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세포의 표면 구조
1. 세포벽
1) 세포벽의 구조
2) 세포벽의 기능
2. 원형질막
1) 살아있는 막
2) 복합적인 구조
Ⅱ. 세포의 종류와 특징
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1) 원핵세포
2) 진핵세포
2.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Ⅲ.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구성
1. 원핵세포의 구조와 세포소기관
2. 진핵세포의 구조와 세포소기관
1) 표면 구조
2) 내부적 지지 - 세포골격(cytoskeleton)
3) 통합 조절과 세포생식-핵
4) 합성 및 저장 세포소기관과 세포질내 수송
5) 미소체
6) 에너지 생성 세포소기관-엽록체(chloroplast),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7) 운동 담당 세포소기관
Ⅳ.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비교
Ⅴ.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비교
Ⅵ. 세포의 원형질
1. 원형질의 특성
2. 원형질의 구성 성분
1) 물
2) 단백질
3) 핵산
4) 탄수화물 : C, H, O로 구성
5) 지질 : C, H, O로 구성
6) 무기 염류
Ⅶ. 세포막의 특성과 종류
1. 세포막의 특성
2. 세포막의 종류
1) 상피막
2) 결합조직막(Connective tissue membranes)
Ⅷ. 세포분열
1. 체세포분열(Mitosis)
1) 전기(prophase)
2) 중기(metaphase)
3) 후기(anaphase)
4) 말기(telophase)
5) 세포질 분열(cytokinesis)
6) 유사분열의 장점
2. 감수분열(Meiosis)
3. MEIOSIS IN HUMANS
참고문헌
1. 세포벽
1) 세포벽의 구조
2) 세포벽의 기능
2. 원형질막
1) 살아있는 막
2) 복합적인 구조
Ⅱ. 세포의 종류와 특징
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1) 원핵세포
2) 진핵세포
2.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Ⅲ.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구성
1. 원핵세포의 구조와 세포소기관
2. 진핵세포의 구조와 세포소기관
1) 표면 구조
2) 내부적 지지 - 세포골격(cytoskeleton)
3) 통합 조절과 세포생식-핵
4) 합성 및 저장 세포소기관과 세포질내 수송
5) 미소체
6) 에너지 생성 세포소기관-엽록체(chloroplast),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7) 운동 담당 세포소기관
Ⅳ.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비교
Ⅴ.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비교
Ⅵ. 세포의 원형질
1. 원형질의 특성
2. 원형질의 구성 성분
1) 물
2) 단백질
3) 핵산
4) 탄수화물 : C, H, O로 구성
5) 지질 : C, H, O로 구성
6) 무기 염류
Ⅶ. 세포막의 특성과 종류
1. 세포막의 특성
2. 세포막의 종류
1) 상피막
2) 결합조직막(Connective tissue membranes)
Ⅷ. 세포분열
1. 체세포분열(Mitosis)
1) 전기(prophase)
2) 중기(metaphase)
3) 후기(anaphase)
4) 말기(telophase)
5) 세포질 분열(cytokinesis)
6) 유사분열의 장점
2. 감수분열(Meiosis)
3. MEIOSIS IN HUMANS
참고문헌
본문내용
rtilization) 후 모세포(mother cell)와 같은 양의 DNA를 갖게 하는 방법 필요 염색체 수가 세대를 거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
▶ 감수분열(meiosis)은 원래의 체세포(somatic cell)의 염색체의 정확히 반을 갖도록 분열 → 수정 후, 각 생물의 특징적인 양의 DNA를 갖는 수정란(fertilized egg) 형성
▶ 감수분열은 모든 세포의 염색체가 쌍으로 존재하므로 가능
모든 chromosome(염색체)은 크기, 모양, 유전정보가 거의 비슷한 짝이 있다
이 각각의 쌍을 상동 염색체(homologues or homologous chromosomes)라 한다. 즉, homologue는 쌍을 이루는 염색체 중의 하나
▶ 상동염색체의 각 쌍은 각각 부모에게서 하나씩 온다.
따라서 자식(offspring)은 부모의 영향을 모두 받음
예로, 사람의 경우 46개의 chromosomes 중, 23개는 어머니, 23개는 아버지에서 받는다.
