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콘크리트의 정의와 분류, 콘크리트의 역사, 콘크리트의 품질과 등급, 철근콘크리트의 구조, 철근콘크리트의 벽체와 옹벽구조, 철근콘크리트의 공사, 철근콘크리트의 균열과 보수 심층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근콘크리트]콘크리트의 정의와 분류, 콘크리트의 역사, 콘크리트의 품질과 등급, 철근콘크리트의 구조, 철근콘크리트의 벽체와 옹벽구조, 철근콘크리트의 공사, 철근콘크리트의 균열과 보수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콘크리트의 정의와 분류
1. 콘크리트의 정의
2. 콘크리트의 분류
1) A방법
2) B방법

Ⅲ. 콘크리트의 역사

Ⅳ. 콘크리트의 품질과 등급

Ⅴ. 철근콘크리트의 구조
1. 철근 콘크리트 구조 특징
1) 장점
2) 단점
3) 단점 해결방안
2. 철골 구조와 비교
1) 장점
2) 단점
3. 탄성계수
4. 철근의 피복
5. 철근의 강도
6. 크리이프
7. 콘크리트 강도 영향 인자
8. 설계법
1) 허용응력도 설계법
2) 극한 강도 설계법

Ⅵ. 철근콘크리트의 벽체와 옹벽구조
1. 패널 벽(panel wall)
2. 커튼 벽(curtain wall)
3. 지하실 벽
4. 칸막이 벽(partition wall)

Ⅶ. 철근콘크리트의 공사
1. 철근 콘크리트공사의 개요
1) 철근을 사용하는 이유
2) 철근의 종류
2. 교과 내용 분석
1) 철근의 가공
2) 철근의 배근

