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적 관점에서 살펴 본 훈민정음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학적 관점에서 살펴 본 훈민정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ㅋ, ㄷ, ㅌ, ㅂ, ㅍ, ㅈ, ㅊ, 여린히읗, ㅎ이 만들어졌다. 또한 종성은 \'종성부용초성\'이라 하여 초성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며 8종성법에서 7종성법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즉 현대국어의 자모가 초성 14자, 중성 10자, 종성 7자인 반면, 훈민정음 창제 당시 초성은 아음(ㄱ, ㅋ, 옛이응), 설음(ㄷ, ㅌ, ㄴ, ㄹ, (반설음)), 순음(ㅂ, ㅍ, ㅁ), 치음(ㅅ, ㅈ, ㅊ, 반치음), 후(여린히읗, ㅇ, ㅎ), 17글자였고 중성은 단모음(, ㅏ, ㅗ, ㅡ, ㅓ, ㅜ, ㅣ), 이중모음(ㅑ, ㅛ, ㅕ, ㅠ)의 11자였으며,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옛이응의 8종성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훈민정음의 문법적 특징에는 표기적으로 이어적기(:말미), 끊어적기(中듕國귁에), 동국정운식 표기(便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0.03.04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