▶ 각각의 종(species)은 고유한 염색체의 수가 있다.
염색체가 2배, 3배 되는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모두 짝수
※ 염색체의 수가 많다고 진화가 많이 된 고등생물은 아니다.
▶ 감수분열(meiosis)의 과정
interphase(간기 또는 휴지기):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DNA 복제(replication) ⇒ 4n
meiosis I(제1분열 또는 이형분열): 교차(crossing over)와 감수분열이 일어남 ⇒ 2n
meiosis II(제2분열 또는 동형분열): 감수분열이 일어난 딸세포가 다시 분열 ⇒ n
▶ 용어의 정의
diploid(복상): 모든 염색체(chromosomes)에 대응하는 상동염색체가 존재
예) 한 개체를 이루는 거의 모든 세포, 체세포(somatic cells or body cells)
haploid(단상): 상동염색체(homologous chromosomes)의 한 쌍씩만 존재하는 경우
즉, 무작위로 추출된 절반의 염색체가 아니라 각 상동염색체 쌍 중 하나씩
예) 난자(egg), 정자(sperm) 등 (완전한 유전정보를 갖는 chromosome의 집합)
gamete (배우자(配偶子) 또는 생식체): 감수분열로 생성되는 세포, 즉, 난자와 정자
gonad(생식소, 생식선, 생식기관): 암컷의 난소(ovary)와 수컷의 정소(testis)
제 1 감수분열
▶ 감수분열의 기능 : 유전물질을 반으로 줄임으로써 수정결과 2배체 상태가 되도록 함
상동염색체가 시냅시스(synapsis)를 통해 불리적으로 쌍을 이룸 → 중기판에 쌍으로 나란히 배열된 후 상동염색체가 양 극으로 나뉜다.
cf. 유사분열에서는 염색분체가 서로 나뉘어진다.
양극에 모인 상동염색체들은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받은 염색체가 무작위로 섞인다.
① 전기 I : 유사분열의 전기에 비해 길다.
세사기(leptotene) - 최초로 염색체 응집을 볼 수 있는 단계
접합기(zygotene) - 상동염색체가 쌍을 이루는 단계.
단백질과 RNA로 구성된 접합복합체synaptonemal complex에 의해 두 상동염색체를 연결(접합복합체가 없는 곳은 교차가 일어나지 않음)
태사기(pachytene) - 쌍을 이룬 염색체가 더욱 응축하며 교차(crossing over) 과정을 통해 염색체의 일부가 교환하는 단계
이동기(diakinesis) - 상동염색체가 거의 분리된 단계
※ 교차 : 새로운 염색분체를 형성해 군집에서 유전변이를 초래하는 원인 → 지속적인 새로운 변이의 형성은 진화과정에서 매우 중요함
② 중기 I : 유사분열에서는 양 극에서 나온 동원체방추사가 양쪽에서 한 동원체에 부착하지만 감수분열에서는 한 동원체에 한 극에서 나온 동원방추사만 부착
③ 후기 I : 한 방향에서 끌어당기기 때문에 동원체는 분열하지 않음. 이동이 시작되면 염색분체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동염색체가 서로 분리되어 극으로 끌려감. 후기 I 이 끝나면 각 딸세포의 염색체 수는 절반으로 줄어듬.
④ 말기 I과 감수분열 간기
말기 I : 핵이 재배열되고 염색체가 풀어지며 중심립이 복제 → 세포질 분열
감수분열 간기 : S기가 없다. 즉 DNA 복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⑤ 전기 II : 유사분열의 전기와 매우 유사
염색체가 응집되고 2개의 염색분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동원체에 의해 부착. 각 염색체의 동원판은 양 극에서 나온 방추사에 부착되며 이후 중기판으로 이동
⑥ 중기 II : 염색체는 중기판에 나란히 배열
⑦ 후기 II : 동원체가 나누어지고 염색체가 분리되어 각 염색체로 되는 시기
⑧ 말기 II : 염색체가 풀리고 핵막이 다시 형성되나 유리된 중심립은 복제되지 않음 감수분열 결과 형성된 4개의 세포는 간기로 들어가며 G1기에 머무르게 됨
3. MEIOSIS IN HUMANS
여성 감수분열의 경우 난모세포는 수정이 되어야 감수분열을 끝낸다.
