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날짜
목적
시약
이론
과정
결과
토의
날짜
목적
시약
이론
과정
결과
토의
본문내용
.
동결세포의 해동
- 해동 과정에서도 동결과정에서와 마찬가지의 기계적, 화학적, 물리적 영향을 받게 되는데 두 과정의 차이점은 처음 시작하는 세포의 상태에 있다. 동결과정의 경우 충분히 수화된 세포가 주변환경과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자작하지만 해동 과정의 경우 동결건조상태이거나 세포내 얼음 결정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작하게 된다. 만약 해동과정이 천천히 이루어진다면 세포외액부터 세포내로 수분이 유입되면서 세포내의 얼음 재결정화(recrystalization)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해동시 전체 얼음의 양은 감소하지만 재결정화 현상이 발생하며 이것은 세포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 따라서 해동과정을 최대한 신속히 진행하여야 해동 후 세포 생존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질소 용기에서 동결바이알을 37℃ 수조로 옮겨 1분내에 해동시킨다(1200℃/min).
B16BL6 -
Items
contents
KCLB No.
80006
Name
B16BL6
Origin
null
species
mouse
Growth pattern
monolayer
Histopathology
melanoma
Freezing media
RPMI1640, 52.5%; FBS, 40%; DMSO, 7.5%
Original media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9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
과정 :
1. liquid nitrogen tank에 있는 cryotube에 담겨 있는 cell stock을 15ml conical tube에
동결세포의 해동
- 해동 과정에서도 동결과정에서와 마찬가지의 기계적, 화학적, 물리적 영향을 받게 되는데 두 과정의 차이점은 처음 시작하는 세포의 상태에 있다. 동결과정의 경우 충분히 수화된 세포가 주변환경과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자작하지만 해동 과정의 경우 동결건조상태이거나 세포내 얼음 결정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작하게 된다. 만약 해동과정이 천천히 이루어진다면 세포외액부터 세포내로 수분이 유입되면서 세포내의 얼음 재결정화(recrystalization)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해동시 전체 얼음의 양은 감소하지만 재결정화 현상이 발생하며 이것은 세포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 따라서 해동과정을 최대한 신속히 진행하여야 해동 후 세포 생존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질소 용기에서 동결바이알을 37℃ 수조로 옮겨 1분내에 해동시킨다(1200℃/min).
B16BL6 -
Items
contents
KCLB No.
80006
Name
B16BL6
Origin
null
species
mouse
Growth pattern
monolayer
Histopathology
melanoma
Freezing media
RPMI1640, 52.5%; FBS, 40%; DMSO, 7.5%
Original media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9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
과정 :
1. liquid nitrogen tank에 있는 cryotube에 담겨 있는 cell stock을 15ml conical tube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