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하여 [신통기를 읽고]
3. 그리스 로마 신화와 우리나라의 신화
4. 나오는 말
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하여 [신통기를 읽고]
3. 그리스 로마 신화와 우리나라의 신화
4. 나오는 말
본문내용
말 그대로 신들의 이야기로서 하나의 인물을 신성화 하거나 자연인문적 현상에서 기원이 유래한 이야기이다. 이러한 신화는 대부분 세상에 대한 고대인들의 상상으로 풀어낸 이야기 혹은 지어낸 이야기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신화는 문자 이전의 구전, 즉 언어가 형성되기 이전에 생성된 이야기들이 떠돌아다니면서 서로 융합하기도 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많은 형태로 변모하고 형성되었다. 때문에 현대에는 신화를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수많은 사람들에게 구비전승 되면서 각양각색의 다양한 소재가 어우러진 허구성을 지닌 하나의 지어낸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라고 간주하고 이를 단순히 흥미 중심으로 받아드리려는 양상을 띄고있다. 그러나 신화의 속뜻을 자세히 알고 또 그러한 시선으로 현대의 우리를 바라보면 신화가 삶의 보편적인 사실들을 많이 다루고 있고 또한 많은 진리를 담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처럼 신화는 이 세상이 존재하게 하는 모든 것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라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구성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은 고대인들의 지식과 논리 때문에 모순적이고 과장왜곡된 모습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는 하지만 서구 문명의 발전사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쳐 그 근간을 이루고 현대 문명에 까지 많은 요소들이 녹아 있는 것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그렇다면 그리스 로마 신화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또한 이를 통해서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신화의 내면은 무엇이 있을까?
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하여 [신통기를 읽고]
그리스 로마 신화는 우리나라의 신화 구조와 마찬가지로 천지개벽이 가장 처음에 일어난 다음 물과 불의 근본을 밝히고, 그 후에 인간이 창조되는 이야기, 인간 세상을 차지하기 위해서 신들 간에 경쟁을 하는 이야기가 이어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로마 신화가 그 구성이 비슷한 우리나라의 신화와 다른 점이 있다면 그리스 로마 신화는 천지개벽 전에 신들이 먼저 탄생을 하고 그들이 하나씩 세상을 만들어 간다는 점이다. 그리스 로마의 내용을 담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를 살펴보면 태초에 이 세상에는 아무것도 없는 카오스, 즉 무질서하고 형태가 없는 덩어리로 이 세상의 모든 물질들이 뒤엉켜있는 상태였다고 한다. 그러한 카오스 상태 가운데서 모든 자연과 물질의 어머니로 불리우는 가이아라는 존재가 형성되었고 그 후 빛이 없는 밤하늘의 어둠에서
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하여 [신통기를 읽고]
그리스 로마 신화는 우리나라의 신화 구조와 마찬가지로 천지개벽이 가장 처음에 일어난 다음 물과 불의 근본을 밝히고, 그 후에 인간이 창조되는 이야기, 인간 세상을 차지하기 위해서 신들 간에 경쟁을 하는 이야기가 이어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로마 신화가 그 구성이 비슷한 우리나라의 신화와 다른 점이 있다면 그리스 로마 신화는 천지개벽 전에 신들이 먼저 탄생을 하고 그들이 하나씩 세상을 만들어 간다는 점이다. 그리스 로마의 내용을 담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를 살펴보면 태초에 이 세상에는 아무것도 없는 카오스, 즉 무질서하고 형태가 없는 덩어리로 이 세상의 모든 물질들이 뒤엉켜있는 상태였다고 한다. 그러한 카오스 상태 가운데서 모든 자연과 물질의 어머니로 불리우는 가이아라는 존재가 형성되었고 그 후 빛이 없는 밤하늘의 어둠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