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충동구매(구매충동)의 정의
Ⅲ. 충동구매(구매충동)의 특성
1. 구매충동의 무의식적 요소
2. 구매충동의 즉각적 요소
3. 구매충동의 등적 요소
4. 구매충동의 무분별적 요소
Ⅳ. 충동구매(구매충동)의 현황
Ⅴ. 충동구매(구매충동)와 강박구매
Ⅵ. 충동구매(구매충동)와 홈쇼핑의 진행과정
1. 시작부
2. 전반부
3. 중간부
4. 후반부
5. 마무리
Ⅶ. 충동구매(구매충동)와 홈쇼핑의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충동구매(구매충동)의 정의
Ⅲ. 충동구매(구매충동)의 특성
1. 구매충동의 무의식적 요소
2. 구매충동의 즉각적 요소
3. 구매충동의 등적 요소
4. 구매충동의 무분별적 요소
Ⅳ. 충동구매(구매충동)의 현황
Ⅴ. 충동구매(구매충동)와 강박구매
Ⅵ. 충동구매(구매충동)와 홈쇼핑의 진행과정
1. 시작부
2. 전반부
3. 중간부
4. 후반부
5. 마무리
Ⅶ. 충동구매(구매충동)와 홈쇼핑의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각 장치(short term sensory store:STSS)의 용량은 무제한으로 정확한 감각으로 형성되어 시각 정보의 경우 0.5초에 입력, 시간에 따라 소멸된다.
단기 기억(short term memory;STM)은 STSS에 있는 정보가 사라지기 전에 그 정보에 주의 집중이 이루어진다면, 그 정보의 일부는 STM에 전이 될 수 있다. Chunking 기법으로 STM의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항목이 새로 들어오는 항목에 의해 밀려나거나 능동적으로 반복 암송되지 못할 때, 기존의 항목들은 STM 으로부터 사라진다. 양상은 음운적이며 지속은 암송이 없는 경우 1.8초이다. 대략 정보의 저장은 15-30초로 추정한다.
많은 이론가들은 단기 기억에다 작동 기억(Working memory;WM)또는 중기 기억이라는 것을 부가시킨다. 여기는 제한된 용량을 가지며 원래의 감각과는 다른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며 과잉 부하 또는 시연의 실패에 의해 망각된다.
작동 기억이란 암산과 같은 의식적인 정신 작용을 수반할 때 메모 용지와 같은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장기 기억(long-term memory;LTM) 은 정보가 단기 기억에 파지(把持:쥐고 있음) 되어 있을 때에는 그것을 장기 기억으로 전이시킬 수 있게 하는 약호화 과정이 있다. LTM은 용량이 무제한이며 영구적이다. 그것은 인출 실패 혹은 간섭에 의해 소멸된다.
정보처리체계의 주된 통제과정(Controlprocess)은 다음과 같다,
주의(attention) : STSS로부터 단기기억에로의 정보 전이
암송(rehearsal) : 단기 기억이나 작동 기억에서 정보를 의식 상태로 활성화시킴
군단위화(chunking) : 단기기억에서 정보를 묶는 기법
작동기억에서의 작용 : 작동기억에서의 정보 조작
약호화(encoding) : 단기 기억으로부터 장기 기억에로의 정보 전이
장기기억탐색(searchingLTM) : 장기기억에서 표적 항목의 발견
이것은 심리적 평형이 파괴되었을 때 평형을 회복하기 위하여 행동이 일어난다는 비교적 수동적 존재로 보는 견해이다. 즉, 반응 가능성은 동인(動因)x유인(誘因)x습관 강도(習慣 强度)이다. 여기서 동기의 강도(動機의强度)=동기화된동기(動機化된動機)의강도x유인가(誘因價)x유인을 얻으리라는 기대의 강도이고 동기는 과업의 성취로 얻는 만족 쾌감의 내적 동기와 학습 행동 성취 이유가 외부에 있는 외적 동기로 나눈다.
이제 재생 기능을 살펴보자. 어떻게 하면 정확하게 기억하고 또 훗날 필요할 때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을까 하는 파지(把持)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의미 있게 기명(記銘:심리학에서 기억의 제일 첫째 과정으로 새로 생긴경험을 뇌리에 새기는일)함은 파지력을 높인다.
-강한 동기 화된 학습 자료는 파지를 증진시킨다.
-충분한 학습은 망각을 예방한다.
-복습의 시기는 최초 학습에 가까울수록 기명과 파지에 효과적이다.
-분산법(分散法)은 집중 법보다 파지를 더 잘 도운다.(일정한 시간 계획에 따라 규칙적인 간격 학습)
-기억된 자료간의 간섭은 파지를 저해(沮害)한다.
-한 학습의 전이 효과의 동일 요소 설에 의하면
새로운 자극이 전 자극과 유사하고 반응이 동일하면 적극적(積極的) 전이가 일어나며 유사도가 높을수록 전이가 크다.
-비슷하거나 동일한 자극이 유사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반응을 일으킬 때는 소극적(消極的)전이가 일어난다.
