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비조사 및 실험 내용의 이해
1.1 스텝모터의 의미
1.2 스텝모터의 특징
2. 실험내용 및 결과
2.1 1상 여자방식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2.2 1-2상 여자방식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3. 결과 검토 및 의견
1.1 스텝모터의 의미
1.2 스텝모터의 특징
2. 실험내용 및 결과
2.1 1상 여자방식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2.2 1-2상 여자방식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3. 결과 검토 및 의견
본문내용
적으로 저렴하다는 점.
* 단점
1) 고속운전시 탈조하기 쉽다는 점.
2) 어느 주파수에서는 진동, 공진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관성이 있는
부하에 약하다는 점.
3) 보통의 driver도 구동시에는 권선의 인덕턴스 영향으로 인하여
권선에 충분한 전류를 흘리게 할 수 없으므로 pluse비가 상승함에
따라 torque가 저하하며 DC motor 에비해 효율이 떨어 진다.
2. 실험내용 및 결과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카운터의 개념이 익숙하지 않아서 나름대로 구성해보았다.
rising_edge(상승에지)가 있을 때마다 카운터를 0부터 시작하여
1씩 증가시켰다. 카운터는 네 번까지 세는것을 반복하게 하였다
카운터가 값을 가질때 각 값의 output에 값을 대입하여 각 상을
하나씩만 겹치도록 만들었다.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cnt
output
000
1000
001
0100
010
0010
011
0001
상승에지마다 cnt가 1씩 증가하고 cnt가 증가할 때마다 output에
지정된 값이 출력되었다. 각 비트가 겹치지 않고 term마다 하나씩
뜨는 것을 알 수 있다.
2.2 1-2상 여자방식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파형을 그려보고서는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고 또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첫 비트가 8칸의 term 후에 다시 뜬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cnt간격을 8로 지정한뒤 1,2상
을 번갈아 가면서 나타내기 위해 8개의 output을 나타내었다.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cnt
output
000
1001
001
1000
010
1100
011
0100
100
0110
101
0010
110
0011
111
0001
cnt가 001씩 증가할때마다 지정해둔 output값이 뜨면서 순서대로
1,2상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났다. 검은 돋보기로 봤을때 충분한
개수의 결과값이 뜨지 않아서 클럭범위를 좁혀주고 test bench의
end time을 3000ns까지 잡았다.
3. 결과 검토 및 의견
이번 학기에 논리회로 과목을 듣는중이라 아직 클럭과 순서논리회로의
개념이 잡히지 않았다. 나름대로 생각하여 카운터를 만들어보았다. 카운
터의 클럭을 이용하여 순서를 표현해봤는데 일단 1상 여자방식은 예상했
던 결과값과 유사하게 나왔다. 스텝모터의 원리로 인한 이해는 약간 느렸
는데 파형을 보니 대충 어떻게 틀을 잡아야 할지 감이 와서 생각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키트에 연결했을때 제대로 작동할지가 의문이다.
2상 여자방식은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얻어냈다. 출력 비트를 8bit로
길게 해보기도 하고 1/3의 클럭term이 있는것을 보고 1,2상이 겹치도
록 cnt를 3bit로 잡고 010씩을 더하여 4bit의 output을 표현하기도 해봤
지만 모두 원하는 결과값이 안나왔는데 결국 클럭term을 한칸씩 이용
하여 cnt에 001씩을 더하여 8개의 출력을 나타내도록 유도하였다.
약간은 짜맞춘 느낌이 들지만 파형이 떴을 때 꽤 만족스러웠다.
* 단점
1) 고속운전시 탈조하기 쉽다는 점.
2) 어느 주파수에서는 진동, 공진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관성이 있는
부하에 약하다는 점.
3) 보통의 driver도 구동시에는 권선의 인덕턴스 영향으로 인하여
권선에 충분한 전류를 흘리게 할 수 없으므로 pluse비가 상승함에
따라 torque가 저하하며 DC motor 에비해 효율이 떨어 진다.
2. 실험내용 및 결과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카운터의 개념이 익숙하지 않아서 나름대로 구성해보았다.
rising_edge(상승에지)가 있을 때마다 카운터를 0부터 시작하여
1씩 증가시켰다. 카운터는 네 번까지 세는것을 반복하게 하였다
카운터가 값을 가질때 각 값의 output에 값을 대입하여 각 상을
하나씩만 겹치도록 만들었다.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cnt
output
000
1000
001
0100
010
0010
011
0001
상승에지마다 cnt가 1씩 증가하고 cnt가 증가할 때마다 output에
지정된 값이 출력되었다. 각 비트가 겹치지 않고 term마다 하나씩
뜨는 것을 알 수 있다.
2.2 1-2상 여자방식
2.1.1 source
2.1.2 source 분석
파형을 그려보고서는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고 또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첫 비트가 8칸의 term 후에 다시 뜬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cnt간격을 8로 지정한뒤 1,2상
을 번갈아 가면서 나타내기 위해 8개의 output을 나타내었다.
2.1.3 출력파형
2.1.4 파형분석
cnt
output
000
1001
001
1000
010
1100
011
0100
100
0110
101
0010
110
0011
111
0001
cnt가 001씩 증가할때마다 지정해둔 output값이 뜨면서 순서대로
1,2상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났다. 검은 돋보기로 봤을때 충분한
개수의 결과값이 뜨지 않아서 클럭범위를 좁혀주고 test bench의
end time을 3000ns까지 잡았다.
3. 결과 검토 및 의견
이번 학기에 논리회로 과목을 듣는중이라 아직 클럭과 순서논리회로의
개념이 잡히지 않았다. 나름대로 생각하여 카운터를 만들어보았다. 카운
터의 클럭을 이용하여 순서를 표현해봤는데 일단 1상 여자방식은 예상했
던 결과값과 유사하게 나왔다. 스텝모터의 원리로 인한 이해는 약간 느렸
는데 파형을 보니 대충 어떻게 틀을 잡아야 할지 감이 와서 생각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키트에 연결했을때 제대로 작동할지가 의문이다.
2상 여자방식은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얻어냈다. 출력 비트를 8bit로
길게 해보기도 하고 1/3의 클럭term이 있는것을 보고 1,2상이 겹치도
록 cnt를 3bit로 잡고 010씩을 더하여 4bit의 output을 표현하기도 해봤
지만 모두 원하는 결과값이 안나왔는데 결국 클럭term을 한칸씩 이용
하여 cnt에 001씩을 더하여 8개의 출력을 나타내도록 유도하였다.
약간은 짜맞춘 느낌이 들지만 파형이 떴을 때 꽤 만족스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