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동향 조사 및 예측)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동향 조사 및 예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DLP에 대한 기초내용과 시장 및 기술동향 조사)
1.1 개요
1.2 응용제품

2. 본 론 (관련분야 기술과 특허 조사 및 분석)
2.1 특징과 단점
2.2 DLP프로젝터 구조 및 투사방법
2.3 DMD칩 구조와 원리
2.4 특허분석

3. 결 론 (시장성 및 기술동향 분석과 예측)
3.1 국내외시장현황분석
3.2 미래기술예측

4. 참고자료

본문내용

수 있는 기능 때문에, 스마트폰과 같은 제품들에 내장되는 초소형 프로젝터 시장 규모가 향후 4년간 60배 성장할 것이라고 iSuppli는 전망한다. 내장형 초소형 프로젝트 매출은 올해 50,000 대 미만에서 2013 년에 300백만 대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다.
◇ HP·미쓰비시·카시오·벤큐 등 후발업체가 렌즈반사(DLP) 방식으로 제품 라인업을 새로 갖추고 공격 마케팅의 고삐를 죄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은 DLP 방식이 LCD에 비해 점유율은 낮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빠른 속도로 성장, LCD 방식 제품으로 시장을 과점했던 히타치와 엡슨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고 있다. 프로젝터 업계에서는 LCD와 DLP 제품의 점유율이 올해 8대2 수준에서 내년 7대3, 이어 2, 3년 내에 5대5 정도로 급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 DLP 진영 총 공세=히타치와 엡슨의 LCD 제품에 가려 빛을 못 봤던 DLP 제품이 서서히 주목받고 있다. 주요 업체가 잇달아 가격을 내리고 LCD에 버금가는 제품 라인업을 갖추면서 시장 점유율도 꾸준하게 상승하는 상황이다. DLP 방식으로 국내 시장 1위를 달리고 있는 대만계 IT기업 벤큐는 이달 중순 100만원 초반대의 새 모델을 국내 시장에 소개할 계획이다.
가정용 시장을 겨냥한 이 제품은 100만원대 보급형 모델로는 드물게 5단 컬러 휠 기능을 지원해 훨씬 선명한 화면을 보여준다. 벤큐는 이 제품 출시로 3000 안시 루멘에서 1000 안시 루멘까지 7개 DLP 모델을 갖추게 됐다. 한국HP도 가정용과 휴대형 시장을 겨냥해 DLP 방식 3개 모델을 추가했다. 카시오도 무상 보증 기간을 2년으로 늘렸으며 미쓰비시도 제품 라인업을 DLP 중심으로 크게 강화했다.
◇ 흔들리는 선두업체의 ‘아성’=DLP 제품 수요가 꾸준하게 늘면서 LCD 제품을 취급했던 업체는 크게 긴장하고 있다. 사실 국내 프로젝터 시장은 조달 등 공공수요까지 합쳐 LCD 방식을 주력으로 히타치(신도시스템)와 엡슨(한국엡손) 두 업체가 40%대를 과점해 왔다. 이들은 지금까지는 LCD 제품의 시장 우위를 자신하지만 DLP 방식에 대한 견제를 늦추지 않고 있다.
◇ 전망=올해 국내 프로젝터 시장은 지난해 2000억원 규모에서 25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규 시장의 하나로 떠오른 가정용 프로젝트도 올해 10% 수준에서 내년에 20% 성장하는 등 3년 내에 전체 시장에서 40%까지 차지할 전망이다. 특히 주요 업체가 DLP 방식 가정용 프로젝터를 잇달아 출시하고 전체 프로젝터 시장의 35%에 달하는 정부 조달 시장에서 DLP 프로젝터가 선전해 DLP 시장에 점차 활기가 돌고 있다. 게다가 DLP 진영은 지난 4월 프로젝터 사업을 중단한 후지쯔의 ‘반사 이익’까지 본 것으로 집계돼 히타치와 엡슨의 ‘과점 체제’는 더욱 흔들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 미래기술 예측
1. 신형 DPL기술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 Inc.)는 프로젝터용 디바이스인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칩의 신제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1024×768(XGA) 화소의 미러를 MEMS 기술로 집적한 DMD(Digital Micrometer Device)의 칩 면적을 기존의 XGA 제품에 비해 약 38% 삭감하여 저비용화를 실현하였다. 이 기술에 의해 DMD 칩을 포함하는 광학 디바이스의 비용을 기존의 제품에 비해 20% 정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이번에 발표한 DLP 칩은 한 화소에 상당하는 미소 미러를 10.8m로 제작하여, 기존의 13.68m에 비해 한 변을 21% 정도 줄였다. 이런 방법으로 칩 면적을 크게 축소하였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화질 향상에 기여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TI사는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FTP(fast track pixel) 기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Dynamic Black] 기술, 고화질 기술인 [Smooth Picture] 기술 등을 도입해왔다. 또한 각 미러의 지지 기둥의 밑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을 줄여 반사율의 저하 억제를 도모해왔다. 이번 기술 발표에서 화질 개선보다 칩 면적 축소를 우선한 것은, 최근의 민생 기기 시장의 경우, 고객으로부터의 요구가 화질보다는 비용에 대해 보다 엄격해졌기 때문이다.
비용면에서 보면 DLP를 사용하는 TV가 유리한 입장에 있는 것은 사실이며, 이러한 이점은 향후에도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1) 화면의 대형화와 (2) 소재 가격의 상승에 근거한다.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DLP를 사용하는 TV가 유리해지는 이유는, 핵심 소자를 화면의 대형화에 맞추어 크게 해야 할 필형화됨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 기술 개발에서 실현된 것 처럼 핵심 소자 자체를 작게 만들 수도 있다. 40인치 이상에서는 부재의 비용을 PDP에 비해 절반 정도로 줄일 수도 있다. 부재 비용의 비율을 줄일 수 있게 되면, 공급 있잉으로 인한 세트 가격의 하락과 소재 가격의 급등 사이에서 일어나는 사업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I는 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회질 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도 계속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DMD 기술은 아직 새로운 기술 분야로 개선의 여지도 많다고 밝히고 있다. 향후, 화상 처리 이외에 DMD 자체의 개량에 대해서는 현재 90% 정도인 Al 미러의 반사율을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다. 미러의 액츄에이터 부분을 개량하여 응답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인접한 화소의 간격을 좁혀 개구율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컬러 필터에 의한 화질 열화를 막는 기술 개발도 진행할 예정이다.
■ 참 고 자 료
[1]. 전자정보센터, www.eic.re.kr
[2]. 특허검색, http://search.wips.co.kr/
[3]. DLP website from Texas Instruments, www.dlp.com
[4]. Texas Instruments, www.ti.com
[5]. Texas Instruments Korea, www.tikorea.com
[6]. 전자신문, www.etnews.com

키워드

DLP,   Digital light,   light processing,   dmd,   mems,   lcd,   tft,   pdp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2.06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