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2. 정형 데이터의 표현
3. 무손실 데이터 압축
4. 손실성 데이터 압축
5. 비정형 데이터의 표현 및 압축
* 참고자료
【 느낀 점 】
2. 정형 데이터의 표현
3. 무손실 데이터 압축
4. 손실성 데이터 압축
5. 비정형 데이터의 표현 및 압축
* 참고자료
【 느낀 점 】
본문내용
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그룹이 사진으로 대표되는 정지영상 즉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압축할 세계 표준을 JPEG 형식을 만듬
(나) 그림과 같에 네 단계를 거쳐서 압축
- 임의의 크기와 표현의 2차원 이미지에서 각 성분 추출
- 각 선분에서 비례에 따라 약간씩의 블록들을 모아서 MCU(Minimum coded Unit)들을 구성
(다) DCT 계수 : DCT 변환법을 적용하여 64개의 DCT
(3) 이미지 압축 파일
(가)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 애니메이션 효과도 어느정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까지도 웹페이지를 구성할 때 사용한다.
③ 동영상
(1) 기본개념
(가) 동영상 : 약간씩 다른 정지 연상을 빨리 연속시킴으로써 눈의 잔상 효과에 의한 움직임 착각 을 일으키는 매체이다.
(2) MPEG
(가) MPEG-1 : 전통적인 MPEG은 비디오 CD를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CD-ROM 의 전송율 1.2MBPS를 기준으로 그만한 속도의 전송 및 복원을 목표로 개발한 압축법
(나) I-프레임(Intra-coded frame) : 그 자체로 압축하였기 때문에 다른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필요 없이 자체만 보고 다시 복원할 수 있는 프레임
(다) P-프레임(Predictive-coded frame) 직전의 I-프레임이나 P-프레임으로부터 달라진 점만을 부호화하는 예측 부호화 매크로 블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률이 더 높다
(라) B-프레임(Bi-directional pridictive-coded frame) : 직전과 직후의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구해 예측 부호화하는 프레임
(3) 동영상 압축 파일
보통 동영상 정보는 국제 표준인 MPEG를 사용하지만 프레임 하나하나를 조작하기 편하도록 모 든 프레임을 JPEG으로 압축한 파일도 있다.
기타 .qt, .mov, .avi 등의 형식이 있다.
* 참고자료
『파일처리론』, 이석호 , 정익사 , 1997
『멀티미디어시스템』, 곽덕훈 오해석 황종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 느낀 점 】
『데이터압축』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 교재를 살펴보았으나 정말 이해하기 힘든 말들의 연속이었다. 그래서 인터넷과 여러 책들을 조사하였는데도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였다. 이해하기 난해한 책들을 가지고 머리를 쥐어짜가며 과제를 했지만 솔직히 다 이해하진 못하고 정리 한 수준에 머무른 것 같아 아쉽다. 멀티미디어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어려운 것을 공부해야 된다는 것에 새삼 자극을 받게 된다.
과제를 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들을 찾았으나 ‘데이터압축’ 이란 제목을 가진 책도 없었고, 컴퓨터 공학과를 다니는 친구한데 도움을 청하려해도 자세히 배우지 않는다고 하여서 조사자체가 어려운 점도 있었다. 컴퓨터 검색으로 컴퓨터공학과에서 배우는 『파일처리론』이란 책을 참고하였는데, 컴퓨터 공학과에서 주교재로 사용하는 것이라 일반 타과학생에게는 매우 어려운 교재였다. 그래도 그것이 멀티미디어개론 수업에서 배운 내용에서 좀 더 심도있게 나아간 것이라 어려워도 조금이나마 이해한 것에 만족한다.
멀티미디어에 대해 종합적으로 배우는 수업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데이터 자체에 관한 것이고, 대용량 미디어의 산물이 쏟아지는 현 시점에서 중요한 건 데이터압축에 관한 것이다. 보통 때는 찾아보지도 못할 주제를 수업과제에서나마 자세히 알게되서 즐겁고, 기회가 된다면 멀티미디어에 관해 좀 더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알고 싶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개인 관심분야인 이미지편집과 동영상 편집분야에서 좀 더 배우고 싶은 생각이 든다.
