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시대의 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왕조시대의 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왕조 시대의 수의
남자수의
여자수의
수의입는방법

본문내용

로 꿰매어 놓는다. 바지 속에속바지를 끼워 허리를 꿰맨다.
먼저 좌우 말을 신기고 고를 입힌 후 요대를 매고 대님과 행전을 친다.
다음에 상의인 저고리와 중치막을 끼운 심의를 입힌다.
망건과 복건을 씌우고 충이로 귀를 막고 멱목으로 얼굴을 싸고 조대를 매고 이를 신긴다.
2)소렴
소렴은 습한 다음날인 사망한 다음날에 한다. 횡교포를 가로로 놓고 그위에 종교포를 길이로 놓은 후 소렴금을 펴 놓는다. 그 위에 상의를 놓고 시신을 높은 후 목 및의 보공은 솜이나 옷감으로, 어깨의 보공은 저고리로 무릎 밑의 보공은 저고리,바지로 한다.
이불로 싼 후 교포로 묶는다.
3)대렴
대렴은 소렴한 후에 행한다. 대렴상 위에 석을 펴고 횡교포종교포대렴금을 놓고 시신을 놓은 후 이불을 좌우로 여민후 교포로 묶는다.
관의 밑바닥에회를 깔고 칠성판을 높고 그 위에 지요를 깔고 그위에 대렴한 시신을 놓는다.
오낭을 좌우에 넣고 평소에 입던 옷으로 관을 채워 보공한 후에 천금을 덮고 천만을 덮고 못을 박은 후에 관 위에 구의를 덮어 씌운다.
(플러스) 전통수의의 염습 과정