▶ 여성의 감수분열, 특이한 경우
남성은 배우자마다 4개의 정자를 만들지만 여성의 경우는 세포의 내용물이 불균등하게 나뉘어 하나의 난자만 생산
⇒ 불균등 분열 : 배란시 일어나며 난모세포의 감수분열 방추사는 세포 한쪽에서 형성
제 1 감수분열에서 불균등 분열에 의해 극체(polar body)와 제 2 난모세포(secondaryoocyte) 형성 → 수정 후 또 한 번 불균등 분열에 의해 두 번 째의 극체 형성
극체의 기능 : 제 1 난모세포의 유전물질 중 불필요한 3/4를 버림
▶ 감수분열, 진화, 성
성(감수분열)의 장점 : 생명체는 모두 죽지만 유전자는 살아남는다.
감수분열과 성적 결합 : 감수분열 I 동안 상동염색체가 교차되고 무작위로 분리되어 한군집에 속하는 모든 개체의 유전자를 계속 개조하여 유전자의 무한한 조합을 만들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김영진 외 7인 공(1988), 생물과학, 아카데미서적
류천인 외 7명, 생물학, 대광문화사
박영대, 분자 세포 생물학
생물학교제편찬위원회(1996), 생물학개론, 탐구당
이광웅 외, 생물학. 을유문화사
일반미생물학, 라이프 사이언스
필수세포생물학, 교보문고
▶ 감수분열(meiosis)은 원래의 체세포(somatic cell)의 염색체의 정확히 반을 갖도록 분열 → 수정 후, 각 생물의 특징적인 양의 DNA를 갖는 수정란(fertilized egg) 형성
▶ 감수분열은 모든 세포의 염색체가 쌍으로 존재하므로 가능
모든 chromosome(염색체)은 크기, 모양, 유전정보가 거의 비슷한 짝이 있다
이 각각의 쌍을 상동 염색체(homologues or homologous chromosomes)라 한다. 즉, homologue는 쌍을 이루는 염색체 중의 하나
▶ 상동염색체의 각 쌍은 각각 부모에게서 하나씩 온다.
따라서 자식(offspring)은 부모의 영향을 모두 받음
예로, 사람의 경우 46개의 chromosomes 중, 23개는 어머니, 23개는 아버지에서 받는다.
▶ 각각의 종(species)은 고유한 염색체의 수가 있다.
염색체가 2배, 3배 되는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모두 짝수
※ 염색체의 수가 많다고 진화가 많이 된 고등생물은 아니다.
▶ 감수분열(meiosis)의 과정
interphase(간기 또는 휴지기):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DNA 복제(replication) ⇒ 4n
meiosis I(제1분열 또는 이형분열): 교차(crossing over)와 감수분열이 일어남 ⇒ 2n
meiosis II(제2분열 또는 동형분열): 감수분열이 일어난 딸세포가 다시 분열 ⇒ n
▶ 용어의 정의
diploid(복상): 모든 염색체(chromosomes)에 대응하는 상동염색체가 존재
예) 한 개체를 이루는 거의 모든 세포, 체세포(somatic cells or body cells)
haploid(단상): 상동염색체(homologous chromosomes)의 한 쌍씩만 존재하는 경우
즉, 무작위로 추출된 절반의 염색체가 아니라 각 상동염색체 쌍 중 하나씩
예) 난자(egg), 정자(sperm) 등 (완전한 유전정보를 갖는 chromosome의 집합)
gamete (배우자(配偶子) 또는 생식체): 감수분열로 생성되는 세포, 즉, 난자와 정자
gonad(생식소, 생식선, 생식기관): 암컷의 난소(ovary)와 수컷의 정소(testis)
제 1 감수분열
▶ 감수분열의 기능 : 유전물질을 반으로 줄임으로써 수정결과 2배체 상태가 되도록 함
상동염색체가 시냅시스(synapsis)를 통해 불리적으로 쌍을 이룸 → 중기판에 쌍으로 나란히 배열된 후 상동염색체가 양 극으로 나뉜다.
cf. 유사분열에서는 염색분체가 서로 나뉘어진다.
