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제1장 入門과 槪要
제2장 精神分析學的 아푸로-치
제3장 實存-入門主義的 아푸로-치
제4장 來談者 中心 아푸로-치
제 5장 형태요법
제 6장 의사교류 분석
제 7장 행동요법
제 8장 합리적 정서 요법
제 9장 현실요법
제 10장 심리요법 사례연구의 실례: 각 요법들의 대조와 비교
제 11장 상담과 심리요법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문제점
제 12 장 상담과 심리 요법에 있어서의 윤리적 문제점들
제 13 장 인간(a person)으로서의 상담자
제2장 精神分析學的 아푸로-치
제3장 實存-入門主義的 아푸로-치
제4장 來談者 中心 아푸로-치
제 5장 형태요법
제 6장 의사교류 분석
제 7장 행동요법
제 8장 합리적 정서 요법
제 9장 현실요법
제 10장 심리요법 사례연구의 실례: 각 요법들의 대조와 비교
제 11장 상담과 심리요법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문제점
제 12 장 상담과 심리 요법에 있어서의 윤리적 문제점들
제 13 장 인간(a person)으로서의 상담자
본문내용
은 어떤 상담자가 내담자 중심적인 입장의 주된 태도를 잘못 해석하거나 단순하게 하는 매-너에 있다. 이 접근에 대한 하나의 한계는 어떤 상담자가 “내담자 중심”이 되어 자기 자신의 인간성과 독특성을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이러므로 우리는 이 접근이 단지 傾聽하거나 반영하는 테크닉 이상의 것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제 5장 형태요법
제 1절 서론
형태심리학적인 접근은 주로 자각의 원리 위에서 실천되는 것으로 퍼스넬리티의 단편적이고도 미지의 부분들을 통합함으로서 지금-여기에서의 행동과 경험이 무엇이며 또 어떠한 가에 관심의 초점을 둔다.
제 2절 주요 개념들
1. 인간관
형태요법의 견해는 개개인이 책임을 질 수 있고 통합된 인간으로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2. 현재성
Perls는 현재 외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는 지나간 것이며 미래는 아직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만이 중요하다. 특히 “지금-여기”에 대한 강조이며 따라서 현실의 순간을 완전히 이해하고 경험하여 음미하는 것을 배우도록 강조한다.
과거가 사람의 현재 태도나 행동에 중요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질 때 가능한 한 현실에 개입시켜 다루게 한다. 예를 들면, 유아시절 아버지께 받았던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내담자 자신이 상처받은 그 아이가 되어 상상 속에 있는 아버지께 직접 이야기하게 하므로 그 상처를 재생시키고 재 경험하도록 바라는 것이다
3. 미결사항
형태요법 이론의 주요개념 중 하나는 원망, 분노, 증오, 포기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억업된 감정들을 포함하는 미결사항이다. 이 감정들은 완전히 자각에서 경험되지 않았기 때문에 배후에 남아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유효한 접촉을 방해하는 양식으로 현재 생활 속으로 옮겨진다. 개개인이 그 억압된 감정들을 직면해서 그것들을 다루게 될 때까지는 미결사항이 지속된다.
3절 치료과정
1. 치료과정
형태요법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목표가 있다. 기본 목표는, 내담자가 ‘환경적 위치에서 ’자기 위치로 옮겨가도록 도전하는 것이다. Perls에 의하면 치료의 목표는 ‘환자가 타인을 의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다는 것, 자기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순간부터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형태요법의 근본적인 목표의 하나는 자각을 성취하는 것으로서, 자각 그 자체에 의하여, 그 자체가 치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자각 없이는 내담자가 퍼스낼리티의 변화를 위한 도구를 가지지 않는다. 자각으로써 자신의 부정된 존재의 부분을 직면하고 수용하여 주관적 경험과 현실에 접하게 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내담자는 통합될 수 있고 온전할 수 있다.
2. 치료자의 기능과 역할
치료자의 목표는 내담자의 성숙이며, “한 인간이 그 자신의 두발로 서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내담자가 외적 지각에서 내적 지각으로 옮겨가도록 도우는 것인데 이것은 궁지를 알아내므로 이루어진다. 궁지는 자신이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위협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것을 회피하려는 그 지점이다.
내담자는 궁지에 빠진 순간, 내담자는 연약함, 절망, 우둔함 같은 역활을 함으로 자기 환경을 조성하려 한다. 치료자의 과업은 내담자가 궁지에서 벗어나 성장하도록 도우는 일이다.
형태요법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는, 내담자의 신체언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내담자의 비언어적인 단서들은 자신도 모르는 감정들을 빈번히 표출시키므로 치료자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3. 치료에서의 내담자의 경험
형태요법 치료겸험에서는 내담자들이 무엇을 원하고 얼만큼 원하는가를 그들 스스로가 결정짓는다. 즉 형태요법에서 내담자들은 그들 자신의 해석과 의미를 만드는 능동적인 참여자이며, 자각을 증진시키고 그들의 개인적 학습을 어떻게 활용하고 또는 활용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사람이 된다.
