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와 죽음에 대한 연구A+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스피스와 죽음에 대한 연구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죽음에 대한 정의
1. 죽음의 정의
2. 종교에서의 죽음
3. 학자들의 정의

Ⅱ. 죽음과정의 준비
1. 죽음과정의 준비
2. 정상적인 신체적인 증상과 적당한 대응책
2. 정상적인 정서적, 정신적, 영적 증상과 적절한 대응책
3. 죽음이 일어나는 때

Ⅲ. 호스피스의 정의와 어원
1. 호스피스의 정의
2. 일반적으로 호스피스란
3. 호스피스의 어원

Ⅳ. 외국 호스피스 활동과 역사적 배경
1. 호스피스 활동의 역사적 배경
2. 외국의 역사적 호스피스 활동

Ⅴ. 호스피스의 유형과 구성역할
1. 호스피스의 유형
2. 호스피스 팀의 구성과 역할

Ⅵ. 호스피스의 간호
1.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2. 호스피스 간호
3. 말기환자 병원이용

Ⅶ. 호스피스의 목적과 철학적 배경
1. 호스피스의 철학과 그 배경
2. 호스피스의 목적
3. 호스피스의 기본원리
4. 호스피스와 전통적 치료

Ⅷ. 호스피스의 유형(모델)과 대상자 선정
1. 현행 호스피스 운영 실태
2. 바람직한 호스피스 전달체계 모형
3. 호스피스 대상자 선정 기준
4. 호스피스 대상자의 사전 동의

Ⅸ. 호스피스와 함께 체험한 삶과 죽음 (사례)
1. 사례1
2. 사례2
3. 사례3

Ⅹ. 호스피스의 영적 돌봄
1. 영적 돌봄 방안
2. 영적 돌봄의 개념
3. 영성(Spirituality)의 정의
4. 말기환자의 영적 상태, 돌봄 방안
5. 호스피스 봉사자의 영적 케어 방안
6. 말기환자의 임종과정과 돌봄

ⅩⅠ.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전망과 과제
1. 호스피스 요양과 체질 식이요법
2. 우리나라의 호스피스의 실정과 전망
3.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과제

