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ⅰ. 황혼이혼 고찰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ⅱ. 황혼이혼의 개념 및 정의
ⅲ. 황혼이혼의 원인
ⅳ. 황혼이혼의 문제점
ⅴ. 황혼이혼의 대책
Ⅶ. 결론
ⅰ. 황혼이혼 고찰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ⅱ. 황혼이혼의 개념 및 정의
ⅲ. 황혼이혼의 원인
ⅳ. 황혼이혼의 문제점
ⅴ. 황혼이혼의 대책
Ⅶ. 결론
본문내용
수준인데 이는 정식 결혼을 하는 사람이 줄어드는 게 가장 큰 원인이 있다.
④ 사례4
일본에서 \'新 나리타이혼\' 유행
‘신(新) 나리타이혼’
한때 일본의 신혼부부가 신혼여행에서 돌아오자마자 이혼하는 사례가 많다고 해서 나리타(成田)공항에 빗대어 ’나리타이혼’이라는 말이 유행했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정년퇴직한 부부가 해외여행을 떠났다가 귀국하자마자 이혼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해서 ‘신 나리타이혼’이란 말이 나돌고 있다.
실제로 일본 후생노동성이 펴낸 2004년판 인구동태통계에 따르면, 결혼 20년 이상 된 부부 가운데 약 4만2천 쌍이 이혼한 것으로 조사됐다. 1985년에 비해 2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또 결혼 30년 이상 된 부부의 이혼은 4배 가까이 급증했다.
일본에서 이처럼 황혼이혼이 늘고 있는 원인으로는 오랫동안의 대화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남편의 경우 회사 업무와 사회생활 등으로 바삐 사느라 평소 아내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다가 퇴직 후 갑자기 할일이 사라지면서 아내에게 기대려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일.
그러나 여성의 입장에서는 퇴직 후 집안에만 틀어 박혀 지낼 남편에 대한 부담감, 즉 ‘부재택(夫在宅)스트레스증후군’에 시달릴 수 밖 에 없다. 그런 과정에서 부부가 남편의 정년퇴직을 기념해 갑자기 여행을 떠났다가 여행도중 사소한 일로 다투거나 상대의 몰랐던 흠까지 눈에 띄면서 갈등하다 결국 이혼까지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년퇴직 후 갑자기 해외여행에 나서는 것은 위험하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작가 니시다 사요코(西田小夜子)는 “신 나리타이혼이 확실히 늘고 있다”며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에 당일치기 국내여행이라도 다녀오면서 ‘워밍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정년 후 부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으로, 같이 즐겁게 보내려는 기분도 아닌 상태로 해외여행이나 해외이주를 택하는 것은 ‘신 나리타이혼’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일본에서는 1948년을 전후한 베이비붐 시기에 태어난 이른바 ‘단카이(團塊) 세대’ 샐러리맨들이 2-3년 후 면 무더기로 정년퇴직하게 된다. 남편들이 대거 퇴직하게 되면 그만큼 이혼 건수도 늘어날 소지가 있다. 전업주부인 경우 남편의 노령후생연금도 절반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혼을 뒤로 미루는 현상까지 있다고 한다.
2)국내 사례
① 사례 1
A모 할머니(72)의 이혼청구 소송
A할머니가 이혼청구소송을 낸 건 지난 95년. 38년 동안 참고 살아왔지만 남편 B할아버지의 봉건적인 권위의식을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다. B할아버지는 결혼 초부터 복종만을 강요했다. 조금만 마음에 들지 않아도 심하게 잔소리를 하고 A할머니가 변명을 하면 폭행을 하기 일쑤였다. 또 A할머니가 B할아버지를 만나기 전에 낳은 아들에게 재산을 빼돌릴지도 모른다고 의심해 쌀을 직접 사다주고 평생 최소한의 생활비만을 주었다. 더욱이 의처증 증세마저 있어 A할머니의 바깥출입은 물론 친정식구를 만나는 것도 허락하지 않았다.