(나) 그림과 같에 네 단계를 거쳐서 압축
- 임의의 크기와 표현의 2차원 이미지에서 각 성분 추출
- 각 선분에서 비례에 따라 약간씩의 블록들을 모아서 MCU(Minimum coded Unit)들을 구성
(다) DCT 계수 : DCT 변환법을 적용하여 64개의 DCT
(3) 이미지 압축 파일
(가)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 애니메이션 효과도 어느정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까지도 웹페이지를 구성할 때 사용한다.
③ 동영상
(1) 기본개념
(가) 동영상 : 약간씩 다른 정지 연상을 빨리 연속시킴으로써 눈의 잔상 효과에 의한 움직임 착각 을 일으키는 매체이다.
(2) MPEG
(가) MPEG-1 : 전통적인 MPEG은 비디오 CD를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CD-ROM 의 전송율 1.2MBPS를 기준으로 그만한 속도의 전송 및 복원을 목표로 개발한 압축법
(나) I-프레임(Intra-coded frame) : 그 자체로 압축하였기 때문에 다른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필요 없이 자체만 보고 다시 복원할 수 있는 프레임
(다) P-프레임(Predictive-coded frame) 직전의 I-프레임이나 P-프레임으로부터 달라진 점만을 부호화하는 예측 부호화 매크로 블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률이 더 높다
(라) B-프레임(Bi-directional pridictive-coded frame) : 직전과 직후의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구해 예측 부호화하는 프레임
(3) 동영상 압축 파일
보통 동영상 정보는 국제 표준인 MPEG를 사용하지만 프레임 하나하나를 조작하기 편하도록 모 든 프레임을 JPEG으로 압축한 파일도 있다.
기타 .qt, .mov, .avi 등의 형식이 있다.
* 참고자료
『파일처리론』, 이석호 , 정익사 , 1997
『멀티미디어시스템』, 곽덕훈 오해석 황종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 느낀 점 】
『데이터압축』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 교재를 살펴보았으나 정말 이해하기 힘든 말들의 연속이었다. 그래서 인터넷과 여러 책들을 조사하였는데도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였다. 이해하기 난해한 책들을 가지고 머리를 쥐어짜가며 과제를 했지만 솔직히 다 이해하진 못하고 정리 한 수준에 머무른 것 같아 아쉽다. 멀티미디어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어려운 것을 공부해야 된다는 것에 새삼 자극을 받게 된다.
과제를 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들을 찾았으나 ‘데이터압축’ 이란 제목을 가진 책도 없었고, 컴퓨터 공학과를 다니는 친구한데 도움을 청하려해도 자세히 배우지 않는다고 하여서 조사자체가 어려운 점도 있었다. 컴퓨터 검색으로 컴퓨터공학과에서 배우는 『파일처리론』이란 책을 참고하였는데, 컴퓨터 공학과에서 주교재로 사용하는 것이라 일반 타과학생에게는 매우 어려운 교재였다. 그래도 그것이 멀티미디어개론 수업에서 배운 내용에서 좀 더 심도있게 나아간 것이라 어려워도 조금이나마 이해한 것에 만족한다.
멀티미디어에 대해 종합적으로 배우는 수업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데이터 자체에 관한 것이고, 대용량 미디어의 산물이 쏟아지는 현 시점에서 중요한 건 데이터압축에 관한 것이다. 보통 때는 찾아보지도 못할 주제를 수업과제에서나마 자세히 알게되서 즐겁고, 기회가 된다면 멀티미디어에 관해 좀 더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알고 싶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개인 관심분야인 이미지편집과 동영상 편집분야에서 좀 더 배우고 싶은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물리학실험1
MP3에 대하여
[컴퓨터의 이해] 뉴 미디어와 멀티미디어
MP3 동향 및 이슈
CPU, 캐시메모리, RAM이 컴퓨터의 연산속도에 미치는 영향
[2007년11월]VOIP의 향후미래
[MP3][P2P][음반산업][음반시장][음악산업][소리바다][MP3플레이어]MP3의 개념, MP3의 기술배...
mp3에 관한 문화적 분석
(TMS320C6416용)(C언어용)코드 첨부- 영상처리 레포트,(DCT,Histogram 평활화, Averaging 등등)
HDD온도에 따른 백업설정
[소리의세계]심리음향의 효과와 체험
컴퓨터 관련 레포트
구조역학실험 - 굽힘 시험(Bending Test)
[공학] 프린터의 공학원리에 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