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 신생아 대표 질환 및 간호
1) 미숙아(Premature infant)
2)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
3)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4)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
5) 당 대사 관련 질환
차. 소독 및 소독법
1) 신생아실에서 사용되는 기구 및 각종 SET류
1) 미숙아(Premature infant)
2)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
3)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4)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
5) 당 대사 관련 질환
차. 소독 및 소독법
1) 신생아실에서 사용되는 기구 및 각종 SET류
본문내용
생체중 2500g 미만의 저체중아로 태어났고, 이 중 약 30%가 재태 기간 37주 이후에 태어난 태아 발육 지연(IUGR)이었다. 태아 발육 지연이 증가하게 되면 저출생 체중아의 빈도가 10%를 넘게 되고, 상대적으로 미숙아는 감소하게 된다. 개발 도상국에서는 저출생 체중아의 약 70%가 태아 발육 지연아이다.
②태아 발육 지연과 관계되는 요인
태아 발육 지연은 태반의 순환이나 기능 장애, 태아 성장 발육 장애, 또는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 장애시 올수도 있다.
또, 미숙아와 태아 발육 지연은 사회 경제적 여건이 낮은 상태와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임산부가 영양 부족인 경우가 많으며, 빈혈, 질병, 불충분한 산전 관리, 약물 중독, 산과적인 합병증, 산모의 좋지 않았던 임신 경력(불임, 유산, 사산, 미숙아, 저체중아)의 빈도가 높다.
태아측
염색체 이상 (ex; 상염색체 삼체성)
만성 태아 감염 (ex; 거대 세포 바이러스 감염, 선천성 풍진, 매독)
선청성 기형
방사선 상해
다태 임신
췌장 무형성증
태반측
태반의 무게나 세포의 감소, 또는 겸할 경우
표면적의 감소
융모 태반염( 세균성, 바이러스성, 기생충 등)
경색증
종양(융모 혈관종, 포상 기태)
태반 분리
쌍생아 수혈 증후군(parabiotic syndrome)
산모측
임신 중독증
고혈압이나 신질환, 또는 겸한 경우
저산소증(고지대, 청색증형 심장 또는 폐질환)
영양 결핍 또는 만성 질환
겸상 적혈구성 빈혈
약물(수면제, 알코올, 흡연, antimetabolites)
③분류
태아 발육 지연을 분류하여 보면 머리둘레, 키, 체중이 비례하여 대칭적(proportionate or symmetrical)으로 작은 경우가 있고, 머리둘레와 키는 재태 기간에 맞지만, 체중은 훨씬 적은 비대칭형(disproportionate or asymmetrical)인 경우가 있다.
Symmetrical type은 태아 발육의 잠재능이 감소함으로써 생기는데, 발육 지연이 대개 임신 중기 또는 그 이전으로 조기에 시작하며(early onset), 유전적인 결함이나 선천성 자궁 내 감염, 염색체 이상 등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출생 후에도 비정상적으로 자란다.
Asymmetrical type은 대개 임신 후기(late gestation)에 태아의 영양 결핍에 의해 나타나는 성장 장애로 성장 속도가 느려지며(late onset), 자궁 태반 부전, 임신 중독증, 만성 고혈압, 불충분한 산전관리, 당뇨병, 영양 부족 등이 그 원인이 된다.
또, 출생 후의 적절한 영양 공급으로 빠른 체중 증가와 성장 등을 보이며, 좋은 결과를 보인다.
④진단 및 조치
임산부의 체중 증가가 별로 없거나 fundal growth가 적으면 태아 발육 지연을 의심하고, 초음파로 양 두정골 지름, 또는 머리 크기와 몸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태아 관찰 도중 태아 곤란(fetal distress)의 증거가 보이면 제왕 절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출생 후 신생아는 분만실에서 Apgar 점수를 매긴 후 잘 닦고 따뜻하게 해 줌으로써, 체온이 떨어지는 것(hypothermia)을 예방해 주어야 한다. 그 후 키, 체중, 두위, 흉위를 측정해서 발육 지연 여부를 평가하고, 또 ponderal index를 계산함으로써 키에 대한 체중 감소의 비를 평가해야 한다.
Ponderal index = 체중(g) / 키(cm) X 100
Thin < 2.32
Normal = 2.32 ~ 2.85
Obese > 2.85
그리고 Dubowitz의 기준에 의한 재태 기간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재태 기간을 측정하여야 한다.
