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등사 가는 길
2. 전등사에서
3. 집에 오는 길
◎참고문헌
2. 전등사에서
3. 집에 오는 길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는 없지만 예전에 내가 알고 있던 전등사는 강화도 마니산에 있는 절이라는 것이 전부였다. 이런 나에게 이번 답사는 우리나라 전통사찰중의 하나인 전등사에 대해 보다 많은 역사와 전통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나중에 시간과 비용의 여유가 있어 기회가 된다면 전국에 있는 많은 전통사찰을 답사해 보고 싶다. 답사하기 전에는 꼭 교통편과 사찰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숙지하고 갈 것이다.(전등사 가는데 교통편이 많이 불편했기 때문에.) 그리고 그때는 연인과 함께하는 여행을 해보고 싶다.
함께 전등사에서 사진도 찍고 적지만 대화도 나눈 외국인 관광객 샘과의 인연도 뜻 깊은 것이었다. 대학생으로서의 현재 나의 영어 실력이 형편없음을 절실히 느끼게 해주어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는 자극을 받게 해주었다. 또한 외국인들이 관광 오는 한국에 대해서 그 나라에 살고 있는 한 국민으로서 자신의 나라에 대해 보다 많이 알고 설명해 줄 수 있는 능력정도는 가지고 있어야겠다는 것을 느꼈다. 끝으로 함께 전등사까지 힘든 걸음 해준 친구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참고문헌
사찰문화연구원, 인천경기도의 전통사찰 Ⅱ, 사찰문화연구원 출판국, 1995
함께 전등사에서 사진도 찍고 적지만 대화도 나눈 외국인 관광객 샘과의 인연도 뜻 깊은 것이었다. 대학생으로서의 현재 나의 영어 실력이 형편없음을 절실히 느끼게 해주어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는 자극을 받게 해주었다. 또한 외국인들이 관광 오는 한국에 대해서 그 나라에 살고 있는 한 국민으로서 자신의 나라에 대해 보다 많이 알고 설명해 줄 수 있는 능력정도는 가지고 있어야겠다는 것을 느꼈다. 끝으로 함께 전등사까지 힘든 걸음 해준 친구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참고문헌
사찰문화연구원, 인천경기도의 전통사찰 Ⅱ, 사찰문화연구원 출판국, 1995
추천자료
절기(시기)별 청소년 신행 프로그램 개발 및 정착(활성화)을 위한 제언
일본 문화의 이해
불교와 무용의 관계
일본과 한국의 연중행사와 국경일
한국 무속 신앙 연구
문화광광 해설사의 내용
신도 (神道)
창덕궁(昌德宮) 비원(秘苑)의 조경(造景) 요소 및 특성
[자원봉사론]여성 문제해결 방안으로서 자원봉사 활용 및 구체적 전략
현대의 아동복지는 앞으로는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어야하는지를 생각해 보자.
오방색에 대해서
청소년 복지론 한국의 청소년 복지발달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고 각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타이 마사지.ppt
전북교육행정직면접- 최신전라북도교육행정직공무원면접,교육청면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