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표의 조사와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경표의 조사와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산경표
**산경도의 백두대간과 산맥도의 태백산맥..**
** 산경도를 파헤쳐 보자.. **
조사를 마치고..

본문내용

백두대간체계가 한눈에 들어오기 쉽게 그려져있다. 백두산에서부터 출발한 굵은 산맥이 지리산까지 뻗었는데 이 가장 큰 줄기를 백두대간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백두대간보다 약간 가는 줄기가 우리국토의 북동쪽으로 뻗어있는 장백정간이다. 백두대간과 장백정간은 우리 국토의 강이 동해로 흘러들어가는지, 서해로 흘러들어가는지 나누는 경계가 된다. 그리고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정맥들이 뻗어있는데 정맥과 정맥 사이에는 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위에서부터 차례차례로 살펴보면 백두대간과 장백정간은 백두산(장백산)의 산이름을 인용해서 지었다.청천강을 사이에 두고서 청북정맥과 청남정맥이 나뉘어 진다. 대동강아래로 해서정맥이 흐르고 있다. 해서정맥은 해서지방이라는 지방이름을 따서 지었답니다. 예성강과 임진강 사이는 임직북예성남정맥이라고 되어있다.그리고 한강을 사이에 두고 한북정맥과 한남정맥이 뻗어있고 금강(호강)을 사이에 두고 금북정맥과 금남정맥이 있다. 아래로 내려가면 호남정맥이 남해로 뻗어있고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이 만나는 곳은 금남호남정맥이라고 한다.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서 낙남정맥과 낙동정맥이 있다.
조사를 마치고..
솔직히 구글,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의 힘이 컸지만,, 찾아보고 수정하면서 여러번 읽어보며 산경표며 산경도며 무엇인지 조금은 알게 되었다.
우리가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 온 산맥도는 일제 강점때 우리의 정신을 흐릿하게 하려는 일본의 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었으며 우리조상님들께서는 산맥도보다 산경도에 가깝게 살아오셨다.
자연을 해치지 않으며 적응해 살아오신 조상님들과 같이 자연을 소중히 여기는 정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