이 같은 A할머니의 생활을 모두 인정한 재판부는 “원고가 인생의 황혼기에 이혼소송을 내게 된 데에는 평생 봉건적, 권위적으로 가정을 이끌어 온 피고의 책임이 크다.”며 “더욱이 피고가 한차례 이혼소동을 벌인 뒤에도 원고에게 반성문을 쓰라고 요구하는 등 자신의 생활방식을 원고에게 강요한 책임이 크다.”고 밝혔다.
지난 5년 동안 A할머니와 상담을 계속해 온 서울 여성의 전화측은 “A할머니는 특별한 인생을 산 것이 아니라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례 중 하나”라며 “대법원이 봉건적 가족관을 내세워 이혼을 허가하지 않았던 지금까지의 경향과는 달리 할머니의 인권을 중시하는 판결을 내렸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② 사례 2
C모 할머니의 이혼청구소송
1999년 7월, 서울가정법원은 C할머니가 제기한 이혼청구소송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외도와 부인에 대한 폭언폭행, 재산을 둘러싼 아들과의 맞고소 등으로 결혼을 파탄에 이르게 한 책임이 인정된다.”며 D할아버지(78)에게 “이혼과 함께 위자료 26억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D할아버지는 최근 지병인 당뇨가 심해져 시력까지 잃었지만 재산은 다 읽고 가족, 친지의 도움마저 끊긴 채 허망한 말년을 보내고 있다.
예비역 해병 대령출신인 D할아버지의 청춘은 그야말로 화려했다. 명문 연희전문을 졸업하고 1960년대 예편한 뒤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땅을 기반으로 부동산업을 시작, 탄탄대로를 달렸다. 100억 원 대로 늘어난 재산으로 딴 살림도 차려봤고 씀씀이 큰 손으로 학교 재단 등에 수십 억 원을 한꺼번에 기부하기도 했다. 가장의 전횡에 항의하는 아내와 자식을 때론 폭언과 폭행으로 무마시켰지만 D할아버지는 이마저도 남아의 풍류로 여겼다.
이런 할아버지에게 시련이 찾아온 것은 90년대 중반부터. 노령으로 몸이 안 좋아지기 시작해 해외에 있던 아들을 불러 사업을 맡겼지만 아들이 대표이사가 되면서 회사자산을 둘러싼 부자간의 맞고소가 이어졌다.
게다가 50여 년에 걸친 설움을 견디다 못해 아들집으로 이사한 부인 C할머니가 이혼소송을 냈고 신규건축의 건물의 계약파기로 인해 그는 재산을 다 잃고 빈털터리가 되고 말았다.
이런 그에 대해 아들과 전 부인은 구원(舊怨)을 이유로 법원에 “접근금지 신청”을 내는가 하면 전화번호까지 바꾸면서 할아버지와의 접촉을 피했다. 그는 국립의료원에 무연고 가족으로 입원했지만 가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자 입원이 취소됐고 몇몇 지인의 도움으로 지내던 병원에서조차 4개월 만에 쫓겨나고 말았다.
③ 사례 3
류모 할아버지가 당한 날벼락 같은 이혼청구소송
2000년 9월 하순, 직장생활을 하다 정년퇴직 한 뒤 놀고 지내던 류모(69)씨는 최근 40여 년을 함께 살아온 조강지처로부터 느닷없는 이혼장을 받았다.
막내아들 결혼식이 끝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갈라서자는 것이다. 아내는 “그동안 참을 만큼 참았다.”며 “재산의 절반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아내 권모씨(67)쪽의 자세는 완강하기 짝이 없었다. 10년 이상 이 순간을 오기를 별렀다는 것이다. “승진을 이유로 툭하면 외박을 하고 자신을 쥐어박던 남편을 언젠가는
④ 사례4
일본에서 \'新 나리타이혼\' 유행
‘신(新) 나리타이혼’
한때 일본의 신혼부부가 신혼여행에서 돌아오자마자 이혼하는 사례가 많다고 해서 나리타(成田)공항에 빗대어 ’나리타이혼’이라는 말이 유행했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정년퇴직한 부부가 해외여행을 떠났다가 귀국하자마자 이혼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해서 ‘신 나리타이혼’이란 말이 나돌고 있다.
