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호흡기계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호흡기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인 간호학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 관련질환별 원인/병태생리/치료/간호

본문내용

소되고 청진시 호흡성 나음이 들리며 호흡음 은 감소한다.
- 객담 : 초기에는 녹슨 색깔처럼 보이나 점차 누렇게 변하고 용해기에는 고름이 섞인 점액농성 객담이 된다. (mucopurulent sputum) 이 객담은 끈적거리고 뱉어내기 힘들다.
5. 진단
- 객담 배양 검사와 민감성 검사 or 혈액검사 -> 확진
- 혈액배양 검사, 소변 검사, 동맥혈가스분석
- 흉부 X선 검사 -> 폐렴의 부위와 정도를 알 수 있다.
-> 폐렴 부위 하얗게 불투명하게 보인다.
- 결핵이 의심되는 경우 피부반응검사를 시행
6. 치료
- 폐렴의 주 치료 : 항생제
1) 폐렴구균 폐렴
- 주치료 : penicillin G, penicillin V.
- 대안 : cephalosporin erythromycin
- 예방 : 예방 접종 가능
2) 포도상구균 폐렴
- 주치료 : nafcillin, oxacilln
- 대안 : cephalosporin, vancomycin
3) H. influenza 폐렴
- 주치료 : ampicillin, 3세대 cephalosporin
- 대안 chloramphenicol
4) 그람 음성균 폐렴
- 주치료 : cephalosporin, aminoglycosides
5) 혐기성세균 폐렴
- 주치료 : 3세대 cephalosporin, penicillin G
6) Legionnaire 질환
- 주치료 : erythromycin
- 대안 : tetracycline, rifamfin
7) Mycoplasma 폐렴
- 주치료 : 심한 경우 erythromycin
- 대안 : tetracycline
8) 바이러스 폐렴
- none
7. 간호
1) 기도 청결 유지 간호
-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분 섭취 증가
- 효율적인 기침과 심호흡, 체위변경
- 기침을 잘 하도록 환자를 지지해 주고 교육한다.
- 객담은 삼키지 말고 뱉어내도록 하며 그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 흉벽을 두드리면 끈적끈적하고 짙은 객담을 뱉어내기 쉽다.
- 하루에 3~4회 5~30분간 체위배액을 한다.
- IPPB는 매일 2~4회 시행한다.
- 필요에 따라 acetylcysteine, 등장성 식염수, bicarbonate 4.2% or Isoproterenol 같은 기관지 확장제와 Isoetharine, Terbutaline과 같은 beta-agonist 등을 분무기로 연무
-> 분무기를 사용하면 분비물을 액화시키는 것은 물론 흡인되는 공기도 습화
- 헛기침만 자꾸 나와서 환자가 괴롭고 피로해 질 때 기침을 부분적으로 억압할 수 있는 약물을 줄 수 있다.
-> 기침 반사를 너무 많이 억압하면 기도분비물이 정체되어 무기폐를 일으킨다.
- 질병초기에는 통증을 막고, 헛기침을 완화하기 위해 기침억제제가 처방되나 나중에는 거담제가 처방된다.
-> 거담제 : 폐와 기관지의 분비물이나 삼출물을 깨끗하게 배출하는데 도움
- 호흡운동 : 폐활량과 폐신장성이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 의식이 없는 환자인 경우는 금기가 아니면 흡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시킨다. 필요하다면 흉부 물리요법, 흡인, 인공 기도를 시행한다.
2) 가스교환증진 간호
- 환자가 편안해하며 호흡하기 쉬운 체위를 취하게 한다.
- 기침하는 동안 베개로 흉부를 지지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 처방된 진해제와 진통제를 투여한다. (호흡억제 주의)
- 규칙적으로 흉부를 청진하여 기록
- ABGA결과를 관찰하여 저산소증과 탄산과잉증이 있는지 관찰
- 환자를 휴식시키고 산소를 투여
-> 산소를 투여하면 폐수종, 불안정, 기침, 복부팽만을 완화
* 산소요법 : 청색증, 호흡곤란, 쇠약, 섬망증, 순환장애, 호흡시 통증,
PaO2(70mmHg 이하) 일 때 필요
-> 산소를 공급한 후 그 효과를 정기적으로 파악
- 운동이나 움직임은 환자를 피로하게 하고 산소의 요구를 증가 -> 급성기에는 휴식
- 급성기 동안잠을 잘 수 있도록 수면제나 진정제를 사용
- 휴지, 객담, 컵, 물, 휴지통, 초인종 등은 쉽게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놓아 주고 담배는 피우지 않도록 한다.
- 불안 : 중재, but 불안은 저산소증을 의미할 수도 있으므로 세심하게 평가한다.
3) 영양 증진 간호
- 급성기 : 호흡곤란, 식욕부진이 있으므로 유동식
-> 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연식을 주다가 정상식이를 준다.
- 오심, 구토 시 : 정맥 주입으로 보충
- 합병증이 발생되거나 병이 오래 지속 : 고단백, 고칼로리, 고비타민 식이
-> 신진대사가 증가되고 폐렴성 삼출액으로 혈장과 세포액이 빠져 나가므로 하루에 적어도 1200~1500Kcal의 열량을 섭취
- 무, 양파 등 가스를 형성하는 음식은 주지않는다.
4) 체액 유지 간호
- 많은 양의 땀을 흘림 -> 체액과 염분의 손실
- 구토, 설사, 과호흡, 분비물의 배출 증가 -> 체액 손실
- 수분을 충분히 섭취 (기도 분비물을 배출하는 데 도움)
- 정맥으로 시간당 75~150cc의 수액을 공급
- 심질환자 : 폐부종을 예방 -> 중심 정맥압을 측정하고 주의!!
5) 항생제 투여 시 간호
- 항생제 투여 전 : 객담 배양 검사, 혈액검사, 과민성 검사
- 혈 중 항생제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처방 시간을 정확히 지켜 투여.
- 항생제 부작용 : 설사, 구토, 오심, 연조직 부작용, 소양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 관찰
-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보고
- 항생제 치료를 하는데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시 : 다른 합병증이 발생했는지 재평가
- 세균 감염의 징후가 없어지고, 임상징후가 개선될 때까지 지속
(특히 포도상구균 폐렴 -장기간 항생제 투여)
6) 합병증
- 복부팽만 : 호흡곤란이 매우 심한 환자가 공기를 삼키거나, 감소된 연동운동으로 인해 액체나 가스가 장내에 축적되어 발생
-> 횡격막을 상승, 횡격막 운동을 억제 -> 폐확장 방해
-> 예방 : 모든 배변을 기록하고 변비가 있으면 보고
: 구토가 있는지 관찰하고 정기적으로 장음을 청진
* 연동운동이 없는 경우 : 관장을 하지 않는다. -> Miller-Abbott
(관장액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오히려 복부팽만이 악화될 수 있음 )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4페이지
  • 등록일2010.03.05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