태아 발육 지연아들이 신생아기에 보이는 문제들은 일반 미숙아들과는 아주 달리 출생 체중보다는 재태 기간과 더 많은 연관을 갖는 문제들을 나타낸다.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는 주산기 가사(perinatal asphyxia), 저혈당증, 저체온, 폐출혈, 태변 흡입, 괴사성 장관염(NEC), 다혈구증(polycythemia), 선천성 기형 증후군들과 관련된 질병 및 감염 등이다.
⑤처치
① Gestational age assessment and careful history for drugs, etc
② Prevent hypothermia
③ Check central hematocrit
④ Monitor blood sugar within first 45min
⑤ Evaluate for congenital infections
⑥ Chromosomal and genetic evaluation as indicated
⑦ Careful follow-up
만일 신생아 가사(birth asphyxia)가 있다면 즉각적인 기도 유지와 태변 흡입에 대한 처치를 해주어야 한다. 흉곽이 분만되기 전에, 또 첫 호흡이 시작되기 전에 기도 내의 태변을 흡인하여 제거해 줌으로써, 태변 흡입으로 인한 문제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재태기간 35주 dlk에서는 태변 흡입은 잘 이렁나지 않지만, 저산소증(hypoxia) rm 자체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대혈의 산도(cord blood pH)를 측정함으로써 산혈증의 정도를 평가할 수 가 있다.
비대칭형 태아 발육 지연(disproportionate IUGR)에는 폐성숙이 촉진되기 때문에, 폐초자양막증(hyaline membrane disease)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가사가 있었던 신생아에게 심장의 우-좌 단락을 나타내면서, 이로 인하여 체순호나 혈액의 산소화(systemic oxygenation)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를 태아 순환 존속증(persistent fetal circulation, PFC) 또는 신생아 폐동맥 고혈압 존속증(persista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이라고 하는데, 만성 자궁내 조산소증으로 인하여 폐 세동맥(small pulmonary arteriole)의 평활근이 두꺼워짐으로써 폐동맥압이 상승하고 폐혈류가 감소하여, 심방(atrial level) 또는 동맥관(
②태아 발육 지연과 관계되는 요인
태아 발육 지연은 태반의 순환이나 기능 장애, 태아 성장 발육 장애, 또는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 장애시 올수도 있다.
또, 미숙아와 태아 발육 지연은 사회 경제적 여건이 낮은 상태와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임산부가 영양 부족인 경우가 많으며, 빈혈, 질병, 불충분한 산전 관리, 약물 중독, 산과적인 합병증, 산모의 좋지 않았던 임신 경력(불임, 유산, 사산, 미숙아, 저체중아)의 빈도가 높다.
태아측
염색체 이상 (ex; 상염색체 삼체성)
만성 태아 감염 (ex; 거대 세포 바이러스 감염, 선천성 풍진, 매독)
선청성 기형
방사선 상해
다태 임신
췌장 무형성증
태반측
태반의 무게나 세포의 감소, 또는 겸할 경우
표면적의 감소
융모 태반염( 세균성, 바이러스성, 기생충 등)
경색증
종양(융모 혈관종, 포상 기태)
태반 분리
쌍생아 수혈 증후군(parabiotic syndrome)
산모측
임신 중독증
고혈압이나 신질환, 또는 겸한 경우
저산소증(고지대, 청색증형 심장 또는 폐질환)
영양 결핍 또는 만성 질환
겸상 적혈구성 빈혈
약물(수면제, 알코올, 흡연, antimetabolites)
③분류
태아 발육 지연을 분류하여 보면 머리둘레, 키, 체중이 비례하여 대칭적(proportionate or symmetrical)으로 작은 경우가 있고, 머리둘레와 키는 재태 기간에 맞지만, 체중은 훨씬 적은 비대칭형(disproportionate or asymmetrical)인 경우가 있다.
Symmetrical type은 태아 발육의 잠재능이 감소함으로써 생기는데, 발육 지연이 대개 임신 중기 또는 그 이전으로 조기에 시작하며(early onset), 유전적인 결함이나 선천성 자궁 내 감염, 염색체 이상 등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출생 후에도 비정상적으로 자란다.