양극에 모인 상동염색체들은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받은 염색체가 무작위로 섞인다.
① 전기 I : 유사분열의 전기에 비해 길다.
세사기(leptotene) - 최초로 염색체 응집을 볼 수 있는 단계
접합기(zygotene) - 상동염색체가 쌍을 이루는 단계.
단백질과 RNA로 구성된 접합복합체synaptonemal complex에 의해 두 상동염색체를 연결(접합복합체가 없는 곳은 교차가 일어나지 않음)
태사기(pachytene) - 쌍을 이룬 염색체가 더욱 응축하며 교차(crossing over) 과정을 통해 염색체의 일부가 교환하는 단계
이동기(diakinesis) - 상동염색체가 거의 분리된 단계
※ 교차 : 새로운 염색분체를 형성해 군집에서 유전변이를 초래하는 원인 → 지속적인 새로운 변이의 형성은 진화과정에서 매우 중요함
② 중기 I : 유사분열에서는 양 극에서 나온 동원체방추사가 양쪽에서 한 동원체에 부착하지만 감수분열에서는 한 동원체에 한 극에서 나온 동원방추사만 부착
③ 후기 I : 한 방향에서 끌어당기기 때문에 동원체는 분열하지 않음. 이동이 시작되면 염색분체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동염색체가 서로 분리되어 극으로 끌려감. 후기 I 이 끝나면 각 딸세포의 염색체 수는 절반으로 줄어듬.
④ 말기 I과 감수분열 간기
말기 I : 핵이 재배열되고 염색체가 풀어지며 중심립이 복제 → 세포질 분열
감수분열 간기 : S기가 없다. 즉 DNA 복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⑤ 전기 II : 유사분열의 전기와 매우 유사
염색체가 응집되고 2개의 염색분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동원체에 의해 부착. 각 염색체의 동원판은 양 극에서 나온 방추사에 부착되며 이후 중기판으로 이동
⑥ 중기 II : 염색체는 중기판에 나란히 배열
⑦ 후기 II : 동원체가 나누어지고 염색체가 분리되어 각 염색체로 되는 시기
⑧ 말기 II : 염색체가 풀리고 핵막이 다시 형성되나 유리된 중심립은 복제되지 않음 감수분열 결과 형성된 4개의 세포는 간기로 들어가며 G1기에 머무르게 됨
3. MEIOSIS IN HUMANS
여성 감수분열의 경우 난모세포는 수정이 되어야 감수분열을 끝낸다.
▶ 여성의 감수분열, 특이한 경우
남성은 배우자마다 4개의 정자를 만들지만 여성의 경우는 세포의 내용물이 불균등하게 나뉘어 하나의 난자만 생산
⇒ 불균등 분열 : 배란시 일어나며 난모세포의 감수분열 방추사는 세포 한쪽에서 형성
제 1 감수분열에서 불균등 분열에 의해 극체(polar body)와 제 2 난모세포(secondaryoocyte) 형성 → 수정 후 또 한 번 불균등 분열에 의해 두 번 째의 극체 형성
극체의 기능 : 제 1 난모세포의 유전물질 중 불필요한 3/4를 버림
▶ 감수분열, 진화, 성
성(감수분열)의 장점 : 생명체는 모두 죽지만 유전자는 살아남는다.
감수분열과 성적 결합 : 감수분열 I 동안 상동염색체가 교차되고 무작위로 분리되어 한군집에 속하는 모든 개체의 유전자를 계속 개조하여 유전자의 무한한 조합을 만들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김영진 외 7인 공(1988), 생물과학, 아카데미서적
류천인 외 7명, 생물학, 대광문화사
박영대, 분자 세포 생물학
생물학교제편찬위원회(1996), 생물학개론, 탐구당
이광웅 외, 생물학. 을유문화사
일반미생물학, 라이프 사이언스
필수세포생물학, 교보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