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목차
1. 청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2. 청각생리와 청각장애의 원인
3.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
4. 청각장애의 영향
5.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6. 청능 훈련과 독화지도
7. 언어와 말하기 지도
8. 읽기 지도
9. 쓰기 지도
10. 수화와 지화
11. 진로․직업 교육
12. 청각장애인용 통신기기와 관련 기기
그 외 여러 개론서 정리
2. 청각생리와 청각장애의 원인
3.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
4. 청각장애의 영향
5.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6. 청능 훈련과 독화지도
7. 언어와 말하기 지도
8. 읽기 지도
9. 쓰기 지도
10. 수화와 지화
11. 진로․직업 교육
12. 청각장애인용 통신기기와 관련 기기
그 외 여러 개론서 정리
본문내용
는 것이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6. 5개음 검사
-말소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음소 중에서 대표적인 5개음을 선정하여 이들의 청취능력을 검사함으로써 청각장애 아동의 어음 청취력을 간편하게 진단하는 방법.(예: 자극음을 제시방향, 제시거리, 강도 수준을 달리하여 아동에게 제시하고 반응을 평가)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5개음: ee[i], oo[u], ah[a], sh[∫], ss[s]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CREAR 혹은 말소리 바나나(speech banana): 약 1.8m의 거리에서 대화할 때 나타나는 5개음의 주파수에 따른 강도를 청력도에 표시했을 때, 이들 주파수 분포가 약 200Hz에서 6000Hz까지, 강도분포는 30dB에서 60dB까지 나타나는 것을 표시한 영역.
-대부분의 말소리는 바나나 모양 안에 포함. ee[i], oo[u], ah[a] 음의 제 1형성음과 제2 형성음도 포함.
-청력수준이 250Hz:80dB, 500Hz:100db, 1000Hz:110dB, 2000Hz:115dB, 4000Hz:85dB을 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음. 이 범위 내에서 청력손실을 입은 아동이 적절한 보청기를 착용한다면, 의미있는 말소리 구성 요소를 쉽게 탐지하고 변별할 수 있음.
-5개음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의미있는 단서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음으로, 예를 들어 ee[i]나 oo[u]를 들을 수 없다면 300Hz주변에서 나타나는 비음도 들을 수 없다.
-선정된 5개음 이외에 또다른 음을 사용하여 검사할 수도 있음. 예) 중도의 청력손실을 가지고 있는 아동은 저주파수 대역의 음을 비교적 잘 들을 수 있으므로, 250Hz대의 검사에서 /m/을 추가하여 검사할 수 있음.
-5개음 검사의 활용: A-A로 표시된 것은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청취 수준, 청력도b는 보청기의 재적합 과정을 거친 후의 검사 결과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① 청력도에 의한 예측: 아동의 청취 역치는 250Hz에서 70Db로 가장 좋으며, 4000Hz에서 95dB로 가장 나쁨.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청취는 가능하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청취는 곤란을 겪게 될 것.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청력수준도 크게 개선되지 않음.
② 5개음 검사에 의한 예측: 아동의 청력은 1000Hz에서만 어음 청취 범위에 들어가 있음. 그러므로 아동은 5개음 중 /a/음만 들을 수 있을 것임. 청력도를 통해 예측가능한 것은 아동이 대부분의 말소리를 들을 수 있으나, /s/음의 청췬느 곤란할 것이며, 2000Hz에서의 음향이득이 너무 크다는 것. 5개음 검사 실제 실시 결과도 예측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날 것임.
③ 언어지도를 위한 조치: 아동의 특성에 맞게 보청기를 재조정해야함. 2000Hz의 음향이득을 10dB정도로 낮추어야 함. 4000Hz에서의 청취역치는 약 55dB이므로 마찰음 /s/를 들을 수 없음. 따라서 /s/음을 듣게 하려면 10~20dB의 이득이 더 필요.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7. 유아 청력 검사
8. 음장청력검사
① 음장청력검사
- 음장청력검사는 자발적인 반응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헤드폰 착용을 꺼리기 때문에 표준 순음청력검사를 따르지 못하는 사람의 청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리고 보청기를 사용하는 피검자의 청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음장청력검사에서는 순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검사실에서 순음은 고정파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대신에 진동음이 주로 사용된다. 진동음의 주파수는 순음의 주파수 주위를 약간 더 포함한다.
