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문제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분석 및 결과
연구목적
연구문제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분석 및 결과
본문내용
권보호 의식의 강화가 그것이다. 저작권보호에 관한 정책적, 기술적 제도가 확보된다 하더라도 의식적인 뒷받침 없이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음악시장이 신규시장으로 성장하기도전에 이미 불법음악시장으로 전락하고 그 기반이 붕괴되기 직전까지 직면한 전례를 우리는 이미 한번 겪었다. 그러한 상황을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불법 공유를 통한 음원의 이용이 결국은 음악의 양과 질을 떨어뜨림으로 우리에게 다시 돌아오는 양날의 칼임을 직시해야한다.
출처 :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저작권만화 12회 보면 나도 저작권 박사>
(http://www.cleancopyright.or.kr/animation/main.asp)
◇연구의 제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적인 요소가 있다.
첫째, 현재 오프라인음반 시장과 온라인 음반 시장의 현황과 사업자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으나, 공개된 자료보다는 비공개적인 자료가 많았으며, 통계 조사를 진행한 주체별로 그 수치가 상이한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연도별 현황에서 2000년대 초반의 자료들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었으나 신간자료의 경우 부분적이고 한정적인 자료가 많아 전체 시장의 크기와 전망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음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모바일 음반은 더욱더 현황과 통계자료가 부족하고 관련 선행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더했다.
둘째, 다양한 집단의 보다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져야 했으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모바일 세대이며 가장 민감한 10대에 대한 폭넓은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가장 아쉬웠다. 때문에 정확한 통계치 보다는 다수의 사람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셋째, 사용자의 모바일 음악 사용량이나 서비스 상품별 가입자 수, 곡별 다운로드 수, 월매출액 등에 대한 실제데이터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정보의 공개 부분에도 민감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많아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다소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유무선 통합 음악 서비스가 아직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이 매출 규모나 전망에 관한 데이터를 구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고성일, “디지털음악제작과정에서의 표절” 단국대학교, 2006
권택영, <대중문화를 통해 라깡을 이해하기>, [현대시사상] 1994년 여름호,
김대희 \"디지털 시대의 문화콘텐츠 산업 정책연구\"
김선화, “디지털 기술 도입에 따른 대중음악 수용자의 변화”, 연세대학교, 2006
김성도, <페르디낭드 드 소쉬르: 소쉬르 읽기의 몇 가지 해법>, [이론] 제8호.
김세라, “인터넷사이트 MP3 음악파일 저작권 분쟁연구”
김유화, “일반음악산업과 인터넷 음반 산업에 관한 소비현황과 실태”, 단국대학교, 2004
김재범, 『문화산업의 이해』, 서울경제경영, 2005 : 119p
김종주, <라깡과 정신분석>, [현대시사상] 1994년 여름호,
김혜선, “디지털기술이 음악산업에 미친 영향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2
노경훈, “디지털 음악서비스 성공요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화관광부, 2005 문화산업백서
Rankey, “2005 음악감상분양 결산리포트”, 2005.12
미쓰토미도시로,<음악은 왜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가?>, 해나무 2005년.
백승욱, 니체:망치를 들고 철학하는 법, 한국산업사회연구회 책.
사위용, “음악저작권 보호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삼성경제연구소. 2003구자순, “인터넷이 음반산업에 미치는 영향: MP3 음악파일 중심으로”,
소병희, 유우창 “음반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저작권료 손실액 추산”
양운덕, <미셸푸코>, 김호기 편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7장.
에티엔 발리바르, <칼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 [역사유물론연구], 푸른산, 제1장
유현석, “온라인 음악과 오프라인 음반의 산업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이승미, “인터넷 환경을 위한 저작권 법의 대응”, 한남대학교, 2004
이종수, “온라인음악의 확산이 오프라인 음반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실증분석”, 한양대학교, 2005
임정수,『디지털 시대의 문화 산업 』, 한울, 2004 : 259p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전유초, “디지털 음악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정성웅, “온라인 음악서비스 산업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2005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2005), 「2005 한국음악백서」, 2005.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2003통계로 보는 문화컨텐츠 산업”, 2004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디지털콘텐츠산업백서(2005~2006)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4 E-비즈니스 백서
신문기사 참조
내일신문, <이동전화 가입자 ‘4천만명’ 시대>, 2006년 11월 27일자
매일경제, <가장 시끄러운 과일, 멜론>, 2006년 4월 28일자
매일경제,, 2006년 2월 27일자
머니투데이,, 2006년 2월 27일자
아이뉴스, <이통 3사, 2005년 음악서비스로 290억 벌어>, 2006년 3월 21일자
아이뉴스,, 2006년 7월 26일자
파이낸셜 뉴스, <휴대폰 이용자 50%이상 MP3폰 사용…세티즌 1702명 설문>, 2005년 4월 4일자
한국경제, <음악CD, 5년내 사라진다>, 2005년 4월 7일자
한국일보, <돈 주고 산 MP3 파일을 MP3폰에서 왜 못 듣나>, 2006년 4월 11일 자
헤럴드 생생뉴스, <[IT스페셜]‘기가급 휴대폰’과 설땅잃은 MP3P>, 2006년 7월 12일자
웹사이트
멜론, www.melon.com,
SK텔레콤, www.sktelecom.com,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
도시락, www.dosirak.com
카인즈, www.kinds.co.kr
한국음악산업협회, http://www.miak.or.kr/
출처 :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저작권만화 12회 보면 나도 저작권 박사>
(http://www.cleancopyright.or.kr/animation/main.asp)
◇연구의 제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적인 요소가 있다.