4. 치료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치료자는 내담자들을 지금-여기에서 대면하면서 자신의 현재 지각과 경험들을 적극적으로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자는 정직하고 즉각적인 반응으로 내담자를 대면해야 하며 내담자를 개인으로서 배척하지 않고 그의 조작에 도전해야 한다. 치료자는 내담자들과 함께 그들의 공포심, 방해물, 저항물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4절 적용-치료 테크닉과 절차
1. 형태요법의 테크닉
치료자와 내담자간의 인간적인 상호교류가 치료과정의 핵심이지만 테크닉은 내담자가 더 완전한 자각을 하고 내적 갈등을 경험하고 불일치와 분열을 해결하여 미결사항의 완성을 방해하는 궁지를 이겨내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a) 대화게임
대화 접근에 적용되리라고 생각되는 몇 개의 평범한 갈등들은 (1) 속에 있는 부모 대 속에 있는 어린이 (2) 책임성 있는 자아 대 충동적인 자아 (3)청교도적 측면 대 오염한 측면 (4) ‘착한아이’대 ‘나쁜아이’, (5) 공격적 자아 대 수동적 자아 (6) 자율적인 측면 대 원망적인 측면 등을 포함한다.
b) 순회
순회는 집단의 한 사람이 다른 이들을 둘러보게 하여 각 사람과 말하게 하거나 또는 각 사람과 무엇인가를 하게끔 하는 형태요법의 한 훈련이다. 이 테크닉의 목표는 대면하고, 모험하고, 자아를 개방시키고, 새로운 행동을 실험하고, 성장하고 변화하는 것이다.
c) \"나는 ~의 책임을 지겠다.“의 연습
이 게임에서는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무엇을 말하게 하고 ‘그리고 나는 그것에 책임을 지겠다’라고 덧붙이도록 하는 것이다.
d) \"나는 비밀이 있다.“
이 테크닉은 죄책감과 수치감을 탐색하도록 허용한다. 내담자의 비밀이 드러난다면 그들이 어떻게 느낄지 그리고 다른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는지를 상상케하는 것이다.
e) 투사놀이
“투사게임”을 통해 치료자는 “난 당신을 믿을 수 없어요” 하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믿을 수 없는 사람의 대역을 하도록 즉 상대방이 되도록 요구하여 어느 정도의 불신감이 내적 갈등인가를 알아보도록 한다.
f) 역전 테크닉
그 역전 테크닉을 뒷받침하는 이론은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에 가득찬 바로 그것에 뛰어들게 하여, 침전되고 부정되어진 자신의 부분들과 접촉케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테크
이러므로 우리는 이 접근이 단지 傾聽하거나 반영하는 테크닉 이상의 것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제 5장 형태요법
제 1절 서론
형태심리학적인 접근은 주로 자각의 원리 위에서 실천되는 것으로 퍼스넬리티의 단편적이고도 미지의 부분들을 통합함으로서 지금-여기에서의 행동과 경험이 무엇이며 또 어떠한 가에 관심의 초점을 둔다.
제 2절 주요 개념들
1. 인간관
형태요법의 견해는 개개인이 책임을 질 수 있고 통합된 인간으로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2. 현재성
Perls는 현재 외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는 지나간 것이며 미래는 아직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만이 중요하다. 특히 “지금-여기”에 대한 강조이며 따라서 현실의 순간을 완전히 이해하고 경험하여 음미하는 것을 배우도록 강조한다.
과거가 사람의 현재 태도나 행동에 중요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질 때 가능한 한 현실에 개입시켜 다루게 한다. 예를 들면, 유아시절 아버지께 받았던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내담자 자신이 상처받은 그 아이가 되어 상상 속에 있는 아버지께 직접 이야기하게 하므로 그 상처를 재생시키고 재 경험하도록 바라는 것이다
3. 미결사항
형태요법 이론의 주요개념 중 하나는 원망, 분노, 증오, 포기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억업된 감정들을 포함하는 미결사항이다. 이 감정들은 완전히 자각에서 경험되지 않았기 때문에 배후에 남아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유효한 접촉을 방해하는 양식으로 현재 생활 속으로 옮겨진다. 개개인이 그 억압된 감정들을 직면해서 그것들을 다루게 될 때까지는 미결사항이 지속된다.
3절 치료과정
1. 치료과정
형태요법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목표가 있다. 기본 목표는, 내담자가 ‘환경적 위치에서 ’자기 위치로 옮겨가도록 도전하는 것이다. Perls에 의하면 치료의 목표는 ‘환자가 타인을 의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다는 것, 자기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순간부터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형태요법의 근본적인 목표의 하나는 자각을 성취하는 것으로서, 자각 그 자체에 의하여, 그 자체가 치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자각 없이는 내담자가 퍼스낼리티의 변화를 위한 도구를 가지지 않는다. 자각으로써 자신의 부정된 존재의 부분을 직면하고 수용하여 주관적 경험과 현실에 접하게 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내담자는 통합될 수 있고 온전할 수 있다.
