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경 요점정리
본문내용
결실에 도움 → 해거리 방지(꽃따기,과일솎아주기)의 과수원 전정
⑤ 생리조절 → 이식할 때, 지하부 잘린만큼 지상부를 전정하여 균형유지
* 인공수형/ 토피어리 → 동물모양, 글자 등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인위적으로 전정
※ 일본목련/ 잎에서 꽃이 핌, 한국목련/ 꽃에서 잎이 남
* 전정시기
1) 겨울 전정(마취된 상태) → 대부분의 조경수목은 겨울에 전정함(11월~3월)
* 낙엽수의 경우, 휴면 중이라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병해충 피해가지 발견이 쉬움
※ 낙엽수는 회복이 늦다, 상록수는 봄, 가을에 함, 꽃나무는 꽃이 진 후 전정, 벚나무는 전정안함
* 겨울 전정시 고려사항 → 상록 활엽수는 추위에 약하므로 강전정을 피함
* 봄 전정 → 새로운 가지와 잎이 나오는 3~5월에 실시
* 낙엽수는 최대의 성장기로 순지르기나 눈따기 등 약전정(소나무 순지르기) 함
* 여름 전정 → 6월~8월에 실시, 꽃나무는 6월에 전정을 끝냄
※ 꽃나무 전정 적기 → 화아분화 1~2월 전 또는 꽃 진 직후 가을
강 전정을 안해도 되는 나무 → 벚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 봄에 왕성한 성장 후 전정, 겨울에 치면 봄에 성장이 어렵다
* 전정 횟수 → 침엽수 1회, 상록수 중 맹아력 큰 나무 3회, 보통인 경우 2회, 낙엽수 2회
* 전정 순서와 전정할 가지
전정 순서 → 전체 수형 스케치 - 위에서 아래로 밖에서 안으로 전정, 굵은 가지에서 잔 가지순으로 전정
전정할 가지 → 도장지(튀어나온 가지), 안으로 향한 가지, 고사지, 안으로 향한 가지, 줄 기에 움돋은 가지, 교차한 가지, 평행지, 신초(맨 위에 하나만 남김)
* 전정방법 → 좁은 톱으로 전정 - 끌로 매끈하게 해주고 - 유성페인트, 방부제 바름
바깥 눈 7~10mm 위쪽 눈과 평행한 방향(90도, 눈이 커져서 가지 됨)
* 소나무 순지르기 → 5~6월에 2~3개 순을 남기고 중심ㅅ누을 포함한 나머지 순은 제거,
남길 순도 1/2~2/3 손으로 꺽어 버림
소나무류는 묵은 잎을 뽑아 투광을 좋게 하고, 생장억제 함
※ 잣나무 잎 솎기 → 2~3년생 잣나무에 실시, 8~9월에 맨손으로 쾀어 줌
* 강전정과 약전정 → 활엽수가 침엽수(겨울에는 전정금지)에 비해 강전정에 잘 견딤
* 가로수 전정 → 지하고 2.5m 이상
* 거름주기
* 비료 → 화학 비료(비싸다, 소량사용),
유기질 비료(퇴비, 일반유기질/ 싸다, 다량사용)
* 비료의 3요소(4요소) → 질소(N), 인(P), 칼륨(K), - 칼슘(Ca)
* 질소의 역할 → 부족현상/ 생장이 위축, 성숙이 빠름
과잉현상/ 도장(徒長), 종류 - 황산암모늄(토양 산성의 주범/ 산성비)
* 인의 역할 → 세포핵 분열 촉진
* 칼륨의 역할 → 저항성 향상
※ C/N 율 → 질소(뿌리에서 올라옴)에 대한 탄수화물(뿌리에 모임)의 비율
C/N 율이 낮으면 도장지, 성숙이 늦음, 높으면 생장장애, 꽃눈이 많아짐(조치 - 단근)
C/N 율의 가장 좋은 비율은 1 : 1 비율,
