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머리말
2. CCD와 CMOS의 정의
3. CCD카메라와 CMOS카메라의 특성
4. CCD와 CMOS와 MAICOVEICON의 비교분석
5. CCD와 CMOS 제품
6. 관련기사
7. 맺음말
2. CCD와 CMOS의 정의
3. CCD카메라와 CMOS카메라의 특성
4. CCD와 CMOS와 MAICOVEICON의 비교분석
5. CCD와 CMOS 제품
6. 관련기사
7. 맺음말
본문내용
가 크다.
5. CCD와 CMOS의 제품
일반 사각 CCD 카메라
특징
▶ DSP(Digital Signal Process) IC에 의해 Digital신호처리를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 구현
▶ 1/3\" 41만 화소의 Super HAD CCD 채용으로 수평해상도 480본 이상의 선명한 영상 실현
▶ 10-bit A/D Converter 채용으로 선명하고 노이즈 없는 화질 구현
▶ 최저조도 0.5Lux 실현
▶ 디지털 전원동기 방식
▶ 별도의 Adaptor없이 CS,C-Mount Lens 채택 가능
▶ DC Servo 및 Video Servo Type의 Auto Iris Lens 채택가능
▶ AC 24V & DC 12V 겸용
제품명
SCC-331
제조사
SAMSUNG
가격
320,000
http://blog.naver.com/cctvline/60004445524
6. 관련기사
1. 뉴 마이코비콘 카메라 (LG-SV520폰 1.3M 마이코비콘 사용 )
CCD나 CMOS 외에 요즘 출시되는 휴대폰 제품 중에는 νMAICOVICON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제품도 있습니다. 이미 국내에도 이 모듈을 탑재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νMAICOVICON은 파나소닉 SC 디바이스 솔루션즈(Panasonic SC Device Solutions Co., Ltd.)에서 개발한 카메라 모듈로 모바일 전용입니다. MAICOVICON은 CCD와 CMOS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고, 구조가 CCD와 비슷해 빛을 받아들이는 면적은 CCD와 동일하지만, 전력 소비량은 적어 CMOS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제작 공정도 CCD에 비해 간단하고, 비용도 적게 들어 경제적입니다. 또한, CCD에 비해 충격에도 강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내용출처 : [기타] http://www.nbinside.com/study/maicovicon.htm
2. 샤프(일본), 본격적인 디지탈 카메라 휴대전화를 실현하는 2M 픽셀 CCD 카메라 모듈
↗ 샤프, 광학 2배 이너 줌, 2M픽셀 CCD 카메라 모듈 <LZ0P3738>
샤프는, 고급 지향의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 전용으로, 광학 2배 이너 줌과 오토 포커스 기능을 탑재한 2M 픽셀 CCD 카메라 모듈<LZ0P3738>를 개발해, 2004년 10월부터 양산 출하한다고 밝혔다.
휴대전화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메가픽셀 이상의 고화소화가 진행되는 것과 동시에, 디지털카메라와 동 등의 고화질/고기능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 휴대전화기 단말의 형상을 바꾸지 않고, 고화질/고기능화를 꾀하기 위해, 모듈 사이즈의 소형/박형화도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샤프는 벌써 오토 포커스 기능의 2M 픽셀 CCD 카메라 모듈<LZ0P3731>를 발매하고 있다. 이번에 새로운 고기능화를 꾀하기 위해 표준/2배 변경의 광학 줌 기능을 탑재하는데 성공했다. 또 렌즈 부분이 튀쳐 나오지 않는 “이너 줌 방식”을 채용해, 휴대전화기에 채용 가능한 소형 모듈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형 명
LZ0P3738
샘플 가격
( )안은 세금 별도 가격
26,250엔
(25,000엔)
양산 출하 개시
2004년 10월
LZ0P3738 주된 특징
1. 광학 2배 이너 줌과 오토 포커스 기능의 2 메가픽셀 CCD 카메라 모듈
2. 2 메가픽셀 FIT 방식 ※ 1 CCD와 고성능 렌즈의 탑재해, 고화질 실현
3. 휴대전화에 적절한 소형 모듈 사이즈
※ 1 FIT 방식(프레임·인터 라인 전송 방식):CCD의 대표적인 방식 「인터 라인 전송 방식」을 베이스로, CCD 특유의 스미어 현상(헤드라이트나 태양의 빛이 카메라에 들어가면 상하에 호장의 선이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해, 한층 더 발전시킨 방식.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등에 사용되고 있어 야간이나 낮의 강한 빛 아래에서도 최적의 촬영을 할 수 있다.