2. 치료자의 기능과 역할
치료자의 목표는 내담자의 성숙이며, “한 인간이 그 자신의 두발로 서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내담자가 외적 지각에서 내적 지각으로 옮겨가도록 도우는 것인데 이것은 궁지를 알아내므로 이루어진다. 궁지는 자신이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위협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것을 회피하려는 그 지점이다.
내담자는 궁지에 빠진 순간, 내담자는 연약함, 절망, 우둔함 같은 역활을 함으로 자기 환경을 조성하려 한다. 치료자의 과업은 내담자가 궁지에서 벗어나 성장하도록 도우는 일이다.
형태요법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는, 내담자의 신체언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내담자의 비언어적인 단서들은 자신도 모르는 감정들을 빈번히 표출시키므로 치료자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3. 치료에서의 내담자의 경험
형태요법 치료겸험에서는 내담자들이 무엇을 원하고 얼만큼 원하는가를 그들 스스로가 결정짓는다. 즉 형태요법에서 내담자들은 그들 자신의 해석과 의미를 만드는 능동적인 참여자이며, 자각을 증진시키고 그들의 개인적 학습을 어떻게 활용하고 또는 활용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사람이 된다.
4. 치료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치료자는 내담자들을 지금-여기에서 대면하면서 자신의 현재 지각과 경험들을 적극적으로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자는 정직하고 즉각적인 반응으로 내담자를 대면해야 하며 내담자를 개인으로서 배척하지 않고 그의 조작에 도전해야 한다. 치료자는 내담자들과 함께 그들의 공포심, 방해물, 저항물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4절 적용-치료 테크닉과 절차
1. 형태요법의 테크닉
치료자와 내담자간의 인간적인 상호교류가 치료과정의 핵심이지만 테크닉은 내담자가 더 완전한 자각을 하고 내적 갈등을 경험하고 불일치와 분열을 해결하여 미결사항의 완성을 방해하는 궁지를 이겨내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a) 대화게임
대화 접근에 적용되리라고 생각되는 몇 개의 평범한 갈등들은 (1) 속에 있는 부모 대 속에 있는 어린이 (2) 책임성 있는 자아 대 충동적인 자아 (3)청교도적 측면 대 오염한 측면 (4) ‘착한아이’대 ‘나쁜아이’, (5) 공격적 자아 대 수동적 자아 (6) 자율적인 측면 대 원망적인 측면 등을 포함한다.
b) 순회
순회는 집단의 한 사람이 다른 이들을 둘러보게 하여 각 사람과 말하게 하거나 또는 각 사람과 무엇인가를 하게끔 하는 형태요법의 한 훈련이다. 이 테크닉의 목표는 대면하고, 모험하고, 자아를 개방시키고, 새로운 행동을 실험하고, 성장하고 변화하는 것이다.
c) \"나는 ~의 책임을 지겠다.“의 연습
이 게임에서는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무엇을 말하게 하고 ‘그리고 나는 그것에 책임을 지겠다’라고 덧붙이도록 하는 것이다.
d) \"나는 비밀이 있다.“
이 테크닉은 죄책감과 수치감을 탐색하도록 허용한다. 내담자의 비밀이 드러난다면 그들이 어떻게 느낄지 그리고 다른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는지를 상상케하는 것이다.
e) 투사놀이
“투사게임”을 통해 치료자는 “난 당신을 믿을 수 없어요” 하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믿을 수 없는 사람의 대역을 하도록 즉 상대방이 되도록 요구하여 어느 정도의 불신감이 내적 갈등인가를 알아보도록 한다.
f) 역전 테크닉
그 역전 테크닉을 뒷받침하는 이론은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에 가득찬 바로 그것에 뛰어들게 하여, 침전되고 부정되어진 자신의 부분들과 접촉케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테크
추천자료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모델(정신역동,심리사회,인지행동모델)이론을 배우는 이유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사회복지실천론,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이론(Freud의 관점,자아와 방어,자유연상, 저항 등등)
사회복지실천모델(정신역동,심리사회,인지행동모델)이론을 배우는 이유
사회복지전문성의3요소(지식,가치,기술)과 비어스텍7대원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딜레...
로저스의 현상학적 성격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
로저스의 현상학적 성격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에 대해 기술
사회복지실천에 정신분석이론을 적용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을 기술
생태체계이론과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에 대해 기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분석심리학 이론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본인의 견해를 피력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정신역동이론 - 정신분석이론, 사회복지 실천과의 관계, Freud의 생애와...
[사회복지실천론] 교류분석 이론에 입각하여 4가지 인생태도 중 본인과 가깝다고 생각되는 하...
사회복지실천론_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주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회복지실천방법(문제해결 ...
인간행동에 관한 이론 중 인본주의 이념과 사회체계이론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후, 이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