 여액을 둘로 나눈다. Pb2+이온을 확인하기 위해서인데 2가지 방법이 있어서 둘로 나누었다.
9. 한쪽 시험관에 3N-K2CrO4를 첨가하여 황색침전으로 Pb2+의 존재를 확인했다. 3N-K2CrO4는 시약크롬산칼륨 14.5g과 물을 섞어 50ml를 되게 하여 만들었다. 다른 시험관에는 2N-H2SO4를 첨가하여 백색침전으로 Pb2+의 존재를 확인했다. 2N-H2SO4는 우선 6N-H2SO4을 만들기위해 물25ml와 황산 8.5ml,그리고 물을 더 넣 어 50ml를 되게 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2N-H2SO4을 만들기 위해 6N과 물의 비율을 1대2로 섞어 만들었다.
4. 결과 및 토론(Results and Discussion)
분족시약 HCl과 Ag+, Hg22+, Pb2+와의 반응으로 인해 AgCl, Hg2Cl2, PbCl2의 흰색 침전이 생긴다. 그리고 원심분리기와 시약을 이용하여 침전을 이용한 분리를 한다. 그 러면 맨 마지막 단계에서 마지막 검출시약에 의해 색상 변화를 통해 Ag+, Hg22+, Pb2+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2조는 처음 실험할 때 실험시 필요한 시약은 조교님께서 만들어 주시는걸로 알 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었다. 나는 1학년때의 실험때만을 생각해서 당연히 만들어 주시 는걸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주어진 기본 시약을 가지고 교재를 찾아서 물과의 비율을 맞추어 실험에 필요한 노르말 시약을 만들어야만 했다. 시약을 직접 찾아보고 제조해 보는 것이 처음이라 낯설었지만 몇 개 만들어 봄에 따라 점점 익숙해졌다. 우리조는 시 약 때문에 첫 번째 실험 단계에서 12N염산을 사용하여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는 시행 착오를 겪었다.
그리고 시약을 많이 만들다 보니 어떤 시약인지 헷갈려 포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