-전이의 양은 자극의 유사성(刺戟의 類似性)에 따르면 제1자극과 제2자극이 유사하면 할수록 적극적(積極的)전이든 소극적 전이든 간에 그 전이의 양은크다.
-전이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간에 방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합리적인 사고저장기능을 살펴보면 본론 부분의 작용에서는 의미가 있는 투입 정보만을 골라서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적 주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 내부(內部)의 개인적 욕구에 의한 것과 소비자 외부의 자극적요인(要因)에 의한 것으로 구분된다.
개인적 요인은
-욕구(慾求)
-적응(適應)
-지각적 경계와 반응
-주의(注意) 범위로 구분되고
자극적 요인은
-언어의 형태
-신기함
-유머
-모델
-크기
-색상
-강도성
-대조
-위치로, 두뇌에 입력 소비자는 선택적 지각 기능을 가진다.
게쉬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은 개인의 부분적인 자료를 의미 있는 전체로 변혼 시키는 방법에 대한 근거(根據)를 제시해 주고 있다. 즉, 소비자는 가격, 디자인, 상점의 분위기(雰圍氣) 등을 총괄하여 제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한다. 이러한 태도를 결정짓는 태도는 인지, 감정, 의도의 세부분으로 형성되어져서 신념(信念) ㅡ태도(態度) ㅡ의도(意圖)의 인과 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태도의 형성을 카츠(katche)는 다음의 4가지로 보았다. 1. 실용적 기능 2. 가치 표현적 기능 3. 자아 방어적 기능 4. 지식 통합적 기능인데 이것이 반대 주장과 찬성 주장으로 태도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이 심리적인 긴장감에서 생성 되는데 이것을 인지 평형 이론(認知平衡理論) 이라 한다. 이것이 수용 영역으로 이어져서 태도의 긍정적(肯定的) 변화를 이룩한다. 이상의 사항들이 대체로 일반적으로 사고를 형성하는 이론이 되는데 소비자는 제시되어진 사항들을 항상 마켓터로부터 자극 받으면서 생활의 유형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의 세계는 자의식이든 타의식이든 영향력을 받아 생활주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 화음이 조화되지 않으면 사회문제가 야기 된다.
참고문헌
김영신(1995), 소비자사회화 관점에서 본 청소년들의 강박적 구매성향,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지
김태련·장희숙(1988), 발달심리학, 학지사
송인숙(1993), 소비자의 구매중독성향 및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소비자와 시장경제(2003), 시그마프레스
임경희·김영신(1998), 청소년의 강박적 구매성향에 대한 인과적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이대룡·이상빈·곽현진(1997), Rook, D. W. Fisher. R. J. 구매충동의 조작화와 규범적 효과 : 한국 미국 비교연구, 광고학연구
전성률·허종호·김헌동(2004), 한국마케팅학회
단기 기억(short term memory;STM)은 STSS에 있는 정보가 사라지기 전에 그 정보에 주의 집중이 이루어진다면, 그 정보의 일부는 STM에 전이 될 수 있다. Chunking 기법으로 STM의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항목이 새로 들어오는 항목에 의해 밀려나거나 능동적으로 반복 암송되지 못할 때, 기존의 항목들은 STM 으로부터 사라진다. 양상은 음운적이며 지속은 암송이 없는 경우 1.8초이다. 대략 정보의 저장은 15-30초로 추정한다.
많은 이론가들은 단기 기억에다 작동 기억(Working memory;WM)또는 중기 기억이라는 것을 부가시킨다. 여기는 제한된 용량을 가지며 원래의 감각과는 다른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며 과잉 부하 또는 시연의 실패에 의해 망각된다.
작동 기억이란 암산과 같은 의식적인 정신 작용을 수반할 때 메모 용지와 같은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장기 기억(long-term memory;LTM) 은 정보가 단기 기억에 파지(把持:쥐고 있음) 되어 있을 때에는 그것을 장기 기억으로 전이시킬 수 있게 하는 약호화 과정이 있다. LTM은 용량이 무제한이며 영구적이다. 그것은 인출 실패 혹은 간섭에 의해 소멸된다.
정보처리체계의 주된 통제과정(Controlprocess)은 다음과 같다,
주의(attention) : STSS로부터 단기기억에로의 정보 전이
암송(rehearsal) : 단기 기억이나 작동 기억에서 정보를 의식 상태로 활성화시킴
군단위화(chunking) : 단기기억에서 정보를 묶는 기법
작동기억에서의 작용 : 작동기억에서의 정보 조작
약호화(encoding) : 단기 기억으로부터 장기 기억에로의 정보 전이
장기기억탐색(searchingLTM) : 장기기억에서 표적 항목의 발견
이것은 심리적 평형이 파괴되었을 때 평형을 회복하기 위하여 행동이 일어난다는 비교적 수동적 존재로 보는 견해이다. 즉, 반응 가능성은 동인(動因)x유인(誘因)x습관 강도(習慣 强度)이다. 여기서 동기의 강도(動機의强度)=동기화된동기(動機化된動機)의강도x유인가(誘因價)x유인을 얻으리라는 기대의 강도이고 동기는 과업의 성취로 얻는 만족 쾌감의 내적 동기와 학습 행동 성취 이유가 외부에 있는 외적 동기로 나눈다.