Ⅷ. 철근콘크리트의 균열과 보수
1. 설계적 측면
2. 재료적 측면
3. 구조적 결함
4. 시공적 결함
5. 종합처리 대책
6. 보수․보강의 목적
7. 균열의 보수․보강공법
1) 균열부 처리공법(dry patching)
2) 전면 처리 공법(overlay법)
3) 충전 공법(seal 공법)
4) 주입 공법(그라우팅 공법)
5) 콘크리트 덧붙이기 공법
6) 강판 보강 공법
7) 강재 앵커에 의한 방법
8) 탄소 섬유 시트 보강 공법
9) 타이포 섬유(typo 5 fiberwrap) 보강 공법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되는 콘크리트
한중 콘크리트, 서중콘크리트, 수중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
Ⅲ. 콘크리트의 역사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왔다. 피라미드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석회와 석고를 혼합한 것이고, 로마시대에는 석회와 화산재를 혼합한 것이다. 이들 콘크리트들은 기경성(氣硬性) 콘크리트로서 18세기경까지 사용되었다. 수경성(水硬性) 콘크리트가 나온 것은 1756~1759년 영국의 에디스톤 등대를 건설할 때 기사(技士) J.스미턴이 점토질(粘土質)을 가지는 석회석을 구워서 얻은 콘크리트가 수경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한 데서 비롯되며, 콘크리트 연구의 기초를 이루었다. 그 후 1796년 영국의 J.파커는 같은 방법으로 로만 콘크리트를 만들었으며, 1818년에는 프랑스 J.비카가 석회석과 점토를 혼합 소성하여 천연 콘크리트를 만들었다. 24년에는 영국의 벽돌공 J.애스프딘이 오늘날의 것과 거의 같은 콘크리트를 발명하여 특허를 얻었다. 그는 석회석과 점토를 혼합한 원료를 구워서 콘크리트를 만들었는데, 겉모양 빛깔 등이 포틀랜드섬의 천연석과 비슷하다고 하여 포틀랜드 콘크리트라 명명하였다. 그 후 포틀랜드 콘크리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우수한 성질이 인정되고 세계 여러 나라로 급속히 보급되어 오늘날 콘크리트의 주종을 이루었다. 한편 다양한 특성의 콘크리트와 특수용도에 쓰이는 콘크리트도 개발되고 있다.
Ⅳ. 콘크리트의 품질과 등급
일반적인 경우 콘크리트에 요구되는 성능은, 보통콘크리트에서는 압축강도, 중량콘크리트 및 경량콘크리트에서는 압축강도 및 단위용적중량이다. 그 밖의 성능 즉, 내구성이나 건조수축률 등이 중요한 경우에는 특기사항으로 규정한다. 콘크리트의 품질은 고급, 보통 및 간이의 3종류로 구분하고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용로 한다. 그리고 특수한 콘크리트 중에서 고강도 콘크리트,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특기사항으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급으로 한다. 콘크리트 품질의 등급에 상응하는 설계기준강도, 재료에 관한 사양의 등급 및 시공에 관한 사양의 등급이 있다. 재료에 관한 사양에는 콘크리트 제조, 운반, 타설, 양생, 거푸집, 철근의 가공과 조립 및 검사에 관한 것을 포함하여 A, B, C 등급으로 각각 구분한다.
Ⅴ. 철근콘크리트의 구조
1. 철근 콘크리트 구조 특징
1) 장점
내진적, 내화적, 내구적, 조형성, 유지관리용이, 재료 얻기 용이
2) 단점
자중이 크다, 시공기간이 길다, 철거가 곤란, 균열, 가설물설치비용이 많이 든다, 전음도가 크다
3) 단점 해결방안
경량콘크리트고강도 철근 사용, PS콘크리트곡면구조 사용, 조립식 구조 사용
2. 철골 구조와 비교
1) 장점
높은 경제성, 내구성, 조형성, 차음성능, 내진성능
2) 단점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낮다, 거푸집과 지주의 사용, 강도에 비해 무게가 무겁다, 건조수축과 크리이프
3. 탄성계수
E = 응력/변형률 = σ/ε =σ/(Δℓ/ℓ) ∴Δℓ=σℓ/E =(P/A)ℓ/E
Ec = 0.136Wc1.5√fc\' kg/cm2 = 15000√fc\' (Wc=2300kg/m3)=1.4×105kg/cm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 0.5fc\',0.25fc\'에 대한 할선탄성계수
Es = 2.1×106 kg/cm2 , n = Es/Ec =15
4. 철근의 피복
내화상 필요 두께 = 기둥+보 3cm이상 (2시간내화), 벽+슬래브 2cm이상 (1시간내화)
내구상 필요 두께 = t =0.3(1+3Wc)x2/(Wc-0.3)2 ; 피복두께 xcm가 중성화되는 연수
보통 콘크리트 t=7.3x2, 흙에 접하는 부분은 + 1cm 더 증가시킨다.
부착력 확보위한 두께 = 1.5D
5. 철근의 강도
압축강도(fc\')=직경15cm높이30cm의 원주체공시체의 재령28일에 대한 압축강도를 기준=P/(πD2/4)
인장강도(ft)=2P/πDℓ(쪼갬시험) , 인장강도 = 8 + 0.06×압축강도
휨인장강도(fr)=6M/bh2=2.0√fc\'
6. 크리이프
콘크리트에 일정하중을 계속해서 가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중의 증가 없이도 변형이 계속 늘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소성변형을 크리이프라 한다.
원인: 재령이 적은 콘크리트에 재하시기가 빠를수록, W/C비가 클수록, 습도가 낮은 곳에, 스팬에 비해 보의 춤이 작을수록, 양생이 나쁠수록, 재하응력이 클수록,
최종변형량= 탄성변형량 + 크리프변형량 = 탄성변형량+크리프계수×탄성변형량
탄성계수가 큰 콘크리트는 크리이프 변형이 작게 생긴다.
7. 콘크리트 강도 영향 인자
물시멘트비(적을수록 강도는 커진다), 재료의 품질(시멘트,골재,용수의 품질),시공법(배합비,혼합법,거푸집에 넣은 법), 보양법(노출면보호,온도보존,습도보존,안정보존),재령이 길어질수록 강도증가, 공시체(가압면의 영향, 가압속도의 영향)
8. 설계법
1) 허용응력도 설계법
하중계수를 적용하지 않는다. 재료강도에 안전율을 적용, 부재의 사용성 고려하지 않는다.
2) 극한 강도 설계법
하중계수적용, 주어진 단면과 보강상태에서 부재가 발휘할 수 있는 공칭부재강도에 강도저감계수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설계강도가 소요강도 이상이 되도록 한다. 부재의 사용성을 고려한다.
Ⅵ. 철근콘크리트의 벽체와 옹벽구조
철근 콘크리트 벽체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뛰어나며, 피복두께 확보와 시공의 정도에 따라 효능이 좌우된다. 지하실 벽과 엘리베이터 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벽체의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패널 벽(panel wall)
건물 외벽을 구성하며 다만 건물을 둘러싸는 기능만 하는 벽체를 패널벽이라 한다. 프리 케스트 종류의 콘크리트 제품이 많고 외부 표면의 치장처리 및 보온 처리도 한다. 패널벽 두께는 풍압력을 고려해야 한다.
2. 커튼 벽(curtain wall)
이른바 장막벽이라고도 한다. 건축 구조상 커튼 모양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막아주는 기능을 갖는 벽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의 자중과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비내력벽이다. 패널 벽과 유사하며 스스로 지지되는 점이 다르다.
3. 지하실 벽
철근 콘크리트 지하실 벽은 수평하중의 토압과 수압을 고려하며 최소두께는 20m이 상으로 한다. 지하실 벽의 설계는 보와 기둥으로 둘러싸인 4변 고정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2.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