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대기확산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 대기확산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기 확산 모델>
(1) Fick 확산식의 기초 : 대기 분산방정식
① 배출원 취급조건
② 배출원의 가정조건
③ 배연 중의 오염물질에 관한 가정조건
(2) 배연확산식에서의 일반사항
① 대기 안정도
② 특징
③ 대기 안정도 분류방법(안정도 판정)
(3) 대기확산실험 및 대상오염원 적용
① 확산실험
② 확산실험 목적
③ 확산모델의 종류와 특성
(4) 대기확산 모델 종류
① 상자모델
② 가우시안(Gaussian)모델
③ 3차원 수치 모델(통계모델)
(5)유체 모형 실험
① 풍동실험(Wind Tunnel test)
② 현지 트레이서 실험
(6) 가우스 모델의 특징 및 기본 형태
①특징
②가우스 모델의 기본 형태
③확산 기본 방정식
④연기상승식
⑤ 보조식
(6) 모델의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

본문내용


⑥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으며 모델별로 다소 다름
(6) 모델의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
* 국내에서의 예측모델 활용은 주로 환경영향평가용으로 사용되고 있슴
* 연구 및 대기 보전 정책용으로 사용
* 주로 사용되는 모델은 미국 EPA에서 개발 보급하고 있는 가우스형 모델이 대부분임
* 최근에는 보다 정교한 3차원 수치모델의 연구가 활발함
* 현재 가장 널리 사용중인 가우스형 모델은 비교적 정확하나, 대상 지형에 따라 그 예측 가능성에 한계가 있음
* 풍동 실험과 Tracer 실험등과 같은 지형과 기상조건에 따른 확산 특성 연구 수행이 필요
* 물리, 화학 과정을 보다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3차원 수치 모델의 연구 비중을 높임.
* 각종 오염원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 분산모델(Dispersion Model)과 수용방법론(Receptor Methods)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 분산모델은 특정오염원에 대한 배출원자료와 기상자료 등을 근거로 오염물질이 분산되면서 해당지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미래의 영향을 예측할 때 좋은 도구가 된다. 그렇지만 배출자료의 오차, 확산변수의 불확실, 알고 있는 오염원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 배출자료의 부족 등에 대해 제약을 받는다(Budiansky, 1980; Cooper and John, 1980). 특히 입자상물질의 경우 입자 자체의 물리적 성질이 다르고, 이에 따라 이동 및 분산특성이 달라 분산되는 과정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 이와는 달리 수용방법론은 수용체에서의 오염물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여 특정 오염원으로부터의 기여도를 역으로 평가하는 기법으로써, 분석장비와 시료 채취장비의 질적, 양적인 발전과 컴퓨터의 보급과 확산으로 인하여 방대한 양의 자료 처리와 통계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 활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수용방법론은 각종 응용통계학을 기반으로 한 계량화학적 분석기술로서, 일반대기 중 수용체에서의 PM-10 등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PAHs, 다이옥신 등의 화학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후 수용체에서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PM-10 오염원을 확인하고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합리적인 대기오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수용체 중심모델 (receptor-oriented model)
1) 측정소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농도자료를 기초로 하여 역으로 수용체 농도에 미치는 배출원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
2) 대상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비교적 반응성이 낮은 오염물질(예로서 납, 구리, 카드뮴등의 금속물질)을 대상
분산모델
수용모델
장점
1)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할 수 있음
2) 대기오염 제어 정책입안에 도움을 줌
3) 2차오염원의 확인이 가능
4) 점, 선,면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음
1) 지형, 기상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가능
2) 오염원의 조업 및 운영상태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
3) 새로운 오염원과 불확실한 오염원, 불법 배출오염원에 대한 정량적인 확인 평가가 가능
4) 수용체 입장에서 영향평가가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5) 입자상, 가스상, 가시도 문제 등 환경전반에 응용가능
단점
1) 기상의 불확실성과 오염원이 미확인될 경우 많은 문제점 발생
2) 오염물의 단시간 분석시 문제가 됨
3) 지형,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음
4) 새로운 오염원이 있을 때 마다 재평가할 필요가 있음
1) 현재나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추정, 미래를 위한 전략은 세울수 있으나 미래예측은 어렵다.
2) 특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므로 시나리오 작성이 곤란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