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공학 측량학 축척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목공학 측량학 축척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하면 실제 크기라는 의미거든요...?
그러니까, 종이에 10Cm(100mm) 길이의 직선을 그리고, 축척 1/100 이라고 표기하면,
10,000mm 즉, 10M 가 되는 겁니다.
참고로 건축에서는 도면에 mm 단위를 사용한답니다.
그러니까 아파트 평면도 보시면, 치수가 표기되어 있을 겁니다.
3,000 이라고 써 있으면, 그게 3미터를 의미하거든요,
따라서 1/100 축척으로 그리시려면,
30mm, 즉 3센티미터 길이의 선을 그리시면 되는 겁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려고 했는데,
어떻게 이해 되셨나요~?
축척(스케일)이라는 것은 출력할때 사용되는 것으로,
도면을 그리는 것과는 상관 없습니다.
보통 캐드로 도면을 그리는데요...
1:1 스케일로 도면을 그리고,
출력할 용지에 따라서 스케일을 조절하는 겁니다.
한 도면을 크게 뽑을 수도 있고, 작게 뽑을 수도 있는 거죠...
혹시, 수작업으로 도면을 그리신다면,
문구점에서 스케일을 구입하셔서 그리시면 됩니다.
보통 1:100 에서 1:600 까지 눈금이 있기 때문에,
어지간한 도면은 전부 그릴 수 있답니다.
도면에 쓰인 치수는 mm가 기준입니다.
그러니까 14000mm=14m가 됩니다.
14m를 1:1로 종이에 그리기에는 어려우므로,건축에서는 축척을 써서 도면을 그립니다.
(예를 들면 10000mm(10m)를 1:100으로 나타내면 100mm 입니다.)
우선 위의 도면을 1:100으로 그린다고 보면은
14000mm=14cm, 9200=9.2cm...로 생각하시면서 그리면 됩니다.
다 그리시고 나면 도면 하단에 축척=1:100 이라고 써 주시면 됩니다.
   
면적 계산법(㎡와 평)
각종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로 우리는 '㎡(제곱미터)'와 '평'을 쓰고 있으며, ㎡는 건축 용어로 '헤베'라 읽는다. 이들 각각의 수치계산에 대해 알아보자.
1km의 1/1000 이 1m이며, 사방 1m의 면적을 ㎡라 한다. 1평은 약 3.3㎡로 본래 한 사람이 편히 눕거나 앉아서 책을 볼만한 면적을 말한다. 주택이나 소규모 상가의 경우는 대체로 평 단위로 계산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헤배(㎡)를 평으로 바꾸는 쉬운 계산법은 해당 면적을 3으로 나누는 것이며 근사치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한 계산을 원한다면 해당 면적에 3을 곱한 뒤 10으로 나누면 된다. 예컨대 100㎡의 면적인 경우 3을 곱하여 300으로 계산한 뒤 10으로 나누면 30평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11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