Asymmetrical type은 대개 임신 후기(late gestation)에 태아의 영양 결핍에 의해 나타나는 성장 장애로 성장 속도가 느려지며(late onset), 자궁 태반 부전, 임신 중독증, 만성 고혈압, 불충분한 산전관리, 당뇨병, 영양 부족 등이 그 원인이 된다.
또, 출생 후의 적절한 영양 공급으로 빠른 체중 증가와 성장 등을 보이며, 좋은 결과를 보인다.
④진단 및 조치
임산부의 체중 증가가 별로 없거나 fundal growth가 적으면 태아 발육 지연을 의심하고, 초음파로 양 두정골 지름, 또는 머리 크기와 몸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태아 관찰 도중 태아 곤란(fetal distress)의 증거가 보이면 제왕 절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출생 후 신생아는 분만실에서 Apgar 점수를 매긴 후 잘 닦고 따뜻하게 해 줌으로써, 체온이 떨어지는 것(hypothermia)을 예방해 주어야 한다. 그 후 키, 체중, 두위, 흉위를 측정해서 발육 지연 여부를 평가하고, 또 ponderal index를 계산함으로써 키에 대한 체중 감소의 비를 평가해야 한다.
Ponderal index = 체중(g) / 키(cm) X 100
Thin < 2.32
Normal = 2.32 ~ 2.85
Obese > 2.85
그리고 Dubowitz의 기준에 의한 재태 기간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재태 기간을 측정하여야 한다.
태아 발육 지연아들이 신생아기에 보이는 문제들은 일반 미숙아들과는 아주 달리 출생 체중보다는 재태 기간과 더 많은 연관을 갖는 문제들을 나타낸다.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는 주산기 가사(perinatal asphyxia), 저혈당증, 저체온, 폐출혈, 태변 흡입, 괴사성 장관염(NEC), 다혈구증(polycythemia), 선천성 기형 증후군들과 관련된 질병 및 감염 등이다.
⑤처치
① Gestational age assessment and careful history for drugs, etc
② Prevent hypothermia
③ Check central hematocrit
④ Monitor blood sugar within first 45min
⑤ Evaluate for congenital infections
⑥ Chromosomal and genetic evaluation as indicated
⑦ Careful follow-up
만일 신생아 가사(birth asphyxia)가 있다면 즉각적인 기도 유지와 태변 흡입에 대한 처치를 해주어야 한다. 흉곽이 분만되기 전에, 또 첫 호흡이 시작되기 전에 기도 내의 태변을 흡인하여 제거해 줌으로써, 태변 흡입으로 인한 문제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재태기간 35주 dlk에서는 태변 흡입은 잘 이렁나지 않지만, 저산소증(hypoxia) rm 자체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대혈의 산도(cord blood pH)를 측정함으로써 산혈증의 정도를 평가할 수 가 있다.
비대칭형 태아 발육 지연(disproportionate IUGR)에는 폐성숙이 촉진되기 때문에, 폐초자양막증(hyaline membrane disease)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가사가 있었던 신생아에게 심장의 우-좌 단락을 나타내면서, 이로 인하여 체순호나 혈액의 산소화(systemic oxygenation)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를 태아 순환 존속증(persistent fetal circulation, PFC) 또는 신생아 폐동맥 고혈압 존속증(persista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이라고 하는데, 만성 자궁내 조산소증으로 인하여 폐 세동맥(small pulmonary arteriole)의 평활근이 두꺼워짐으로써 폐동맥압이 상승하고 폐혈류가 감소하여, 심방(atrial level) 또는 동맥관(
추천자료
고빌리루빈혈증 - 신생아황달
신생아 무호흡성 증후군
신생아실 간호사가 Day, Evening, Night 근무 때 하는 일, 미숙아의 특징과 간호 시 주의사항
사레연구 아동간호
고위험 신생아와 관련된 간호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 패혈증
[간호] 아동 RDS(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NEC(괴사성장염) 케이스 스터디
영아기 발달과정(태아기, 신생아기, 영아기의 발달)
신생아매독case..
신생아 모듈학습보고서
발달과 보육에서 신생아기와 영유아기 발달의 특성을 요약하시오.
[고위험모아간호학]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과 치료 및 간호, 다혜의 탈...
1.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치료 및 간호에 ...
아동기 질환(신생아 질환, 영아기 질환, 유아기 질환, 학령기 질환, 성장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