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아동의 신체검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아동의 신체검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성장 측정
◈ 생리적 측정
◈ 일반적 외양
◈ 피부
◈ 림프절(Lymph nodes)
◈ 머리와 목(Head and neck)
◈ 눈(Eyes)
◈ 귀(Ears)
◈ 코(nose)
◈ 입과 인후 (Mouth and throat)
◈ 가슴(Chest)
◈ 폐(lung)
◈ 심장(Heart)
◈ 복부(Abdomen)
◈ 생식기(Genitalia)
◈ 항문(Anus)
◈ 등과 사지 (Back and extremities)
◈ 신경학적 사정(Neurologic assessment)

본문내용

사와 HOTV 검사는 학력전 아동에게 아주 좋은 검사법임
; Allen 카드 검사 - 아동의 시각검사를 위해 흔한 그림들을 이용함
실제 시력을 측정하기 전에 아동이 그림을 인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함
검사자는 천천히 뒤로 걸어가서 카드를 뒤집어 아동에게 다른 그림을 짚어 보여 준 후 아동이 카드의 그림을 맞히지 못하기 시작하면, 검사자는 앞으로 다가서면서 아동 이 그 그림을 인식할 수 있는 지점을 확인함
; LH 심벌 검사 - 나선형으로 고정된 몇 장의 플래시 카드로 행함
10피트(3m) 거리에서 검사하도록 심벌의 크기와 시력값을 가짐
시력은 10피트 거리에서 아동이 인식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심벌로 결정함
- 주변시(peripheral vision) ; 충분히 협조가 될 정도의 나이든 아동에서는 각 눈에 대해 주변시를 평가함
아동에게 바로 앞쪽의 특정 지점에 시선을 고정하게 하고 손가락이나 연필 같은 물체를 시야 밖에서 주변시 범위 안쪽으로 움직여가면서 확인함
각 눈에 대해 각각 시야를 1/4씩 나누어 검사함
주변시의 제한은 눈 내부구조나 시각경로의 손상으로 인한 시력상실을 의미할 수 있음
- 색시(color vision)
- 색각에 대한 검사
; Ishihara 검사와 Hardy-Rand-Ritter(HRR) 검사가 있음
- 혼동할 수 있는 색의 점들로 되어 있는 색바탕이 인쇄된 일련의 카드들로 구성됨
- 이 색바탕에는 숫자나 심벌이 전으로 인쇄되어 있어, 색각결함이 있는 사람에게는 바탕색과 혼동하 기 쉽게 되어 있음
- 결함이 있는 사람에게는 모양이나 문자가 보이지 않지만, 정상색각을 가진 사람에게는 분명히 보임
◈ 귀(Ears)
* 외부구조의 시진
- 귓바퀴 : 외부에 전체적으로 보이는 귀 부분. 머리 양옆에 위치.
- 귓바퀴는 수직선에 10°이내의 각도 이룸.
- 정상적으로 귓바퀴는 약간 돌출해 있음.
- 납작한 귀 : 영아의 경우 자주 옆으로 눕는 자세 의미.
- 귀 주변 피부 : 작은 구멍이나 tag, sinus 유무 살핀다.
- 위생상태 사정 : 이경으로 귀지의 색과 냄새를 살핀다.
* 내부구조의 시진
- 아동의 자세
- 필요시 억제제 착용. 검진과정을 알려주고 움직이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벌리개 귓속으로 삽입 시 아동이 이 느낌에 익숙해 지도록 귓구멍 주위에서 움직인다.
- 영유아 : 보호와 안전위해 이경 검진 시 억제를 함.
- 아동이 부모의 무릎에 옆으로 앉아 한 팔로 부모를 껴안고 다른 팔은 옆에 내려놓는 방법.
- 아동이 옆으로 눕거나 위를 보고 눕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손을 옆에 두고 머리는 옆쪽으로 돌려 검진하고자 하는 귀가 천장을 향하게 하는 것.
- 이경 사용 전 시계를 겹쳐 외이도와 고막을 마음속으로 그린다.
숫자들(3,6,9,12시)은 위치상 중요한 기준이 됨.