1. 구덩이를 판다.
목욕하고 남은 물과 수건,빗 등을 버리기 위한 용도이다.
2.습의:수의를 늘어놓는다.
(습의를 늘어놓을 때 준비물)
상,석,욕,침,탁자
*남자의 옷
복건,망건,심의 혹은 단령,답호 혹은 직령, 대,과두, 포오,중치막,한삼,고,단고,소대,늑백,행전,이
*여자의 옷
엄,사,심의 혹은 단의 혹은 원삼 혹은 장오자, 대,삼자,포오,저고리,소삼,과두,상,고,단고,채혜,충이,멱목,악수,말,거포,관분,세건
3.목욕,반함의 준비물
(목욕시킬 때 준비물)
탁자,솥,와반,쌀뜨물,물,목건,욕건,식건,wmf,조,계,소낭,멱건
(반함 때 준비물)
패,쌀,폐백,상자,완,비,관분,세건
4.목욕시킨다.
①주인 이하는 모두 휘장 밖으로 나가 북쪽을 향한다.
②머리를 감기고 빗긴다.
③수건으로 머리를 말리고,묶어서 상투를 튼다.
④병중에 입었던 옷과 복할 때 썼던 옷은 다 치운다.
⑤수건으로 닦는데 상체,하체를 각각 따로 쓰고,멱건으로 얼굴을 가리고 손톱을 깎는다.
⑥목욕하고 남은 물과 수건,빗은 구덩이에 버린다.
5.얼음을 시신 밑에 놓는다.
6.습한다.
①습에 쓸 상을 따로 휘장 밖에 마련하여 자리,요,베개를 높고, 미리 큰 띠,씨의,포오,한삼,바지,버선,행전,과두,등을 그위에 놓는다.심의부터 한삼의 깃과 좌우 소매끝을 실로 징그로 바지와 홑바지도 포개어 그 허리를 징거 둔다.
②시신을 들여와 바지 허리를 잡아 시신의 발을 바지에 넣고 바지를 끌어 올려 입힌다. 좌우 버선을 신기고,행전으로 정강이를 감싸 무릎에서 묶고, 바지 허리를 거듭 당겨 가지런히 여민다. 작은 띠를 묶고 과두로 배와 허리를 감싸서 그 끈을 묶는다.
여자는 치마를 과두 위에 입히고 작은 띠를 묶는다.
③시신의 손을 소매에 넣고 소매부리고 손을 넣어 시신의 손을 잡고 또 각각 한 손으로 옷깃을 잡아 끌어올려 가지런히 한다. 우임으로 옷을 여며주고 작은 띠를 묶는다.
④복건과 심의와신은 신기지 않는다.(습상태에서는 다시 살아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마지막 차비는 차리지 않음)
7.시신을 모신 상을 옮겨 대청 한 가운데 놓는다.
8.전을 차린다.
전은 시신을 땅에 묻기 전에 음식을 바치는 의례이다. 시신을 땅에 묻고난 후에는 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전을 차린후 주인 이하가 제자리를 정하고 곡한다.
9.반함:시체의 입에다 쌀이나 진주,돈을 물리는일)을 한다.
10.습을 마치고 이불로 시신을 덮는다.
①복건을 덧씌우고(여자는 엄을 씀)충이한다.
②멱목을 씌우고 신을 신긴다.
③심의를 입히고 큰 띠를 묶는다.
④악수를 끼우고 이불로 덮는다.
11.설료한다.
설료는 하톳불을 설치하는 것을 이른다. 이후 영좌를 설치하고 혼백을 마련한다.
12.명정을 세운다.
불공은 드리지 않고 친한 친구나 가까운 사람은 이때에 이르러 들어와 곡해도 괜찮다.
소렴(습한 다음날 행함)
1.소렴에 쓸 옷과 이불을 늘어놓는다.
죽은 그다음 날에 행하고 죽은 사람이 가지고 있던 옷을 적당히 쓰되, 만일 많으면 다 쓸 필요가 없다. 이불은 겹이불을 쓰고 효는 가로는 셋이고 세로는 하나다.
<소렴때 늘어놓는 준비물>
◆상,자리,요,베개,탁자,금,효
◆상의:겉옷,남자는 신의나 단령,여자는 단의나 원삼 등을 이른다.
◆산의:(포오나 여러 가지 옷과 바지 따위,혹은 가로로 높거나 혹은 거꾸로 높아서 깔고 덮고 싸고 혹은 보공:관의 빈곳을 메꿈)으로씀,견,신면,
전판:(도련판,시신의 길이와 높이와 너비를 겨냥하는데 사용함),장죽(길이와 높이와 너비를 겨냐하는데 사용함)
◆이금(시신을 덮는이불)구의(관덮개)로 시신을 덮는데 사용함
◆세수대야,세수 수건
2.전을 마련한다.
3.괄발마(머리를 묶는 삼),문포,좌마,(복머리에 쓰는 삼)을 마련한다.
4.소렴상을 마련하고 효와 금과 의를 편다
가로 효를 밑에 깔고, 그 위에 세로 효를 편다. 다음에 이불,웃옷,신의 순서로 펼친다.
5.습전(습할 때 마련한 전)을 옮긴다.
6.소렴을 한다.
①시신을 소렴상 위에 옮겨 놓는다.
②배게를 치우고 비단을 펴고 옷을 접어서 그 머리 밑에 깔고 양끝을 말아서 두 어깨의 빈곳을 채운다.
③웃옷을 말아 양 정강이에 끼워 반듯하게 한 뒤에 나머지 옷으로 시신을 덮고 옷깃을 왼쪽으로 하고 이불로 싼다.
④염을 마치고 따로 이불로 덮는다.
7.주인과 주부는 빙시(시신에 기댐)하고 곡하고 벽(가슴 침)한다.
단과 괄발을 하고 복머리 하는 것은 다른 방에서 한다.
돌아와서 시상을 대청 한 가운데 옮겨 놓는다.
8.이에 전을 드린다.
주인 이하는 곡하여 슬픔을 더하고,대곡하여 곡하는 소리가 그치지 않게 한다.
대렴(소렴한 다음날 행함)
1.대렴의 옷과 이불을 펴높는다.
소렴의 다음날,즉 죽은지 사흘째 되는 날 에 행한다.
<대렴 때 늘어높는 준비물>
◆상,자리,요,탁자
◆금,효
◆상의
◆산의
◆손솟물 대야,손숫물 수건
2.전구(전 올리 때의 도구)를 마련한다.
소렴때의 의식과 같다.
3.관을 들고 들어가 대청 안의 약간 서쪽에 높는다.
4.대렴을 한다.
①이불을 걷고,먼저 발을 싸고 다음에 머리,왼쪽,오른쪽을 싼다.
②시신을 들어 관속에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1.2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