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ALDI의 경영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DI는 다음의 원칙을 가지고 납품업자들과 거래한다. 우선 ALDI는 한번 가격을 결정하면 더 이상 가격 변경을 하지 않는다. 둘째, ALDI는 추가 할인을 요구하지 않는다. 셋째, 정당화될 수 없는 불만은 토로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납품업자들의 피를 빨아 먹지 않는다.
3-3. 일을 맡기는 것은 신뢰하는 것이며 권력을 나누는 일이다 - ALDI의 분권화
ALDI의 경영진은 자신의 권한과 권력의 일부를 직원들에게 위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수의 몇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더 많은 직원들로 하여금 기업 경영에 책임을 지도록 한다. 특히 ALDI와 같은 슈퍼마켓 체인점은 농산물, 축산물, 잡화 등으로 이미 분권화가 되어 있고 현장 직원들은 고객과 항상 접촉한다. 이 경우 현장 직원들에게 더 많은 권한을 위임하면 현장 직원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더 열심히 일할 것이고 이를 통해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ALDI는 하르츠부르크 모델에 따라 업무를 직원들에게 위임한다. 이 모델의 중심이 되는 것은 일관된 업무 위임의 원칙이다. 즉 업무, 업무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권한, 업무 시행과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의 세 가지를 조화롭게 위임하는 것이다. 그럼 ALDI는 다른 사람이 더 잘 처리할 수 있는 일, 다른 사람이 비용을 더 절감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일, 직원이 일자리에 더 흥미를 느끼게 만들 수 있는 일, 책임을 내포하는 일, 직원에게 도전이 되며 직원이 커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일, 상사가 핵심 업무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시간적 압력을 받지 않도록 상사에게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일을 위임한다. 그리고 현장에 있거나 실제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에게 업무를 위임해야 한다. 상사는 그 직원에게 가이드 라인과 목표만 제시하고 샘플 검사와 실적 평가를 통해 그 직원을 통제한다. 만약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위임한 업무를 다시는 철회하지 않는다.
ALDI의 자원(R) 경영
1. 넘치기보다는 모자라게 - 판매 품목의 제한
2. 최대한 싸게 - ALDI의 저가 정책
3. 일관된 품질을 가진 제품을 고객에게 공급하려는 상품 관리
4. 예산과 숫자의 무덤에서 벗어나라
ALDI의 분권화를 위한 목표가 분명하고 규칙이 확실하며 적절한 감독 장치가 있다. 따라서 분권과 업무 분산 구조가 잘 유지된다. 그 결과 ALDI는 단순한 기업 구조를 이룰 수 있고 현장과 시장에 관한 지식을 더 잘 얻을 수 있으며 아이디어가 풍부하게 나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됐다.
ALDI의 권력(P) 경영
1. 간단한 조직 구조
2. 납품업체에 대해 공정하라 - 납품업체가 나아지도록 도와줘라
3. 일을 맡기는 것은 신뢰하는 것이며 권력을 나누는 일이다 - ALDI의 분권화
ALDI의 지식(K) 경영
1. 아인슈타인처럼 조금씩 더듬어서 찾아가기 - 암묵지의 지속적 실천
2. 창조적 능력에는 어느 정도의 어리석음이 필요하다 - 정보를 포기할 수 있는 여유
3. 세심한 부분을 항상 개선하려는 자율적인 지식 조직 - 카이젠
우리는 ALDI의 성공을 단지 지식(K) 경영만을 잘해서 혹은 권력(P) 경영만을 잘해서 혹은 자원 자원(R) 경영만을 잘 해서라고 말할 수 없다. ALDI의 성공은 지식(K), 자원(R), 권력(P)이 잘 융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ALDI의 성공을 물질적인 측면에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만성적인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독일에서 ‘절약’이라는 단어는 미덕이 아닌 의무가 되어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ALDI는 ‘알디화하다(aldisieren)’이라는 신조까지 등장시키며 일종의 사회적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독일의 시장 조사업체인 Gfk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ALDI는 지멘스, BMW에 이에 독일 내에서 세 번째로 존경받는 브랜드로 선정됐다. 그리고 독일 국민의 89%가 최소한 한 번씩은 ALDI 매장에서 쇼핑을 했다고 한다. ALDI의 경영 개념은 궁극적으로 소비자 리더십을 찾아주는 것이다. 즉 소비자들이 스스로 품질을 판단할 능력을 기르고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ALDI의 경제적 사회적 성공은 KRP를 지속적으로 결합시킨다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독일경제인협회(2006. 2. 22), 분야별 산업협회 보도자료 종합 분석
한겨레 (2004. 11. 25), ‘월마트 스타일 구겼네’
박규호 옮김 (2005) 디터 브란데스 지음, ‘단순하게 경영하라 - 알디(ALDI) 마케팅의 황금률’, 모색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1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