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2O3와 BaTio3의 제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l2O3와 BaTio3의 제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2. 이론적 배경

3. 실험 준비물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고찰 및 검토

본문내용

Fig. 4-2-3 볼밀기
Fig. 4-2-4 볼밀과정 Fig. 4-2-5 핫 플레이트
볼밀 과정시 섞인 알코올과 볼밀 후에 씻어낸 알코올을 핫 플레이트로 증발시켜 준다.
(3)건 조
- 증발 시킨 분말을 오븐에 건조시킨다.
- 함수량이 3%정도가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다.
- 건조에는 200 ~ 300도의 온도로 24시간정도 유지한다.
Fig. 4-3-1 오븐
(4) 분 쇄
Fig.4-4-1 Sieving
건조된 시료를 갈아서 채로 걸러 좌우로 돌리면서 치면 되며, 너무 힘을 준다. 가하면 시료들이 날아가므로 주의
채로 거른 후 남아있는 시료는 다시 채에 걸러진 시료를 갈아서 채로 거른다. 거의 모든 시료가 채에 걸러질 때까지 반복한다.
(5) 성 형
Fig. 4-5-1 성형
- 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각 조성당 1g, 10개의 시편을 만든다.
- 성형시 몰드를 분해할 때 시편이 부서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6)진공 및 프레스
- 만든 시편을 고무튜브에 5개씩 넣고 고무튜브 안의 공기를 진공기를 통해 진공시킨다.
- 진공시킨 튜브를 프레스 몰드에 넣고 핸드 프레스로 압축을 해준다.
(4톤, 7톤, 10톤에서 각각 10초, 10초, 1분씩 압축)
Fig. 4-6-1 핸드 프레스
(7)소 결
성형체가 가열에 의해 조립화 또는 치밀화를 이루는 과정
*조립화: 기공이 많은 성형체가 가열에 의해 밀도의 변화 없이 입자간 결합에 의한 표면적 감소와 높아진 강도를 나타내는 것
*치밀화: 기공이 많은 분말 성형체가 가열에 의해 밀도의 증가와 함께 입자간의 결합에 의해 표면적 감소와 강도가 커지는 것
소결시 시편을 1250도에서 30분, 1300도에서 5시간 1350도에서 50시간 1400도에서 1시간을 해준다.
분당 5℃씩 올려 1,100℃에서 1시간 유지함.
Fig. 4-7-1 소결로
(8)폴리싱
Fig. 4-8-1 연마법
- 소결한 시편을 마운팅을 한다.
- 마운팅한 시편을 연마지로 연마한다.
-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시편에 스크래치가 없을 때까지 연마해준다.
(9) XRD 실험
Fig. 4-9-1 XRD Fig. 4-9-2 시편준비1
① XRD (X-Ray Diffractometer) : 결정성 시료에 ② 시편준비1 : 표면을 연마하여 수평을 마친 후 X-ray를 조사시켜 시료표면에서 회절 되는 판상의 그립 중간에 놓는다.
X-ray를. 이용하여 결정 물질의 종류를 확인한다.
Fig. 4-9-3 시편준비2 Fig. 4-9-4 시편장착
③ 시편준비2 : 판상과 시편을 잡아줄 수 있는 ④ 시편장착 : 시편과 판상 그립이 수평이 잘 맞는 고무찰흙을 붙힌다. 지를 확인한 후 XRD에 넣는다. (주의 : 시편과 판상은 수평이 맞아야한다.)
Fig. 4-9-5 시편 셋팅 Fig. 4-9-6 실험화면
⑤ 시편 셋팅 : 시편 장착이 되었다면 실험을 ⑥ 실험 화면 : XRD에서 실험되는 값이 컴퓨터를 실행한다. 통하여 나온다.
5. 실험 결과
1) mullite
Table. 5-1-1 시편 압축 전후의 높이와 단면적의 변화량


1
6.02
5.67
2
5.59
5.45
3
5.75
5.59
4
5.76
5.63
5
6.02
5.86
6
5.67
5.51
7
5.72
5.67
8
6.05
5.95
9
5.63
5.52
10
6.29
6.13
평균값
5.85
5.70
단면적
10.88
10
2) BaTiO3


1
4.44
4.33
2
4.70
4.46
3
4.63
4.44
4
4.65
4.53
5
4.70
4.54
6
4.72
4.50
7
4.56
4.39
8
4.79
4.53
9
4.70
4.53
10
4.63
4.46
평균값
4.65
4.47
단면적
10.84
10
Fig. 5-2-1 시편 압축 전후의 높이와 단면적의 변화량
Sample6
Commentsmulite
Filename6.6437
GoniometerRINT2000 Wide angle goniometer
AttachmentStandard Sample Holder
MonochromaterNot installed
ScanningMode2 Theta / Theta
ScanningTypeCONTINUOUS
X-Ray40kV/40mA
Divergence slit"1/2deg."
Scattering slit"1deg."
Receiving slit"0.3mm"
Start20
Stop60
Step0.02
6. 고찰 및 검토
BaTiO3 조성실패 이유
실험에서는 1,100℃ --> 원래는 1,350℃ 소결온도 높았을 때랑 비교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1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9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