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결과보고서
■실험 진행 및 결과
■소감 및 건의사항
예비보고서
1. 목 적
2. 이 론
■실험 진행 및 결과
■소감 및 건의사항
예비보고서
1. 목 적
2. 이 론
본문내용
차
* 모든 사진을 같은 거리에서 사진을 찍지 않아서 실제 크기와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음.
■소감 및 건의사항
이번실험은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멀티미터로 출력전압을측정하는 실험이었습니다. 함수발생기에는 정현파 및 사각파등 파형을 만들어 낼 수있고 진폭과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류 오프셋이라고 하는 것은 출력전압에 직류값을 더해주는 것입니다. 함수발생기에서 sin라는 함수가 발생하고 있을때 직류 오프셋을 5V를 주면 전체 함수발생기는 sin+5 V 가 되는것입니다. 즉 파형을 위와 아래로 움직여주는(y축상)의 상수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직류 오프셋을 +로 주게되면 오실로스코프에서 측정되는 교류파형을 오프셋이 없을때보다 위로 올라가게 되며 -로 주게되면 오프셋이 없을때보다 그래프가 아래로(-y축) 내려가게 되는것입니다.
함수발생기에서 교류전압이 출력되고 있을때 그래프는 정현파를 그리고 있으므로 멀티미터로 측정을 하면 일정한 값이 찍히게 되는데 이는 시간 t에 의존하는 정현파가가 일정한 값을 가지고 있다는 모순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멀티미터는 전압의 rms값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멀티미터에 표시되는 전압 V는 원래 Vrms값으로은 root-mean-square을 뜻하며 진폭을 로 나누어준 것입니다. 어떤 교류전압이의 형태라면 그것의 Vrms 값은 5/=3.536Vrms이며 멀티미터로 측정을 해보면 같은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220V는 실제론 rms값이며 원래 교류전압의 진폭은 220
가 되는것과 같습니다.
예비 보고서
제 9장 : 신호모델 및 해석
신호모델 및 해석
1. 목 적
시스템과 입출력 신호와의 이론적 관계를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기본 회로의 동 RC, RL, RLC와 같은 회로시스템 해석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의 수학적 형태를 이해하고, Function Generator 사용법을 익혀서 이를 확인한다.
2. 이 론
시스템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연속, 양자성에 따라 이산, 연속, 디지털 시스템 그리고 선형성에 따라 선형 시스템으로 나뉘게 된다. 우리가 다루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선형 시스템으로써 시스템에 입력된 신호는 시스템에 따라 독특하게 변환되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간단한 전기회로를 생각하면 입력은 전원장치의 전압, 출력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가 될 수 있다. 이 때 저항과 전선의 연결 상태는 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앞으로 다루게 될 RC, RL, RLC 회로 등은 하나의 시스템이 될 수 있고 이러한 회로 시스템은 입력신호를 우리에게 유용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다양하고 친숙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1) 완전응답= 강제응답 + 고유응답
2) 강제응답 : 시간이 무한대에서의 응답(DC 전원에 대해 L은 단락 회로로 C는 개방회로로 만든 후 전압이나 전류를 구한다.)
3) 고유 응답은 회로의 L과 C의 초기값에 의한 응답이다. 그것의 형태는 의 형태를 가지며, 다음의 순서대로 구하면 된다.(단 x는 인덕터인 경우는 전류이며 커패시터인 경우는 전압이다.)
① 독립전원을 제거한 회로에 대한 회로방정식을 유도한다.
② d/dt를 미분 연산자 s로 치환한 후 특성방정식을 구한다.
③ 특성방정식의 근이 고유 응답의 지수 값이다.
④ 상수 A는 초기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1) 단위 계단 함수(The Unit Step Function)
u(t) = 1 t ≥0 u(t-a) = 1 t ≥a
0 t <0 0 t <a
u(t+a) u(a-t)
회로와 시스템 연구에 있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함수 중의 하나가 단위 계단함수이다.
첫 번째 그림에 t>0에 대해서는 단위값을 갖고, t<0에 대해서는 0의 값을 갖는 함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발생된다. 스위치가 닫히면 그림에서 보이는것처럼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위의 네 그림에서 보면 단위계단함수는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 있는데 t=a일때를 기준으로 신호의 값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그림에서의 예를 들어보면 u(t)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u(t)=0(t<0) , 1(t>1)
(2) 단위 경사 함수(The Unit Ramp Function)
t=0에서 시작하는 단위 경사 함수이다. 이러한 함수는 단위계단 함수를 사용하여 t<0에서 함수의 값을 소멸시킴으로써 쉽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위에 나타난 단위경사함수 r(t)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r(t) = tu(t)
일반적으로 t=t0에서 시작하는 기울기 k의 경
* 모든 사진을 같은 거리에서 사진을 찍지 않아서 실제 크기와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음.