* 선상 거름주기 → 군식된 수목을 따라 도랑을 파 거름 줌(주목, 장미, 철쭉, 벚나무에 효과)
* 천공 거름주기 → 몇 군데에 구멍을 뚫고 거름 줌(흙과 거름을 썩어 줌 - 6개월 후 효과)
* 관수(물주는 시기)
* 물 주지 말아야 할 시간? → 11~16시(햇빛을 피해서 줌)
* 인위적인(정원) 물주기는 1년에 5회 정도
※ 꽃 핀 곳은 뿌리지 말 것, 잎과 봉우리는 좋다
* 서리 해의 예방 → 짚싸기(재일 좋은 방법은 흙덮기, 그러나 비용과 시간이 맣이 듬)
* 상렬 → 추위로 인해 나무껍질이 수선 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
* 상종 → 서리에 의해 종기가 생김/ 단풍, 배롱나무는 반드시 수피감기 할 것
※ 침엽수류는 서리피해가 없다, 껍질이 거칠다
* 공해 → 주로 여름 한 낮에 습도가 높을 때 피해가 크다(이산화황, 아황산가스)/
소나무 , 전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독일가문비나무(기공이 많이 열림)
골프장 중에서 일교차가 큰 쪽(동남쪽)이 수피가 잘 터진다(단풍, 배롱나무 등)
* 수목의 외과수술
1) 시기 → 4~9월(유합이 잘 될 때)
* 동공 충진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고무, 에폭시 레진, 폴리우레탄폼 등
2) 수간 주입(나무 줄기에 주사) → 시기는 4~9월 증산작용이 왕성한 맑은 날(흡수가 빠름)
* 구멍 뚫기 → 2곳, 수간 밑 5~10cm, 반대쪽 10~15cm,
* 구멍 각도 →30~40도, 구멍 지름 → 5 - 6 ㎝, 구멍 깊이 4~5cm,
* 수간 주입기 → 높이 180cm 정도에 고정
3) 엽면 시비 → 잎에 양분을 공급하여 회복시킴, 영양제를 필요 농도로 희석 지상부 몸 전체 가 충분히 젖도록 분무 살포(희석비율 - 500~1000배)
* 병충해의 종류
* 즙을 빨아먹는 해충 → 진딧물, 응애(살비제)
* ‘측백하늘소’가 가해하는 나무 → 측백, 편백, 화백, 향나무(똥을 나무 안에 배설)
* 미국 흰불나방 → 연 2회 발생/ 알 - 번데기 - 성충×2회
처방 → ‘그로포수화제’로 박멸
※ 농약 뿌리는 시기
① 살충제 → 맑은 날 오전
② 살균제 → 비오기 전날, 오후는 햇빛과 화학작용 반응(5일~1주일 간격으로 3번)
③ 살비제 → 응애를 죽인다
④ 살서제 → 쥐약
* 빗자루병 → ‘옥시테트라 사이클린’(수간 주입)
1g 당 100배의 물 희석
* 솔잎혹파리 → 잎 기부에 혹을 만들고 즙을 빨아 먹음/ ‘포스팜액제’
* 잔디깍기
* 깍은 후의 잔디길이 → 가정, 공원, 공장의 잔디/ 2~3cm
* 페어웨이 → 2.0~2.5cm
* 예취기의 종류 → 핸드 모워(150m2 미만의 잔디 관리)
* 잔디밭 관리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 → ‘크로바’(약제/ 2~4D)
* 뗏밥넣기(유실된 잔디 채우기)
* 점토 : 밭흙 : 유기물 → 1 : 1 : 1 or 2 : 1 : 1 비율
* 가는 모래 : 밭흙 : 유기물 → 2 : 1 : 1 비율
1) 뗏밥 넣는 시기
* 남방형 잔디(동양 들잔디) → 6~7월에 각 1회(휴면기엔 실시 안함)
* 뗏밥의 두께 → 가정/ 0.5~1.0cm,
※ 잔디밭이 고온 다습시 → 붉은 녹병 발생