실제로 일본 후생노동성이 펴낸 2004년판 인구동태통계에 따르면, 결혼 20년 이상 된 부부 가운데 약 4만2천 쌍이 이혼한 것으로 조사됐다. 1985년에 비해 2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또 결혼 30년 이상 된 부부의 이혼은 4배 가까이 급증했다.
일본에서 이처럼 황혼이혼이 늘고 있는 원인으로는 오랫동안의 대화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남편의 경우 회사 업무와 사회생활 등으로 바삐 사느라 평소 아내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다가 퇴직 후 갑자기 할일이 사라지면서 아내에게 기대려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일.
그러나 여성의 입장에서는 퇴직 후 집안에만 틀어 박혀 지낼 남편에 대한 부담감, 즉 ‘부재택(夫在宅)스트레스증후군’에 시달릴 수 밖 에 없다. 그런 과정에서 부부가 남편의 정년퇴직을 기념해 갑자기 여행을 떠났다가 여행도중 사소한 일로 다투거나 상대의 몰랐던 흠까지 눈에 띄면서 갈등하다 결국 이혼까지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년퇴직 후 갑자기 해외여행에 나서는 것은 위험하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작가 니시다 사요코(西田小夜子)는 “신 나리타이혼이 확실히 늘고 있다”며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에 당일치기 국내여행이라도 다녀오면서 ‘워밍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정년 후 부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으로, 같이 즐겁게 보내려는 기분도 아닌 상태로 해외여행이나 해외이주를 택하는 것은 ‘신 나리타이혼’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일본에서는 1948년을 전후한 베이비붐 시기에 태어난 이른바 ‘단카이(團塊) 세대’ 샐러리맨들이 2-3년 후 면 무더기로 정년퇴직하게 된다. 남편들이 대거 퇴직하게 되면 그만큼 이혼 건수도 늘어날 소지가 있다. 전업주부인 경우 남편의 노령후생연금도 절반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혼을 뒤로 미루는 현상까지 있다고 한다.
2)국내 사례
① 사례 1
A모 할머니(72)의 이혼청구 소송
A할머니가 이혼청구소송을 낸 건 지난 95년. 38년 동안 참고 살아왔지만 남편 B할아버지의 봉건적인 권위의식을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다. B할아버지는 결혼 초부터 복종만을 강요했다. 조금만 마음에 들지 않아도 심하게 잔소리를 하고 A할머니가 변명을 하면 폭행을 하기 일쑤였다. 또 A할머니가 B할아버지를 만나기 전에 낳은 아들에게 재산을 빼돌릴지도 모른다고 의심해 쌀을 직접 사다주고 평생 최소한의 생활비만을 주었다. 더욱이 의처증 증세마저 있어 A할머니의 바깥출입은 물론 친정식구를 만나는 것도 허락하지 않았다.
이 같은 A할머니의 생활을 모두 인정한 재판부는 “원고가 인생의 황혼기에 이혼소송을 내게 된 데에는 평생 봉건적, 권위적으로 가정을 이끌어 온 피고의 책임이 크다.”며 “더욱이 피고가 한차례 이혼소동을 벌인 뒤에도 원고에게 반성문을 쓰라고 요구하는 등 자신의 생활방식을 원고에게 강요한 책임이 크다.”고 밝혔다.
