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비유와 상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비유와 상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Ⅰ. 비유(比喩)
1. 비유의 개념
2. 비유의 원리
3. 비유의 종류
(1) 직유법(直喩, simile)
(2) 은유법(隱喩, metaphor)
(3) 의인법(personification)
(4) 활유법
(5) 대유법
1) 환유법(換喩, metonymy)
2) 제유법(提喩, synedodche)
(6) 풍유법
4. 비유법의 분류
5. 비유의 효과

Ⅱ. 상징(象徵)
1. 상징의 개념
2. 시에 등장하는 상징의 해석
3. 상징의 속성
4. 상징(象徵)의 원리 15~18.
(1) 관념과 사물에 관한 상징의 종류
(2) 시간과 공간에 관한 상징
5. 상징의 종류
6. 은유와 상징의 차이
7. 일상생활에서의 여러 가지 상징
8. 조사를 마치며..

※ 참고문헌 ※

본문내용

5. 비유의 효과
첫째, 사물을 통해 시인의 정서를 형상화한다.
둘째, 대상의 새로운 모습이나 의미의 발견을 유도한다.
셋째, 추상적 의미를 구체화하거나 가시화함으로써 의미와 정서를 확대시킨다.
넷째, 작품 안의 내용과 형식을 긴밀히 연결시켜 작품 전체의 유기성을 강화한다.
Ⅱ. 상징(象徵)
1. 상징의 개념
특정한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영역이 전혀 다른 감각적 대상을 드러내거나, 본래 그 단어가 가진 고유한 의미에서 출발하여 완전히 다른 의미를 제시할 때 쓰는 표현 기법을 말한다.
2. 시에 등장하는 상징의 해석
상징은 감각적 실체, 또는 구체적 사물이나 심상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때 대신 되는 내용은 <내적 경험, 감정, 사상> 등이다. 또한 상징은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서부터 집단, 사회, 공동체의 경험 상징은 그 형성 풍토나 문화적 토대에 밀착되어 있음을 뜻한다. E. 프롬은 이것을 상징적 방언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을 배경으로 거느린 것까지 다양한 모습을 띤다. 상징해석에는 두 개의 유형이 있다. 하나는 상징을 풍성한 의미의 원천으로 포착하는 입장이고 또 하나는 상징의 의미를 단순화시키려는 시도다.
3. 상징의 속성
① 원관념은 숨기고 보조관념만 제시 : 상징이 원관념을 생략하고 보조관념만 내세운 은유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은 상징의 속성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것은 상징이 내세워진 그 보조관념을 통해 생략된 원관념을 찾도록 요구하는 표현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징은 ‘감춤’과 ‘드러냄’의 양면성을 갖는다고 Y. 틴달은 말하고 있다. 감추어진 것은 생략된 원관념이요 드러난 것은 내세워진 보조관념이다. 그리고 전자는 보이지 않는 정신적 세계요 후자는 가시적인 현실의 사물이다. 다시 말해 상징은 가시적인 현실의 사물을 통해 현실을 초월한 불가시의 관념 또는 정신적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분명하게 하나의 의미만을 지시하지 않고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도록 그 대상을 암시하기 때문에 상징은 다의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의성과 암시성은 상징에 있어서 표리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다음 시에서 이러한 상징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자.
지금 어드메 쯤
아침을 몰고 오는 분이 계시옵니다.
그분을 위하여
묵은 의자를 비워 드리지요.
지금 어드메 쯤
아침을 몰고 오는 어린 분이 계시옵니다.
그분을 위하여
묵은 의자를 비워 드리겠어요.
먼 옛날 어느 분이
내게 물려주듯이
지금 어드메 쯤
아침을 몰고 오는 어린 분이 계시옵니다.
그분을 위하여
묵은 의자를 비워 드리겠습니다.
- 조병화 「의자」
이 시의 중심소재인 ‘의자’는 단순히 물리적 차원에만 속하는 사물이라 할 수가 없다. 그것은 우리에게 그 의미의 해명을 요구하는 사물, 바꾸어 말하면 상징으로서의 의자인 것이다. 그렇다면 의자의 그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가. 시의 화자가 ‘아침을 몰고 오는 어린 분’을 위해 비워주겠다고 말하고 있는 그 의자는 실은 화자 자신이 ‘먼 옛날 어느 분’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할 때 의자의 그 상징적 의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성세대가 새로운 세대에게 필연적으로 물려주게 마련인 시대의 주역의 자리라는 해석이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아울러 우리는 여기서 상징이 갖는 감춤과 드러냄의 양면성을 발견하게 된다. 드러나 있는 것은 의자 자체요 감추어져 있는 것은 시대의 주역의 자리라는 의미내용이다. 그러나 의자의 상징적 의미가 꼭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만 해석되어야 한다는 법은 없다. 그것은 여러 가지 다른 해석도 이끌어낼 수 있는 상징이다. 이를테면 그것은 만물이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의 변화를 되풀이하는 자연의 섭리를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 단순히 은퇴를 앞둔 노인의 담담한 달관의 경지를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징의 의미내용은 밖으로 명쾌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음의 시 역시 같은 맥락에서 예를 들어보았다.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져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도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르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 「김수영의 풀」
이 시의 리듬은 시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이미지와 결합되어 시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관념을 노출시키지 않고 상징의 암시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여기에서 ‘풀’은 민중이나 억압받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또 ‘바람’은 불의 또는 부조리와 같은 것을 상징하며 억압자로 볼 수도 있다. ‘날이 흐리다’라는 시구는 사회 전반의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상징적 의미는 바람의 힘에 반응하는 ‘풀’의 동작에서 민중의 끈질긴 저항과 생명력 있는 삶에 대한 표현 양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시는 상징의 암시성이 다의성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예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적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든 옛 맹서는 차디찬 티끌이 되야서
한숨의 미풍에 날어 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을 돌려 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 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 부었습니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3.0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