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교육철학과 루소의 에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루소의 교육철학과 루소의 에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자크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2. 루소 교육사상의 철학적 배경
3. 루소의 교육 철학
4. 루소의 생애
5. 자연주의 교육
6.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
7. 현대적 의의
8. 루소의 사회철학
9. 루소의 에밀(서평)

본문내용

, 미각 등의 훈련이 교육의 중요한 내용이다. 12세까지의 에밀은 특별한 지식 교육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책이란 쓸데없는 것을 가르치는 것으로 소용이 없고, 실제 생활 교육이 이 시기에 적합한 교육으로 보았다. 이성이 연령에 도달하기 까지는 도덕적 사회적 관계에 대한 관념이 형성되지 않지만 우리의 생활에는 이웃이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살게 되어 있다. 대인 관계의 첫 개념을 한 농부와의 관계에서 땅의 소유에 대한 개념을, 요술사와의 관계에서는 타인의 직업에 대한 관념을 갖게 해준다.
(3) 제3부 소년기(12세에서 15세까지)
이 시기를 이성의 시기로 보았다. 이성적 활동이 시작되며, 지적인 호기심이 학문의 문을 두드리나 모든 학문이 모두 소용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중요한 학습은 자연 현상에 대한 것이다. 즉, 지리학, 천문학, 물리학, 기하학 등 자연 과학에 한해서 유용하다 하겠고 그 방법은 책이나 어떤 측정 기구, 지구의와 같은 것이 아니고 관찰, 경험, 발견, 실험과 같은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는 학생의 손을 잡고 집 근처 언덕에 올라가 태양이 떠오르는 광경과 해 지는 광경을 관찰하게 하고, 밤하늘의 별을 관찰하는 실례를 보여준다. 학문을 사랑하는 마음이 우선되어야 하고, 방법은 나중에 스스로 얻게 하는 방법을 통해 분명하고 정확한 개념을 갖게 한다. 어떤 지식도 어린이의 능력에 적합해야 하고, 자기 능력으로 배울 수 있어야 하는 자율 학습과 실물을 감각적으로 포착하여 스스로 생각하고 추리하는 직관주의 교육, 그리고 어린이 자신이 기구를 만들고 직접 경험해 보는 경험주의 학습 방법을 제시했다. 이 시기는 어린이의 사회관계가 점차 이루어지는 때이다. 사회 속에 있으면서 고립되어 자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행복하게 자유롭게 사는 방법이며, 에밀은 근면하고 절제를 지키며 다른 사람에게 요구하는 일 없이 자기 할 일을 충실히 하며 산다. 이런 자주 독립적인 생활에 가장 적합한 직업은 손으로 하는 일이다. 농사짓는 일을 배우고 목공일을 배운다. 이런 생산적인 일은 자주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며 이시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교육적 과제다.
(4) 제4부 사춘기(15세에서 20세까지)
이 시기는 어린이 시기를 벗어나 성으로서의 인생이 시작되는, 즉 남성, 여성으로서의 출발되는 의미에서 제2의 탄생이다. 인생의 진로를 결정짓는 여러 가지 면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피력되어 있다. 보통 교육이 끝나는 이 시기는 바로 새로운 교육이 시작되어야 할 시기이며, 이전의 교육을 소극적이라 한다면 이후의 교육은 적극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도덕적, 종교적, 사회적인 관계의 기초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에 상응하는 교육이 적극적으로 인간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기에 어린이의 자연성인 자기애는 이웃에 대한 동정, 우정을 바탕으로 한 인간애, 인류애로 발전된다. 16세의 에밀은 처음으로 인간 사회의 불평등과 비참하고 슬픈 사실들을 알게 된다. 그러나 역사를 통해 왕이든, 부자든, 사람은 누구나 태어날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29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