※ 공원 조도 → 0.5Lux
⑤ 생리조절 → 이식할 때, 지하부 잘린만큼 지상부를 전정하여 균형유지
* 인공수형/ 토피어리 → 동물모양, 글자 등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인위적으로 전정
※ 일본목련/ 잎에서 꽃이 핌, 한국목련/ 꽃에서 잎이 남
* 전정시기
1) 겨울 전정(마취된 상태) → 대부분의 조경수목은 겨울에 전정함(11월~3월)
* 낙엽수의 경우, 휴면 중이라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병해충 피해가지 발견이 쉬움
※ 낙엽수는 회복이 늦다, 상록수는 봄, 가을에 함, 꽃나무는 꽃이 진 후 전정, 벚나무는 전정안함
* 겨울 전정시 고려사항 → 상록 활엽수는 추위에 약하므로 강전정을 피함
* 봄 전정 → 새로운 가지와 잎이 나오는 3~5월에 실시
* 낙엽수는 최대의 성장기로 순지르기나 눈따기 등 약전정(소나무 순지르기) 함
* 여름 전정 → 6월~8월에 실시, 꽃나무는 6월에 전정을 끝냄
※ 꽃나무 전정 적기 → 화아분화 1~2월 전 또는 꽃 진 직후 가을
강 전정을 안해도 되는 나무 → 벚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 봄에 왕성한 성장 후 전정, 겨울에 치면 봄에 성장이 어렵다
* 전정 횟수 → 침엽수 1회, 상록수 중 맹아력 큰 나무 3회, 보통인 경우 2회, 낙엽수 2회
* 전정 순서와 전정할 가지
전정 순서 → 전체 수형 스케치 - 위에서 아래로 밖에서 안으로 전정, 굵은 가지에서 잔 가지순으로 전정
전정할 가지 → 도장지(튀어나온 가지), 안으로 향한 가지, 고사지, 안으로 향한 가지, 줄 기에 움돋은 가지, 교차한 가지, 평행지, 신초(맨 위에 하나만 남김)
* 전정방법 → 좁은 톱으로 전정 - 끌로 매끈하게 해주고 - 유성페인트, 방부제 바름
바깥 눈 7~10mm 위쪽 눈과 평행한 방향(90도, 눈이 커져서 가지 됨)
* 소나무 순지르기 → 5~6월에 2~3개 순을 남기고 중심ㅅ누을 포함한 나머지 순은 제거,
남길 순도 1/2~2/3 손으로 꺽어 버림
소나무류는 묵은 잎을 뽑아 투광을 좋게 하고, 생장억제 함
※ 잣나무 잎 솎기 → 2~3년생 잣나무에 실시, 8~9월에 맨손으로 쾀어 줌
* 강전정과 약전정 → 활엽수가 침엽수(겨울에는 전정금지)에 비해 강전정에 잘 견딤
* 가로수 전정 → 지하고 2.5m 이상
* 거름주기
* 비료 → 화학 비료(비싸다, 소량사용),
유기질 비료(퇴비, 일반유기질/ 싸다, 다량사용)
* 비료의 3요소(4요소) → 질소(N), 인(P), 칼륨(K), - 칼슘(Ca)
* 질소의 역할 → 부족현상/ 생장이 위축, 성숙이 빠름
과잉현상/ 도장(徒長), 종류 - 황산암모늄(토양 산성의 주범/ 산성비)
* 인의 역할 → 세포핵 분열 촉진
* 칼륨의 역할 → 저항성 향상
※ C/N 율 → 질소(뿌리에서 올라옴)에 대한 탄수화물(뿌리에 모임)의 비율
C/N 율이 낮으면 도장지, 성숙이 늦음, 높으면 생장장애, 꽃눈이 많아짐(조치 - 단근)
C/N 율의 가장 좋은 비율은 1 : 1 비율,
* 선상 거름주기 → 군식된 수목을 따라 도랑을 파 거름 줌(주목, 장미, 철쭉, 벚나무에 효과)
* 천공 거름주기 → 몇 군데에 구멍을 뚫고 거름 줌(흙과 거름을 썩어 줌 - 6개월 후 효과)