- 음은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하여 제시되며, 청력검사기의 다이얼의 수치와 비례되는 음 수준으로 측정되는 위치에 가능한 피검자를 앉힌다. 음정청력검사에서는 헤드폰을 사용할 때와는 달리 피검자의 반응은 dB SPL로 기록된다. 음장청력검사는 보청기 착용 시와 미착용 시 모두 실시되며, 보청기 착용 청력검사의 경우 보청기로부터 받는 이득의 정도를 측정한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② 행동관찰청력검사(BOA)
피검자가 유아나 중복장애인 경우에 무의식적 반응, 즉 음원 쪽으로 머리나 눈을 돌리거나 스피커 쪽으로 기어가거나 활동이나 발성의 정지는 검사의 근거가 된다. 이 경우에 진동음보다 다른 자극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상생활의 소리를 녹음한 것이나 실제 목소리 소음을 사용한다. 이런 음장청력검사의 형태를 행동관찰청력검사(BOA)라 부른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③ 조건화정방위반응청력검사(CORA)
음장청력검사에서 또 다른 반응형태는 조건화 반응이다. 이는 시각강화청력검사(VRA)로 불리며 조건화정방위반사에 기초를 두고 있다. CORA에서 시각강화검사는 청각 자극에 대하여 행동반응을 요구한다. 전형적으로 이 기술은 쉽게 관찰되는 머리 들기가 발달된 유아나 어린 아동에게 사용된다. 소리자극과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것을 짝으로 몇 번 제시한 후 청각신호 만 제시한다. 아동이 소리와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것과 연결 짓는 것을 배우면 아동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을 찾게 될 것이다. 이 바라보는 행동은 청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보고 아동이 적절하게 반응하는 경우에 아동은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것을 보상으로 제시받게 된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④ 한계
㉠ 반응은 좋은 귀의 청감도를 반영한다.
자극이 헤드폰을 통해서 전달되기보다 스피커로 제시되기 때문에 가각의 귀를 따로 검사하지 못한다. 그래서 정상반응이 획득되었다면 임상가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한쪽 귀는 정상 청감도를 갖고 있을 것으로 결론을 짓는다.
㉡ 음장청력검사는 기도의 청력 수준을 알려 준다.
이것은 기도검사가 전반적인 청감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유용하지만 골ㄹ도의 정보가 부족하면 전도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을 구별하기 어렵다.
㉢ 피검자가 유아인 경우 믿을 만한 반응을 보이는 자극의 가장 낮은 수준은 역치라기보다 가장 좋은 반응 수준으로 생각된다.
㉣ 음장청력검사 결과는 헤드폰을 사용하는 순음청력검사와 같이 구체적인 주파수의 진동음을 사용했을지라도 청력검사도에 HL로 기록하지 않는다. 음장청력검사에서 자극 수준은 dB SPL로 표시되며, dB HL과는 다른 점이 있다. 음장
6. 5개음 검사
-말소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음소 중에서 대표적인 5개음을 선정하여 이들의 청취능력을 검사함으로써 청각장애 아동의 어음 청취력을 간편하게 진단하는 방법.(예: 자극음을 제시방향, 제시거리, 강도 수준을 달리하여 아동에게 제시하고 반응을 평가)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5개음: ee[i], oo[u], ah[a], sh[∫], ss[s]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CREAR 혹은 말소리 바나나(speech banana): 약 1.8m의 거리에서 대화할 때 나타나는 5개음의 주파수에 따른 강도를 청력도에 표시했을 때, 이들 주파수 분포가 약 200Hz에서 6000Hz까지, 강도분포는 30dB에서 60dB까지 나타나는 것을 표시한 영역.
-대부분의 말소리는 바나나 모양 안에 포함. ee[i], oo[u], ah[a] 음의 제 1형성음과 제2 형성음도 포함.
-청력수준이 250Hz:80dB, 500Hz:100db, 1000Hz:110dB, 2000Hz:115dB, 4000Hz:85dB을 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음. 이 범위 내에서 청력손실을 입은 아동이 적절한 보청기를 착용한다면, 의미있는 말소리 구성 요소를 쉽게 탐지하고 변별할 수 있음.
-5개음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의미있는 단서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음으로, 예를 들어 ee[i]나 oo[u]를 들을 수 없다면 300Hz주변에서 나타나는 비음도 들을 수 없다.
-선정된 5개음 이외에 또다른 음을 사용하여 검사할 수도 있음. 예) 중도의 청력손실을 가지고 있는 아동은 저주파수 대역의 음을 비교적 잘 들을 수 있으므로, 250Hz대의 검사에서 /m/을 추가하여 검사할 수 있음.