이제 재생 기능을 살펴보자. 어떻게 하면 정확하게 기억하고 또 훗날 필요할 때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을까 하는 파지(把持)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의미 있게 기명(記銘:심리학에서 기억의 제일 첫째 과정으로 새로 생긴경험을 뇌리에 새기는일)함은 파지력을 높인다.
-강한 동기 화된 학습 자료는 파지를 증진시킨다.
-충분한 학습은 망각을 예방한다.
-복습의 시기는 최초 학습에 가까울수록 기명과 파지에 효과적이다.
-분산법(分散法)은 집중 법보다 파지를 더 잘 도운다.(일정한 시간 계획에 따라 규칙적인 간격 학습)
-기억된 자료간의 간섭은 파지를 저해(沮害)한다.
-한 학습의 전이 효과의 동일 요소 설에 의하면
새로운 자극이 전 자극과 유사하고 반응이 동일하면 적극적(積極的) 전이가 일어나며 유사도가 높을수록 전이가 크다.
-비슷하거나 동일한 자극이 유사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반응을 일으킬 때는 소극적(消極的)전이가 일어난다.
-전이의 양은 자극의 유사성(刺戟의 類似性)에 따르면 제1자극과 제2자극이 유사하면 할수록 적극적(積極的)전이든 소극적 전이든 간에 그 전이의 양은크다.
-전이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간에 방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합리적인 사고저장기능을 살펴보면 본론 부분의 작용에서는 의미가 있는 투입 정보만을 골라서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적 주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 내부(內部)의 개인적 욕구에 의한 것과 소비자 외부의 자극적요인(要因)에 의한 것으로 구분된다.
개인적 요인은
-욕구(慾求)
-적응(適應)
-지각적 경계와 반응
-주의(注意) 범위로 구분되고
자극적 요인은
-언어의 형태
-신기함
-유머
-모델
-크기
-색상
-강도성
-대조
-위치로, 두뇌에 입력 소비자는 선택적 지각 기능을 가진다.
게쉬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은 개인의 부분적인 자료를 의미 있는 전체로 변혼 시키는 방법에 대한 근거(根據)를 제시해 주고 있다. 즉, 소비자는 가격, 디자인, 상점의 분위기(雰圍氣) 등을 총괄하여 제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한다. 이러한 태도를 결정짓는 태도는 인지, 감정, 의도의 세부분으로 형성되어져서 신념(信念) ㅡ태도(態度) ㅡ의도(意圖)의 인과 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태도의 형성을 카츠(katche)는 다음의 4가지로 보았다. 1. 실용적 기능 2. 가치 표현적 기능 3. 자아 방어적 기능 4. 지식 통합적 기능인데 이것이 반대 주장과 찬성 주장으로 태도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이 심리적인 긴장감에서 생성 되는데 이것을 인지 평형 이론(認知平衡理論) 이라 한다. 이것이 수용 영역으로 이어져서 태도의 긍정적(肯定的) 변화를 이룩한다. 이상의 사항들이 대체로 일반적으로 사고를 형성하는 이론이 되는데 소비자는 제시되어진 사항들을 항상 마켓터로부터 자극 받으면서 생활의 유형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의 세계는 자의식이든 타의식이든 영향력을 받아 생활주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 화음이 조화되지 않으면 사회문제가 야기 된다.
참고문헌
김영신(1995), 소비자사회화 관점에서 본 청소년들의 강박적 구매성향,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지
김태련·장희숙(1988), 발달심리학, 학지사
송인숙(1993), 소비자의 구매중독성향 및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소비자와 시장경제(2003), 시그마프레스
임경희·김영신(1998), 청소년의 강박적 구매성향에 대한 인과적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이대룡·이상빈·곽현진(1997), Rook, D. W. Fisher. R. J. 구매충동의 조작화와 규범적 효과 : 한국 미국 비교연구, 광고학연구
전성률·허종호·김헌동(2004), 한국마케팅학회
추천자료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특정한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소비심리분석]광고와 소비자의 행동분석
<소비자 행동분석>딤채의 마케팅 성공사례
[과외]중학 가정 2-1학기 기말 예상문제 03
텔레비전 광고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소비주의 가치관의 차이
[도서감상문]행동경제학을 읽고
경영학과 6과목
[프랜차이즈창업][창업]프랜차이즈창업의 형태, 프랜차이즈창업의 준비, 프랜차이즈창업의 업...
[기업스포츠광고][기업][스포츠광고]기업스포츠광고의 정의, 기업스포츠광고의 특징, 기업스...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스포츠 매스미디어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리치미디어 배너...
고세림 원장 강의요약 - 바이오 벤쳐 창업
‘사치의 코리아, 럭셔리 청소년’ (명품의 정의, 문제점,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