* 관수(물주는 시기)
* 물 주지 말아야 할 시간? → 11~16시(햇빛을 피해서 줌)
* 인위적인(정원) 물주기는 1년에 5회 정도
※ 꽃 핀 곳은 뿌리지 말 것, 잎과 봉우리는 좋다
* 서리 해의 예방 → 짚싸기(재일 좋은 방법은 흙덮기, 그러나 비용과 시간이 맣이 듬)
* 상렬 → 추위로 인해 나무껍질이 수선 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
* 상종 → 서리에 의해 종기가 생김/ 단풍, 배롱나무는 반드시 수피감기 할 것
※ 침엽수류는 서리피해가 없다, 껍질이 거칠다
* 공해 → 주로 여름 한 낮에 습도가 높을 때 피해가 크다(이산화황, 아황산가스)/
소나무 , 전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독일가문비나무(기공이 많이 열림)
골프장 중에서 일교차가 큰 쪽(동남쪽)이 수피가 잘 터진다(단풍, 배롱나무 등)
* 수목의 외과수술
1) 시기 → 4~9월(유합이 잘 될 때)
* 동공 충진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고무, 에폭시 레진, 폴리우레탄폼 등
2) 수간 주입(나무 줄기에 주사) → 시기는 4~9월 증산작용이 왕성한 맑은 날(흡수가 빠름)
* 구멍 뚫기 → 2곳, 수간 밑 5~10cm, 반대쪽 10~15cm,
* 구멍 각도 →30~40도, 구멍 지름 → 5 - 6 ㎝, 구멍 깊이 4~5cm,
* 수간 주입기 → 높이 180cm 정도에 고정
3) 엽면 시비 → 잎에 양분을 공급하여 회복시킴, 영양제를 필요 농도로 희석 지상부 몸 전체 가 충분히 젖도록 분무 살포(희석비율 - 500~1000배)
* 병충해의 종류
* 즙을 빨아먹는 해충 → 진딧물, 응애(살비제)
* ‘측백하늘소’가 가해하는 나무 → 측백, 편백, 화백, 향나무(똥을 나무 안에 배설)
* 미국 흰불나방 → 연 2회 발생/ 알 - 번데기 - 성충×2회
처방 → ‘그로포수화제’로 박멸
※ 농약 뿌리는 시기
① 살충제 → 맑은 날 오전
② 살균제 → 비오기 전날, 오후는 햇빛과 화학작용 반응(5일~1주일 간격으로 3번)
③ 살비제 → 응애를 죽인다
④ 살서제 → 쥐약
* 빗자루병 → ‘옥시테트라 사이클린’(수간 주입)
1g 당 100배의 물 희석
* 솔잎혹파리 → 잎 기부에 혹을 만들고 즙을 빨아 먹음/ ‘포스팜액제’
* 잔디깍기
* 깍은 후의 잔디길이 → 가정, 공원, 공장의 잔디/ 2~3cm
* 페어웨이 → 2.0~2.5cm
* 예취기의 종류 → 핸드 모워(150m2 미만의 잔디 관리)
* 잔디밭 관리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 → ‘크로바’(약제/ 2~4D)
* 뗏밥넣기(유실된 잔디 채우기)
* 점토 : 밭흙 : 유기물 → 1 : 1 : 1 or 2 : 1 : 1 비율
* 가는 모래 : 밭흙 : 유기물 → 2 : 1 : 1 비율
1) 뗏밥 넣는 시기
* 남방형 잔디(동양 들잔디) → 6~7월에 각 1회(휴면기엔 실시 안함)
* 뗏밥의 두께 → 가정/ 0.5~1.0cm,
※ 잔디밭이 고온 다습시 → 붉은 녹병 발생
※ 공원 조도 → 0.5Lu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