- 외이도 직선으로 만드려면 귓바퀴를 후하방 6시와 9시 사이로 당긴다.
- 3세 이상 아동 : 외이도가 보통 전하방으로 굽어 있으므로 귓바퀴를 후상방 10시 방 향으로 당긴다.
- 이경검진
- 외이도 따라 이경 삽입하면서 외이도 벽, 고막 빛깔, 빛반사, 보통 관찰되는 골돌출부 경계표들을 시진
- 외이도 벽 : 분홍빛
- 귀에 이물질 들어있는 경우 : 통증, 분비물, 청각장애 증상 흔함.
① 종이나 곤충같은 부드러운 이물 : 집게로 제거
② 작은 돌 같은 작고 단단한 이물 : 흡입기, 갈고리, 세척으로 제거
③ 콩 같은 식물성 물질의 이물 : 수분에 의해 부풀려질 수 있으므로 세척은 피함.
- 고막 : 투명하고 밝은 진주빛 분홍 또는 회색
- 빛 반사 : 원추모양의 반사. 정상에서 얼굴과는 반대쪽으로 뾰족한 모양.
* 청력검사
연령
청각검사/평균시간
측정유형
절차
모든 연령
유발 귀음향방사 10분 검사
자극을 준 후 달팽이관의 반응을 특별히 측정하는 생리적 검사
자극을 전달하고 반응을 탐지하기 위하여 외이도에 작은 탐식자를 갖춘 민감한 마이크로폰을 둔다.
출생~9개월
뇌간 청각 유발검사 15분 검사
청각신경과 뇌간경로의 활동에 대한 전기생리측정
아동의 머리에 전극을 두어 한번에 한쪽 귀에 있는 이어폰을 통해 나타나는 청각자극을 탐지한다.
9개월~2.5세
조건화 중심반응 또는 시각을 강조한 청력측정 30분 검사
화자를 통해 제시된 말과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자극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측정하는 행동검사
말과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와 불이 켜진 장난감과 같은 강화자극을 연합해 아동을 조건화 한다.
2.5세~4세
놀이 청력측정
30분 검사
화자를 통해 제시된 말과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자극에 대한 아동의 청각역치를 측정하는 행동검사
자극의 소리가 들릴 때 나무못 말판에 나무못을 박거나 상자에 블록을 떨쳐 아동을 조건화 한다.
4세~청소년
통상적인 청력측정
30분 검사
이어폰과 골진동기를 통해 제시된 말과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자극에 대한 아동의 청각역치를 측정하는 행동검사
자극이 들릴 때 환자에게 그의 손을 들도록 지시한다.
◈ 코(nose)
* 외부구조의 시진
- 코 : 얼굴 중앙에서 눈 바로 아래, 입술 위에 위치.
- 양눈 사이의 중앙점부터 윗입술의 패임까지 상상의 수직선 그어 코의 위치와 정렬 비교.
- 콧방울 벌렁거리는 징후 : 호흡곤란 의미.
* 내부구조의 시진
- 코전정
: 코끝을 머리 위로 밀고 머리를 뒤로 젖혀 플래시나 벌리개 없는 이경으로 빛을 비추어 시진.
- 점막 : 정상적으로 입점막보다 붉은빛 띔.
- 코중격 : 전정을 같은 크기로 양분해야 함. 만곡있는지 관찰. 천공있는지 관찰.
◈ 입과 인후 (Mouth and throat)
* 검진을 위해 입을 잘 벌리게 하려면,
- 거울 앞에서 검진
- 아동에게 부모, 간호사나 인형의 입을 먼저 검사하라고 하고 다음 아동의 입 검진.
- 아동에게 머리를 약간 젖히게 하고, 입으로 깊이 숨을 쉬게 한 후 멈추게 한다.
- 면봉으로 입천장을 가볍게 문지르는 것도 검진을 위해 입을 크게 벌리게 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
* 내부구조의 시진
- 입안과 입 인두에서 볼 수 있는 주요 구조는 입술, 볼의 점막, 잇몸, 치아, 혀, 입천장, 목젖, 편도, 후 입 인두.
- 치아 : 상하 각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