-5개음 검사의 활용: A-A로 표시된 것은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청취 수준, 청력도b는 보청기의 재적합 과정을 거친 후의 검사 결과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① 청력도에 의한 예측: 아동의 청취 역치는 250Hz에서 70Db로 가장 좋으며, 4000Hz에서 95dB로 가장 나쁨.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청취는 가능하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청취는 곤란을 겪게 될 것.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청력수준도 크게 개선되지 않음.
② 5개음 검사에 의한 예측: 아동의 청력은 1000Hz에서만 어음 청취 범위에 들어가 있음. 그러므로 아동은 5개음 중 /a/음만 들을 수 있을 것임. 청력도를 통해 예측가능한 것은 아동이 대부분의 말소리를 들을 수 있으나, /s/음의 청췬느 곤란할 것이며, 2000Hz에서의 음향이득이 너무 크다는 것. 5개음 검사 실제 실시 결과도 예측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날 것임.
③ 언어지도를 위한 조치: 아동의 특성에 맞게 보청기를 재조정해야함. 2000Hz의 음향이득을 10dB정도로 낮추어야 함. 4000Hz에서의 청취역치는 약 55dB이므로 마찰음 /s/를 들을 수 없음. 따라서 /s/음을 듣게 하려면 10~20dB의 이득이 더 필요. 청각장애 아동교육(김승국)
7. 유아 청력 검사
8. 음장청력검사
① 음장청력검사
- 음장청력검사는 자발적인 반응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헤드폰 착용을 꺼리기 때문에 표준 순음청력검사를 따르지 못하는 사람의 청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리고 보청기를 사용하는 피검자의 청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음장청력검사에서는 순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검사실에서 순음은 고정파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대신에 진동음이 주로 사용된다. 진동음의 주파수는 순음의 주파수 주위를 약간 더 포함한다.
- 음은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하여 제시되며, 청력검사기의 다이얼의 수치와 비례되는 음 수준으로 측정되는 위치에 가능한 피검자를 앉힌다. 음정청력검사에서는 헤드폰을 사용할 때와는 달리 피검자의 반응은 dB SPL로 기록된다. 음장청력검사는 보청기 착용 시와 미착용 시 모두 실시되며, 보청기 착용 청력검사의 경우 보청기로부터 받는 이득의 정도를 측정한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② 행동관찰청력검사(BOA)
피검자가 유아나 중복장애인 경우에 무의식적 반응, 즉 음원 쪽으로 머리나 눈을 돌리거나 스피커 쪽으로 기어가거나 활동이나 발성의 정지는 검사의 근거가 된다. 이 경우에 진동음보다 다른 자극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상생활의 소리를 녹음한 것이나 실제 목소리 소음을 사용한다. 이런 음장청력검사의 형태를 행동관찰청력검사(BOA)라 부른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③ 조건화정방위반응청력검사(CORA)
음장청력검사에서 또 다른 반응형태는 조건화 반응이다. 이는 시각강화청력검사(VRA)로 불리며 조건화정방위반사에 기초를 두고 있다. CORA에서 시각강화검사는 청각 자극에 대하여 행동반응을 요구한다. 전형적으로 이 기술은 쉽게 관찰되는 머리 들기가 발달된 유아나 어린 아동에게 사용된다. 소리자극과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것을 짝으로 몇 번 제시한 후 청각신호 만 제시한다. 아동이 소리와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것과 연결 짓는 것을 배우면 아동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을 찾게 될 것이다. 이 바라보는 행동은 청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보고 아동이 적절하게 반응하는 경우에 아동은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것을 보상으로 제시받게 된다. 청각장애아 교육(이규식)
④ 한계
㉠ 반응은 좋은 귀의 청감도를 반영한다.
자극이 헤드폰을 통해서 전달되기보다 스피커로 제시되기 때문에 가각의 귀를 따로 검사하지 못한다. 그래서 정상반응이 획득되었다면 임상가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한쪽 귀는 정상 청감도를 갖고 있을 것으로 결론을 짓는다.
㉡ 음장청력검사는 기도의 청력 수준을 알려 준다.
이것은 기도검사가 전반적인 청감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유용하지만 골ㄹ도의 정보가 부족하면 전도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을 구별하기 어렵다.
㉢ 피검자가 유아인 경우 믿을 만한 반응을 보이는 자극의 가장 낮은 수준은 역치라기보다 가장 좋은 반응 수준으로 생각된다.
㉣ 음장청력검사 결과는 헤드폰을 사용하는 순음청력검사와 같이 구체적인 주파수의 진동음을 사용했을지라도 청력검사도에 HL로 기록하지 않는다. 음장청력검사에서 자극 수준은 dB SPL로 표시되며, dB HL과는 다른 점이 있다. 음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