지난 5년 동안 A할머니와 상담을 계속해 온 서울 여성의 전화측은 “A할머니는 특별한 인생을 산 것이 아니라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례 중 하나”라며 “대법원이 봉건적 가족관을 내세워 이혼을 허가하지 않았던 지금까지의 경향과는 달리 할머니의 인권을 중시하는 판결을 내렸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② 사례 2
C모 할머니의 이혼청구소송
1999년 7월, 서울가정법원은 C할머니가 제기한 이혼청구소송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외도와 부인에 대한 폭언폭행, 재산을 둘러싼 아들과의 맞고소 등으로 결혼을 파탄에 이르게 한 책임이 인정된다.”며 D할아버지(78)에게 “이혼과 함께 위자료 26억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D할아버지는 최근 지병인 당뇨가 심해져 시력까지 잃었지만 재산은 다 읽고 가족, 친지의 도움마저 끊긴 채 허망한 말년을 보내고 있다.
예비역 해병 대령출신인 D할아버지의 청춘은 그야말로 화려했다. 명문 연희전문을 졸업하고 1960년대 예편한 뒤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땅을 기반으로 부동산업을 시작, 탄탄대로를 달렸다. 100억 원 대로 늘어난 재산으로 딴 살림도 차려봤고 씀씀이 큰 손으로 학교 재단 등에 수십 억 원을 한꺼번에 기부하기도 했다. 가장의 전횡에 항의하는 아내와 자식을 때론 폭언과 폭행으로 무마시켰지만 D할아버지는 이마저도 남아의 풍류로 여겼다.
이런 할아버지에게 시련이 찾아온 것은 90년대 중반부터. 노령으로 몸이 안 좋아지기 시작해 해외에 있던 아들을 불러 사업을 맡겼지만 아들이 대표이사가 되면서 회사자산을 둘러싼 부자간의 맞고소가 이어졌다.
게다가 50여 년에 걸친 설움을 견디다 못해 아들집으로 이사한 부인 C할머니가 이혼소송을 냈고 신규건축의 건물의 계약파기로 인해 그는 재산을 다 잃고 빈털터리가 되고 말았다.
이런 그에 대해 아들과 전 부인은 구원(舊怨)을 이유로 법원에 “접근금지 신청”을 내는가 하면 전화번호까지 바꾸면서 할아버지와의 접촉을 피했다. 그는 국립의료원에 무연고 가족으로 입원했지만 가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자 입원이 취소됐고 몇몇 지인의 도움으로 지내던 병원에서조차 4개월 만에 쫓겨나고 말았다.
③ 사례 3
류모 할아버지가 당한 날벼락 같은 이혼청구소송
2000년 9월 하순, 직장생활을 하다 정년퇴직 한 뒤 놀고 지내던 류모(69)씨는 최근 40여 년을 함께 살아온 조강지처로부터 느닷없는 이혼장을 받았다.
막내아들 결혼식이 끝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갈라서자는 것이다. 아내는 “그동안 참을 만큼 참았다.”며 “재산의 절반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아내 권모씨(67)쪽의 자세는 완강하기 짝이 없었다. 10년 이상 이 순간을 오기를 별렀다는 것이다. “승진을 이유로 툭하면 외박을 하고 자신을 쥐어박던 남편을 언젠가는
키워드
추천자료
에스오일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중국경제]중국경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보고서
[중국경제]중국경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PPT
[포퓰리즘] 포퓰리즘 정치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PPT자료
[포퓰리즘] 포퓰리즘 정치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보고서
HP의 소프트웨어 문제 (경영정보학 개론 과제)
[중국]중국 외교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보고서
[중국]중국 외교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대만]중국과 대만의 경제협력과 향후 전망 보고서
[사회과학]_비만과_자신감과의연관관계 - 실증적연구를통한방법통해결론도출
LG유플러스 서비스마케팅 전략분석, LG유플러스 마케팅 STP,7P전략분석, LG유플러스 성공요인...
스무디킹 마케팅 SWOT,4P전략분석, 스무디킹 브랜드분석및 경영전략분석, 스무디킹 경쟁사와 ...
[교과논리및논술][2018]영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논문 1개 이상 기사 2개 이상...
[교과논리및논술][2018] 맞벌이 가정 영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 운영 방안과 관련된 논문 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