문의처 : 샤프 일본(http://www.sharp.co.jp)
자료출처 :
http://www.nbinside.com/study/maicovicon.htm
http://blog.naver.com/cctvline/60004445524
Mobile CMOS 카메라모듈
http://blog.naver.com/jaem/80024164314
http://www.imaging-resource.com/PRODS/EXT/EXTA5.HTM
http://blog.naver.com/viviana/10654496
http://blog.naver.com/dumbunglee/20005352937
http://blog.naver.com/coolsea/40023130795
http://blog.naver.com/eunjoo000/120015172681
http://blog.naver.com/voku28/110003009880
http://blog.naver.com/viviana/10654496
7. 맺음말
지금까지 CCD와 CMOS의 관한 전반적인 정의와 비교분석을 해보았다. 이 두 필름 칩에 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 보겠다.
현재 제조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카메라의 90% 이상이 CCD칩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제조비용이 비싸며 작업공정이 까다로워 해상도를 결정짓는 셀을 형성하는 과정에 임의의 셀이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더욱이 셀들을 서로 격리, 분리시켜야 하는 점이 CCD칩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측면에서 볼 때, CCD는 낮과 밤 상관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 하능 하고 고화질 구현에 탁월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베터리 소모가 CMOS보다 5배 정도 높아 동영상 촬영 시 기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면에서 최근 ‘유비쿼터스‘ 즉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개념에 입각해서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받아 볼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기술적 요소가 필요하다. 그러기에 유동성과 편리성을 가지고 있는 디카와 캠코더 MP3 등 복합적 기능을 겸비한 기능적 요소가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때 CMOS가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이쪽 분야의 전문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CCD칩이 내장된 카메라의 해상도는 보통 600만 화소에 달한다. 하지만 CMOS
5. CCD와 CMOS의 제품
일반 사각 CCD 카메라
특징
▶ DSP(Digital Signal Process) IC에 의해 Digital신호처리를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 구현
▶ 1/3\" 41만 화소의 Super HAD CCD 채용으로 수평해상도 480본 이상의 선명한 영상 실현
▶ 10-bit A/D Converter 채용으로 선명하고 노이즈 없는 화질 구현
▶ 최저조도 0.5Lux 실현
▶ 디지털 전원동기 방식
▶ 별도의 Adaptor없이 CS,C-Mount Lens 채택 가능
▶ DC Servo 및 Video Servo Type의 Auto Iris Lens 채택가능
▶ AC 24V & DC 12V 겸용
제품명
SCC-331
제조사
SAMSUNG
가격
320,000
http://blog.naver.com/cctvline/60004445524
6. 관련기사
1. 뉴 마이코비콘 카메라 (LG-SV520폰 1.3M 마이코비콘 사용 )
CCD나 CMOS 외에 요즘 출시되는 휴대폰 제품 중에는 νMAICOVICON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제품도 있습니다. 이미 국내에도 이 모듈을 탑재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νMAICOVICON은 파나소닉 SC 디바이스 솔루션즈(Panasonic SC Device Solutions Co., Ltd.)에서 개발한 카메라 모듈로 모바일 전용입니다. MAICOVICON은 CCD와 CMOS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고, 구조가 CCD와 비슷해 빛을 받아들이는 면적은 CCD와 동일하지만, 전력 소비량은 적어 CMOS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제작 공정도 CCD에 비해 간단하고, 비용도 적게 들어 경제적입니다. 또한, CCD에 비해 충격에도 강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내용출처 : [기타] http://www.nbinside.com/study/maicovicon.htm
2. 샤프(일본), 본격적인 디지탈 카메라 휴대전화를 실현하는 2M 픽셀 CCD 카메라 모듈
↗ 샤프, 광학 2배 이너 줌, 2M픽셀 CCD 카메라 모듈 <LZ0P3738>
샤프는, 고급 지향의 카메라 첨부 휴대전화 전용으로, 광학 2배 이너 줌과 오토 포커스 기능을 탑재한 2M 픽셀 CCD 카메라 모듈<LZ0P3738>를 개발해, 2004년 10월부터 양산 출하한다고 밝혔다.