ⅩⅡ. 호스피스 기관
1. 가톨릭재단의 호스피스 기관
2. 기독교재단의 호스피스 기관
3. 국내 호스피스 기관

참고자료

본문내용

고 있다. 그 종류로는 병원호스피스, 시설 호스피스, 가정 호스피스, 주간 호스피스( Day Care ),
최근 발표된 총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망원인의 1위는 암이다. 그리고 암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점차 확대되어 가는 실정이다. 거기에 따라서 우리 호스피스 사역에 대한 사회적 기대 또한 비례할 수밖에는 없다. 여기에 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는 호스피스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전무한 실정이다. 일반 환우에 비하여 간호인원이 약 2배 이상 요구되고 있으면서도(전인적인 돌봄) 기존 의료 숫자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섬김이 이루워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스럽기는 지난 8월 7일자 정부에서는 호스피스 제도화를 추진 중에 있다고 발표한 바가 있다. 이에 앞으로 호스피스는 탄력을 받게 될 것이고, 본격적으로 활성화, 보편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된다.
3.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과제
환자의 영적인 상태를 파악, 영적 케어를 제공하는 것은 그들이 죄의식을 숨긴 채 희망 없이 외롭게 죽어가지 않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영적 케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병자 자신의 영적 측면을 깊이 이해, 영적인 안녕상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환자와의 인격적인 만남과 주의 깊은 경청, 침묵을 적절히 사용하면서 곁에 있어 준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보다 짧은 시간이라도 진실한 관심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존재를 선물로 제공할 때, 바람직한 영적 케어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고통, 죽음에 직면하여 신음하는 환자가 남은 생애동안 삶의 질을 높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살다가 내세에 대한 희망속에서 평온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ⅩⅡ. 호스피스 기관
1. 가톨릭재단의 호스피스 기관
나자렛집, 대구 가톨릭 의료원, 대구 파티마 병원(원목실), 모현 호스피스, 목포 성골롬반 병원, 부산 메리놈 병원, 부산 성요셉 병원, 샬트르성 바오로 수녀외 가정 호스피스성가복지 병원,신대방 가정호스피스, 원주 가톨릭 병원자원봉사회, 제주 이사돌의원, 춘천 성골롬반 가정호스피스, 포항 성모병원, 성바오로병원, 나사렛 가정간호스피스, 서울 성가 복지 병원, 서울 가톨릭 사회 복지회 가정 호스피스, 가톨릭대학 성빈센트 병원, 가톨릭대학 성모자애 병원, 부천 성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 강릉 갈바리 의원, 부산대학병원, 광주 천주 의성 요한 가정호스피스
2. 기독교재단의 호스피스 기관
사랑의 교회 호스피스, 대구 동산 호스피스, 부산 고신 의료원, 부산 일신 기독병원, 광림 교회 호스피스 선교회, 샘물 호스피스, 세브란스 가정 호스피스, 이화여대 간호대학 가정 호스피스, 인천 호스피스, 전주예수 병원 무지개 호스피스, 인천 기독교 회관 샬롬 호스피스, 소망 호스피스, 수원기독 호스피스, 안양 호스피스, 실로암 호스피스, 안양 평안 호스피스, 제주 호스피스 션교회충북지역 병원 선교협의회 호스피스
3. 국내 호스피스 기관
서울
고대안암병원 호스피스 02-920-5850, 5977
광석교회 호스피스 02-965-2451∼4
남서울교회 호스피스 02-534-3631
무지개 호스피스 02-736-1928
방화6복지관 호스피스 02-666-6181∼3
사랑의 교회 호스피스 02-3479-7619
샘물 호스피스 선교회 02-532-0091
세브란스 호스피스 02-361-7653
이화여대 호스피스 02-312-4100
일원동교회호스피스 031-713-0560
잠실중앙교회 호스피스 02-472-9775
순복음 호스피스 02-3492-4592, 019-433-5484
한양 호스피스 02-2290-8832, 8103
보훈병원 호스피스 02-2225-1781
순천향대학병원 호스피스 02-709-9747
충신교회 호스피스 02-793-7740, 011-9755-7747
경기
인천 호스피스 032-433-0146
송월 호스피스 032-765-7851
수원기독 호스피스 선교회 031-253-1060
안양 호스피스 선교회 031-443-2785
의정부 실로암 호스피스 031-828-5147, 031-871-6768
평안 호스피스 031-467-9259
하늘다리 호스피스 031-780-5151, 031-706-3315
충청 공주CCC 사랑의 호스피스 041-854-2397, 011-411-9623
대전 실로암 호스피스 042-637-6896
충북대학병원 호스피스 043-269-6831, 0191
사랑의 호스피스 041-573-4384, 041-571-7761
강원
봄내 호스피스 033-263-5454, 017-380-9432
원주CCC 사랑의 호스피스 033-762-6045
경상
대구 동산병원 호스피스 053-250-7974
부산 고신의료원 호스피스 051-990-6747
수영로교회 호스피스 051-751-0561, 011-9536-5085
부산 일신기독병원 호스피스 051-634-1505
부산대병원 호스피스 051-240-7180, 7887
울산 호스피스 052-259-5959
전라
광주CCC 사랑의 호스피스 062-232-4954
겨자씨교회 호스피스 062-231-7367, 016-611-6830
군산 호스피스 063-441-1114, 1324
소망 호스피스 063-433-5171, 4171
전주 엠마오사랑병원 호스피스 063-232-8881∼5, 063-231-5333
전주 예수병원 호스피스 063-231-5709
전주크로스 호스피스 063-254-0917
제주
제주 호스피스 선교회 064-726-3108, 011-317-3108
참고자료
김옥라편저, 호스피스, 수문사, 1990
김계현, 상담심리학, 학지사, 1995
임향숙(2000), 우리나라 호스피스 Social Worker의 역할에 관한 연구, 경희대 행정대학원
김수지, (2001). 호스피스 총론. 서울 : 한국호스피스협회.
주디스 앨런 셀리. 윤귀남. (2001). 영혼을 치유하는 간호. 서울 : IVP출판사
죄화숙, (2002). 서울 : 조선일보 출판국
현외성, 김용환. (2000). 노인 케어론. 서울 : 양서원
이혜숙,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1.
문인숙, 노인복지의 이해. 홍익재. 1992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2.09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