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즈모(Gizmo)
1. 기즈모 (매스컴용어)
2. 기즈모 (예문)
3. 기즈모 (gizmo)
4. Gizmo (기즈모)
Ⅱ. 프로토타입(Prototype)
1. 프로토타입 [proto type]
2. 프로토타입 (선행양산형)
3. 프로토타입 기반 프로그래밍은
4. 프로토타입과 클래스기반과의 비교
5. 객체 생성
1. 기즈모 (매스컴용어)
2. 기즈모 (예문)
3. 기즈모 (gizmo)
4. Gizmo (기즈모)
Ⅱ. 프로토타입(Prototype)
1. 프로토타입 [proto type]
2. 프로토타입 (선행양산형)
3. 프로토타입 기반 프로그래밍은
4. 프로토타입과 클래스기반과의 비교
5. 객체 생성
본문내용
ng)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무에서(ex nihilo)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다양한 복제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무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흔하지 않다.
무에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체계는 이미 있던 프로토타입을 복제하지 않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런 체계는 새 객체의 특성과 행동을 이미 있던 객체를 참조하지 않고도 지정할 수 있다. 많은 프로토타입기반 언어에서 기본 객체 프로토타입인 Object 프로토타입이 있는데, 여기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메서드가 들어있고, 모든 객체의 마스터 프로토타입으로 사용된다. 무에서 객체를 창조하는 방식의 유용한 한 가지는 새 객체의 슬롯 이름이 최상위의 Object 객체와 네임스페이스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질라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의 __proto__ 프로퍼티를 null로 지정하면 이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복제는 원래 있던 객체의 프로토타입의 행동을 복제하여 새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새 객체는 원본의 모든 특성을 가진다. 이 상태에서 새 객체를 수정할 수 있다. 어떤 체계에서 복제된 자식 객체는 명시적으로 프로토타입과 위임(delegation)이나 닮음(resemblance)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프로토타입을 변경하면 복제품에 영향을 끼친다. 포스와 케보 같은 다른 체계에서는 프로토타입을 번식시키는 이런 방식을 따르지 않고, 대신에 프로토타입을 수정하더라도 복제품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연쇄된 형태를 사용하여 원본 객체를 수정하더라도 그 자손으로 자동 번식되지 않는다.
무에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체계는 이미 있던 프로토타입을 복제하지 않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런 체계는 새 객체의 특성과 행동을 이미 있던 객체를 참조하지 않고도 지정할 수 있다. 많은 프로토타입기반 언어에서 기본 객체 프로토타입인 Object 프로토타입이 있는데, 여기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메서드가 들어있고, 모든 객체의 마스터 프로토타입으로 사용된다. 무에서 객체를 창조하는 방식의 유용한 한 가지는 새 객체의 슬롯 이름이 최상위의 Object 객체와 네임스페이스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질라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의 __proto__ 프로퍼티를 null로 지정하면 이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복제는 원래 있던 객체의 프로토타입의 행동을 복제하여 새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새 객체는 원본의 모든 특성을 가진다. 이 상태에서 새 객체를 수정할 수 있다. 어떤 체계에서 복제된 자식 객체는 명시적으로 프로토타입과 위임(delegation)이나 닮음(resemblance)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프로토타입을 변경하면 복제품에 영향을 끼친다. 포스와 케보 같은 다른 체계에서는 프로토타입을 번식시키는 이런 방식을 따르지 않고, 대신에 프로토타입을 수정하더라도 복제품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연쇄된 형태를 사용하여 원본 객체를 수정하더라도 그 자손으로 자동 번식되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