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을 각각 설명하고, 두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영유아 교육에 미친 시사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을 각각 설명하고, 두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영유아 교육에 미친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운다. 다시 말해서 상징과 내적 이미지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그들의 사고는 비체계적이고 비논리적인 것으로서 성인의 사고와는 매우 다르다.
제 3기
구체적 조작기
아동들은 단지 구체적인 사물과 구체적인 행위에 대해서만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발달시킨다.
제 4기
형식적 조작기
순전히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수준에서도 체계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킨다.

제 1기. 감각 운동기(출생 ~ 2세)

(1) 반사사용단계
-반사 기능을 반복적으로 사용
-환경의 자극에 대한 자동적 반응.
(2) 1차 순환반응 단계
-둘로 분리되어 있던 신체 도식이나 동작들을 조직화하는 것을 포함.
-우연히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그것을 반복하려고 애쓴다.
(3) 2차 순환반응 단계
-외부에서 흥미로운 사건 발견. 다시 반복하려 함.
-사건 자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즐김.
(4) 2차 도식협응 단계
-목적을 위해서 도식을 협응시키는 것.
-시공간에 대한 관점이 발달.
(5) 3차 순환반응 단계
-다른 결과를 관찰하기 위해 다른 행동들을 시도
-유아들은 가르침 없이도 스스로 학습하며 외부 세계에 대한 선천적 호기심으로부터 도식 을 발달시킨다.
(6) 내적 표상 단계(사고의 시작)
-지연 모방(내부에 모델의 내적 표상)
-심상형성, 내적인 사고

대상 영속성(Object permanence)의 발달

(1) 1, 2 단계 -> 사물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잠시 보다가 잊어버린다. 찾으려 하지 않음.
(2) 3 단계 -> 외부 세계에 대한 관심의 시작으로 사물의 영속성에 대한 개념을 얻게 된다.
(3) 4 단계 -> 완전히 숨겨진 대상을 찾을 수 있으나 AB오류라는 한계를 범한다.
(4) 5단계 -> 볼 수 있는 위치 이동만을 이해.
(5) 6단계 -> 보이지 않는 위치 이동도 이해할 수 있음.

제 2기. 전조작기(2세~7세)와
제 3기. 구체적 조작기(7세~11,2세)

상징 -> 가상 놀이
언어 -> 아동의 시야를 넓혀주고 과거, 미래, 현재 사건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 논리성이 결여됨.
(1) 과학적 추리
① 연속적 (액체)양에 대한 보존 개념
-전조작기 ; 한 가지 차원에만 영향을 받는다. “P가 더 높아서 더 많다.”
-구체적 조작기 ; 보존 개념 획득
동일성의 논거 -> 더 보내거나 덜지 않았으므로 양은 같다.
보상성의 논거 -> 하나의 변화가 다른 차원에서의 변화를 보상한다.
“이 컵은 여기가 더 길지만, 이 컵은 여기가 더 넓다. 따라서 양은 같 다.”
역조작의 논거 ->“이 전에 있던 컵에다가 다시 부을 수 있기 때문에 두 컵의 양은 같 다.”
-자발적으로 보존 개념을 숙달.
② 수의 보존 개념(달걀컵과 달걀묶음의 실험)
-전조작기
줄에 있는 달걀의 개수를 무시하고 컵과 달걀의 줄의 길이만 똑같게 했다.
자발적으로 각 컵 아래 한 개씩의 달걀을 놓는 1:1 대응을 만듦.
=>아동들은 논리에 의하기보다는 즉각적인 지각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보존개념을 이해 하지 못한다.
-구체적 조작기
아무것도 추가하거나 배내지 않았으므로 개수는 같다. (동일성)
한 줄이 더 길지만, 다른 줄은 더 조밀하게 모아져 있기 때문에 개수는 같다. (역조작)
③ 다른 보존개념 실험들
-불질, 무게, 부피, 길이의 보존 개념 등도 구체적 조작기 내에서 점차적으로 습득.
④ 유목화
(2) 사회적 사고
① 자아 중심성 ; 모든 것을 오직 자신의 관점에서만 생각한다.
-아동 스스로가 상이한 관점들이 있다는 사실을 파악.
② 도덕 판단
-타율성 ; 성인들에 의해 부여된 규칙에 맹목적으로 복종.
-자율성 ; 규칙은 협동을 위해서 사람들이 만든 것.
③ 물활론(物活論)
-생명이 없는 대상에게 생명과 감정 부여 (4~6세)
ex) 태양 -> 빛을 발해서 “살아있다.”
산 -> 가만히 있어서 “죽어있다.”
-움직이는 것들에 한해 생명을 부여(6~8세)
ex) 탁자, 꽃 -> 죽은 것. 자전거, 구름 -> 산 것.
-스스로 움직이는 것에 한해서 생명을 부여.(8세 이후)
-감정과 의식을 무생물에 부여
④꿈
-어린 아동들은 꿈이 실제라고 믿는다.
-차츰 실제는 아니지만 다른 방식(다른 사람에게도 자기 꿈이 보이며 바깥에서 들어오는 것 이다.)으로 생각한다.
-6~7세 경, 꿈을 완전히 이해.

제 4기. 형식적 조작기(11,2세~성인기)

-구체적인 사고는 물론,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범위에까지 사고가 확장.

이론적인 쟁점들
*단계 개념 -> 성장의 본질을 설명하는데 있어 중점을 둔다.
① 단계 순서는 불변적.
② 성장 과정이 질적으로 상이한 기간으로 나누어진다.
③ 단계들은 일반적 특성이 있다. -> 사고의 일반적 패턴
④ 모든 문화에서 같은 순서로 진행.

교육을 위한 시사점

*전반적 교육 철학
① Rousseau와 Montessori의 철학과 흡사
-진정한 학습이란 아동 자신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아동의 수준에 맞는 교육 실시의 중요성
②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커다란 교육적 가치 부여
-Rousseau와 Montessori의 철학과 다른 관점

평가

(1) 연구
① 대부분의 성인들은 형식적 조작을 사용하지 못한다.
② 인지과정이 자발적인 과정??
③ 과학적인 면의 결함
(2) 이론적 논평
① 근본 개념
-아동들은 스스로 학습한다.
-아동들은 성인과 다르게 사고한다.
② 논평
-아동보다는 논리의 복잡성에 흥미를 보이는 것 같다.
-전조작적 사고에 대한 평가가 충분한지 의심스럽다. -> 너무 부정적.



2. Lev Semionovich Vygotsky(1896-1934)






Ⅰ . 비고츠키의 생애

1.어린시절~대학시절

-1896년 11월 17일 백러시아의 Minsk 북동쪽에 위치한 Orsha 시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적부터  꼬마 교수 로 불려졌다.
-모스크바 대학시절 처음엔 의학을 선택했지만 법학으로 다시 전과하였다.


2.대학 졸업 후~1924년
-1920년 결핵에 걸렸지만 일시적으로 회복하고 다시 연구에 전념하였다.
-1924년 결혼을 하고 학회에서 조건반사적 조사방법과 심리학적 조사방법」
이라는 논문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2.11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