■소감 및 건의사항
이번실험은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멀티미터로 출력전압을측정하는 실험이었습니다. 함수발생기에는 정현파 및 사각파등 파형을 만들어 낼 수있고 진폭과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류 오프셋이라고 하는 것은 출력전압에 직류값을 더해주는 것입니다. 함수발생기에서 sin라는 함수가 발생하고 있을때 직류 오프셋을 5V를 주면 전체 함수발생기는 sin+5 V 가 되는것입니다. 즉 파형을 위와 아래로 움직여주는(y축상)의 상수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직류 오프셋을 +로 주게되면 오실로스코프에서 측정되는 교류파형을 오프셋이 없을때보다 위로 올라가게 되며 -로 주게되면 오프셋이 없을때보다 그래프가 아래로(-y축) 내려가게 되는것입니다.
함수발생기에서 교류전압이 출력되고 있을때 그래프는 정현파를 그리고 있으므로 멀티미터로 측정을 하면 일정한 값이 찍히게 되는데 이는 시간 t에 의존하는 정현파가가 일정한 값을 가지고 있다는 모순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멀티미터는 전압의 rms값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멀티미터에 표시되는 전압 V는 원래 Vrms값으로은 root-mean-square을 뜻하며 진폭을 로 나누어준 것입니다. 어떤 교류전압이의 형태라면 그것의 Vrms 값은 5/=3.536Vrms이며 멀티미터로 측정을 해보면 같은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220V는 실제론 rms값이며 원래 교류전압의 진폭은 220
가 되는것과 같습니다.
예비 보고서
제 9장 : 신호모델 및 해석
신호모델 및 해석
1. 목 적
시스템과 입출력 신호와의 이론적 관계를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기본 회로의 동 RC, RL, RLC와 같은 회로시스템 해석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의 수학적 형태를 이해하고, Function Generator 사용법을 익혀서 이를 확인한다.
2. 이 론
시스템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연속, 양자성에 따라 이산, 연속, 디지털 시스템 그리고 선형성에 따라 선형 시스템으로 나뉘게 된다. 우리가 다루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선형 시스템으로써 시스템에 입력된 신호는 시스템에 따라 독특하게 변환되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간단한 전기회로를 생각하면 입력은 전원장치의 전압, 출력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가 될 수 있다. 이 때 저항과 전선의 연결 상태는 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앞으로 다루게 될 RC, RL, RLC 회로 등은 하나의 시스템이 될 수 있고 이러한 회로 시스템은 입력신호를 우리에게 유용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다양하고 친숙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1) 완전응답= 강제응답 + 고유응답
2) 강제응답 : 시간이 무한대에서의 응답(DC 전원에 대해 L은 단락 회로로 C는 개방회로로 만든 후 전압이나 전류를 구한다.)
3) 고유 응답은 회로의 L과 C의 초기값에 의한 응답이다. 그것의 형태는 의 형태를 가지며, 다음의 순서대로 구하면 된다.(단 x는 인덕터인 경우는 전류이며 커패시터인 경우는 전압이다.)
① 독립전원을 제거한 회로에 대한 회로방정식을 유도한다.
② d/dt를 미분 연산자 s로 치환한 후 특성방정식을 구한다.
③ 특성방정식의 근이 고유 응답의 지수 값이다.
④ 상수 A는 초기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1) 단위 계단 함수(The Unit Step Function)
u(t) = 1 t ≥0 u(t-a) = 1 t ≥a
0 t <0 0 t <a
u(t+a) u(a-t)
회로와 시스템 연구에 있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함수 중의 하나가 단위 계단함수이다.
첫 번째 그림에 t>0에 대해서는 단위값을 갖고, t<0에 대해서는 0의 값을 갖는 함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발생된다. 스위치가 닫히면 그림에서 보이는것처럼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위의 네 그림에서 보면 단위계단함수는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 있는데 t=a일때를 기준으로 신호의 값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그림에서의 예를 들어보면 u(t)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u(t)=0(t<0) , 1(t>1)
(2) 단위 경사 함수(The Unit Ramp Function)
t=0에서 시작하는 단위 경사 함수이다. 이러한 함수는 단위계단 함수를 사용하여 t<0에서 함수의 값을 소멸시킴으로써 쉽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위에 나타난 단위경사함수 r(t)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r(t) = tu(t)
일반적으로 t=t0에서 시작하는 기울기 k의 경
추천자료
FFT 해석 실험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과 구조응력 해석 시험
단방향 및 양방향 무선호출 방식의 기술적 특성과 원리
국내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상의 오류 및 원인 측정
MATLAB을 이용한 ASK,FSK및 Voice와 Music 합성 프로젝트(소스포함)
디지털 신호의 출력 원리(7segment)
교통안전시설의 목적과 종류 및 기능
IT와경영정보시스템 1공통)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의 비교 및 디지털 방식의 장점
18장 rc 및 rl 회로의 ac 정상상태 응답 (예비) (2)
지구온난화-지구환경,지구온난화 위기사례,지구온난화 환경문제,북극 빙하가 녹는 현황 및 실태
광섬유 증폭기 실험 - 광섬유 원리 및 특성 실험, 광커넥터 및 광 수동소자 특성 실험 결과 ...
추천레포트[알코올 중독 해결책과 기관방문] 알코올 중독의 개념과 특성, 진단 및 알코올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