휴대전화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메가픽셀 이상의 고화소화가 진행되는 것과 동시에, 디지털카메라와 동 등의 고화질/고기능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 휴대전화기 단말의 형상을 바꾸지 않고, 고화질/고기능화를 꾀하기 위해, 모듈 사이즈의 소형/박형화도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샤프는 벌써 오토 포커스 기능의 2M 픽셀 CCD 카메라 모듈<LZ0P3731>를 발매하고 있다. 이번에 새로운 고기능화를 꾀하기 위해 표준/2배 변경의 광학 줌 기능을 탑재하는데 성공했다. 또 렌즈 부분이 튀쳐 나오지 않는 “이너 줌 방식”을 채용해, 휴대전화기에 채용 가능한 소형 모듈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형 명
LZ0P3738
샘플 가격
( )안은 세금 별도 가격
26,250엔
(25,000엔)
양산 출하 개시
2004년 10월
LZ0P3738 주된 특징
1. 광학 2배 이너 줌과 오토 포커스 기능의 2 메가픽셀 CCD 카메라 모듈
2. 2 메가픽셀 FIT 방식 ※ 1 CCD와 고성능 렌즈의 탑재해, 고화질 실현
3. 휴대전화에 적절한 소형 모듈 사이즈
※ 1 FIT 방식(프레임·인터 라인 전송 방식):CCD의 대표적인 방식 「인터 라인 전송 방식」을 베이스로, CCD 특유의 스미어 현상(헤드라이트나 태양의 빛이 카메라에 들어가면 상하에 호장의 선이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해, 한층 더 발전시킨 방식.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등에 사용되고 있어 야간이나 낮의 강한 빛 아래에서도 최적의 촬영을 할 수 있다.
문의처 : 샤프 일본(http://www.sharp.co.jp)
자료출처 :
http://www.nbinside.com/study/maicovicon.htm
http://blog.naver.com/cctvline/60004445524
Mobile CMOS 카메라모듈
http://blog.naver.com/jaem/80024164314
http://www.imaging-resource.com/PRODS/EXT/EXTA5.HTM
http://blog.naver.com/viviana/10654496
http://blog.naver.com/dumbunglee/20005352937
http://blog.naver.com/coolsea/40023130795
http://blog.naver.com/eunjoo000/120015172681
http://blog.naver.com/voku28/110003009880
http://blog.naver.com/viviana/10654496
7. 맺음말
지금까지 CCD와 CMOS의 관한 전반적인 정의와 비교분석을 해보았다. 이 두 필름 칩에 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 보겠다.
현재 제조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카메라의 90% 이상이 CCD칩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제조비용이 비싸며 작업공정이 까다로워 해상도를 결정짓는 셀을 형성하는 과정에 임의의 셀이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더욱이 셀들을 서로 격리, 분리시켜야 하는 점이 CCD칩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측면에서 볼 때, CCD는 낮과 밤 상관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 하능 하고 고화질 구현에 탁월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베터리 소모가 CMOS보다 5배 정도 높아 동영상 촬영 시 기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면에서 최근 ‘유비쿼터스‘ 즉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개념에 입각해서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받아 볼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기술적 요소가 필요하다. 그러기에 유동성과 편리성을 가지고 있는 디카와 캠코더 MP3 등 복합적 기능을 겸비한 기능적 요소가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때 CMOS가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이쪽 분야의 전문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CCD칩이 내장된 카메라의 해상도는 보통 600만 화소에 달한다. 하지만 CMO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