첫째, 현재 오프라인음반 시장과 온라인 음반 시장의 현황과 사업자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으나, 공개된 자료보다는 비공개적인 자료가 많았으며, 통계 조사를 진행한 주체별로 그 수치가 상이한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연도별 현황에서 2000년대 초반의 자료들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었으나 신간자료의 경우 부분적이고 한정적인 자료가 많아 전체 시장의 크기와 전망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음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모바일 음반은 더욱더 현황과 통계자료가 부족하고 관련 선행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더했다.
둘째, 다양한 집단의 보다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져야 했으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모바일 세대이며 가장 민감한 10대에 대한 폭넓은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가장 아쉬웠다. 때문에 정확한 통계치 보다는 다수의 사람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셋째, 사용자의 모바일 음악 사용량이나 서비스 상품별 가입자 수, 곡별 다운로드 수, 월매출액 등에 대한 실제데이터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정보의 공개 부분에도 민감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많아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다소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유무선 통합 음악 서비스가 아직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이 매출 규모나 전망에 관한 데이터를 구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고성일, “디지털음악제작과정에서의 표절” 단국대학교, 2006
권택영, <대중문화를 통해 라깡을 이해하기>, [현대시사상] 1994년 여름호,
김대희 \"디지털 시대의 문화콘텐츠 산업 정책연구\"
김선화, “디지털 기술 도입에 따른 대중음악 수용자의 변화”, 연세대학교, 2006
김성도, <페르디낭드 드 소쉬르: 소쉬르 읽기의 몇 가지 해법>, [이론] 제8호.
김세라, “인터넷사이트 MP3 음악파일 저작권 분쟁연구”
김유화, “일반음악산업과 인터넷 음반 산업에 관한 소비현황과 실태”, 단국대학교, 2004
김재범, 『문화산업의 이해』, 서울경제경영, 2005 : 119p
김종주, <라깡과 정신분석>, [현대시사상] 1994년 여름호,
김혜선, “디지털기술이 음악산업에 미친 영향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2
노경훈, “디지털 음악서비스 성공요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화관광부, 2005 문화산업백서
Rankey, “2005 음악감상분양 결산리포트”, 2005.12
미쓰토미도시로,<음악은 왜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가?>, 해나무 2005년.
백승욱, 니체:망치를 들고 철학하는 법, 한국산업사회연구회 책.
사위용, “음악저작권 보호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삼성경제연구소. 2003구자순, “인터넷이 음반산업에 미치는 영향: MP3 음악파일 중심으로”,
소병희, 유우창 “음반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저작권료 손실액 추산”
양운덕, <미셸푸코>, 김호기 편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7장.
에티엔 발리바르, <칼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 [역사유물론연구], 푸른산, 제1장
유현석, “온라인 음악과 오프라인 음반의 산업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이승미, “인터넷 환경을 위한 저작권 법의 대응”, 한남대학교, 2004
이종수, “온라인음악의 확산이 오프라인 음반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실증분석”, 한양대학교, 2005
임정수,『디지털 시대의 문화 산업 』, 한울, 2004 : 259p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전유초, “디지털 음악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정성웅, “온라인 음악서비스 산업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2005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2005), 「2005 한국음악백서」, 2005.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2003통계로 보는 문화컨텐츠 산업”, 2004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디지털콘텐츠산업백서(2005~2006)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4 E-비즈니스 백서
신문기사 참조
내일신문, <이동전화 가입자 ‘4천만명’ 시대>, 2006년 11월 27일자
매일경제, <가장 시끄러운 과일, 멜론>, 2006년 4월 28일자
매일경제,
머니투데이,
아이뉴스, <이통 3사, 2005년 음악서비스로 290억 벌어>, 2006년 3월 21일자
아이뉴스,
파이낸셜 뉴스, <휴대폰 이용자 50%이상 MP3폰 사용…세티즌 1702명 설문>, 2005년 4월 4일자
한국경제, <음악CD, 5년내 사라진다>, 2005년 4월 7일자
한국일보, <돈 주고 산 MP3 파일을 MP3폰에서 왜 못 듣나>, 2006년 4월 11일 자
헤럴드 생생뉴스, <[IT스페셜]‘기가급 휴대폰’과 설땅잃은 MP3P>, 2006년 7월 12일자
웹사이트
멜론, www.melon.com,
SK텔레콤, www.sktelecom.com,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
도시락, www.dosirak.com
카인즈, www.kinds.co.kr
한국음악산업협회, http://www.miak.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