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
(1)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2)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3)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
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성
(1) 데이터베이스 언어
(2) DBMS
(3) DB 사용자
(4) 데이터베이스
(5)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3. 데이터베이스 모형
(1)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형
(2) 계층 데이터베이스 모형
(3)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형
(1)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2)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3)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
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성
(1) 데이터베이스 언어
(2) DBMS
(3) DB 사용자
(4) 데이터베이스
(5)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3. 데이터베이스 모형
(1)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형
(2) 계층 데이터베이스 모형
(3)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형
본문내용
할 때, 이에 관련된 자료와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자료를 얻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각종 데이터를 통합하여서로 다른 응용 분야의 사용자들에게 자료를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의 목적이다.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에서는 데이터 파일이 특정부서에만 소속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데이터 집단 속의 각 데이터들이 모든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쉽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온라인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언제라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읽혀질 수 있고, 조회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도 있다.
(2)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위에서 제시한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각 파일들을 독자적으로 관리하면 데이터 관리에 불편함과 데이터의 안전에 불안함을 느낄 것이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래머들도 그들이 작성하고 운영하는 파일과 프로그램의 관계가 부자연 스럽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종류와 운영방법에 따라 기본적인 차이는 있지만, 데이터 베이스가 갖추어야 할 목적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데이터의 독립성
가.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물리적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래머의 관점에서는 논리적 데이터 구조는 변화가 없어야 한다.
나.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래머 관점에서 논리적 자료구조는 전체적인 논리적 자료구조와 독립이어야 한다.
② 중복의 최소화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중복은 자주 발생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로 완전히 중복을 배제하자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전혀 중복이 없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도 없다. 단지, 중복 없이 동일한 데이터를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중복을 최소화 하자는 것이다.
③ 데이터 공유
서로 다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목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④ 데이터의 보호
데이터 보호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장애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이나 고의적인 데이터의 유출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자는 것이다. 데이터 보호는 데이터 안전과 비밀 유지로 구분할 수 있다.
데이터 안전은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밀 유지는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권한과 한계를 정의한다.
⑤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무결성이란 검증 프로그램으로 모든 갱신 처리과정을 반드시 검증 과정을 거쳐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3)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
기존의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각종 데이터를 통합하여서로 다른 응용 분야의 사용자들에게 자료를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의 목적이다.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에서는 데이터 파일이 특정부서에만 소속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데이터 집단 속의 각 데이터들이 모든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쉽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온라인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언제라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읽혀질 수 있고, 조회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도 있다.
(2)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위에서 제시한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각 파일들을 독자적으로 관리하면 데이터 관리에 불편함과 데이터의 안전에 불안함을 느낄 것이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래머들도 그들이 작성하고 운영하는 파일과 프로그램의 관계가 부자연 스럽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종류와 운영방법에 따라 기본적인 차이는 있지만, 데이터 베이스가 갖추어야 할 목적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데이터의 독립성
가.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물리적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래머의 관점에서는 논리적 데이터 구조는 변화가 없어야 한다.
나.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래머 관점에서 논리적 자료구조는 전체적인 논리적 자료구조와 독립이어야 한다.
② 중복의 최소화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중복은 자주 발생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로 완전히 중복을 배제하자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전혀 중복이 없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도 없다. 단지, 중복 없이 동일한 데이터를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중복을 최소화 하자는 것이다.
③ 데이터 공유
서로 다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목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④ 데이터의 보호
데이터 보호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장애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이나 고의적인 데이터의 유출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자는 것이다. 데이터 보호는 데이터 안전과 비밀 유지로 구분할 수 있다.
데이터 안전은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밀 유지는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권한과 한계를 정의한다.
⑤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무결성이란 검증 프로그램으로 모든 갱신 처리과정을 반드시 검증 과정을 거쳐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3)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
기존의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추
키워드
추천자료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
데이터베이스 쿼리 정규형 dB 테이블보고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쿼리 테이블 완성
스포츠 리그를 위해 팀들과 게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DB Design Project ( 삼국지 개념의 국가, 인재, 성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액세스(ACCESS)로 구연한 온라인게임 데이터베이스 도큐먼트파일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계획서
데이터베이스 DB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수립과 성공케이스 분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젝트 보고서 인터넷 영화 예매 시스템 구축
[특허][이중출원][웹데이터베이스][표준화][진보성]특허의 개념, 특허의 분류, 특허의 요건, ...
데이터베이스 설계 최종 보고서 3조
인터넷 정보검색효율의 측정방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최적화,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실습 MS SQL Server 2008(연습문제4장_mssql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