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Data
▪ KClO3 1g을 연소시켜 발생한 산소의 양 :
▪ 연소 전 Mg리본의 무게 :
연소 후 Mg리본(산화마그네슘)의 무게 :
▪ 리트머스 종이의 색깔변화 :
2. 결과 도출
1. 금속이나 비금속 산화물은 물과 반응하여 서로 다른 액성을 띈다.
각 산화물의 보기를 들고 물과 반응한 후 액성을 말하시오.
2. 촉매의 종류와 촉매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쓰시오.
3. KClO3 1g을 완전히 분해시키면 표준 상태에서 몇 mL 산소가 발생하는가?
4. 기체의 포집 방법을 설명하시오.
5. KClO3을 가열할 때 산소가 발생하는 반응식을 기록하시오.
6. 산소를 포집할 때 집기병 속에 공기가 들어가면 안 된다. 그 이유는?
7. 약 1L의 산소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KClO3의 양을 계산하시오.
8. 그림 32.3과 같은 장치를 꾸밀 때 시험관의 입구가 약간 아래로 기울게 하는 이유는
9. 실험 결과를 아래 표에 기록하시오.
10. 산소는 물질을 잘 태우는가? 그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 고찰
4. 참고문헌
▪ KClO3 1g을 연소시켜 발생한 산소의 양 :
▪ 연소 전 Mg리본의 무게 :
연소 후 Mg리본(산화마그네슘)의 무게 :
▪ 리트머스 종이의 색깔변화 :
2. 결과 도출
1. 금속이나 비금속 산화물은 물과 반응하여 서로 다른 액성을 띈다.
각 산화물의 보기를 들고 물과 반응한 후 액성을 말하시오.
2. 촉매의 종류와 촉매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쓰시오.
3. KClO3 1g을 완전히 분해시키면 표준 상태에서 몇 mL 산소가 발생하는가?
4. 기체의 포집 방법을 설명하시오.
5. KClO3을 가열할 때 산소가 발생하는 반응식을 기록하시오.
6. 산소를 포집할 때 집기병 속에 공기가 들어가면 안 된다. 그 이유는?
7. 약 1L의 산소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KClO3의 양을 계산하시오.
8. 그림 32.3과 같은 장치를 꾸밀 때 시험관의 입구가 약간 아래로 기울게 하는 이유는
9. 실험 결과를 아래 표에 기록하시오.
10. 산소는 물질을 잘 태우는가? 그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 고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우는가? 그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산소와 어떤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면서 격렬하게 반응하는 것을 연소라고 하며 그것을 ‘탄다’고 한다. 이때 산소와 반응한 물질은 산화물이 된다.
산소는 반응성이 매우 커서 비활성 원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만든다. 즉 비활성 원소를 제외한 모든 물질들을 잘 태운다.
3. 고찰
이번 실험은 기체를 다뤘던 실험이라 평소보다 조금 더 신중하게 했다. 특히 중/고등학교 때 과학책에서나 화학책에서 많이 봤던 실험이라 더욱 흥미가 생겨서 제대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론 값을 구해보니 실험 값과 차이가 많이 나서 아쉬웠다. 실험 값과 이론 값을 비교해 보며 한 가지 이상한 점을 발견했는데, 이번 실험은 실험 값이 이론 값 보다 클 수 없는 실험인 것 같은데 실험 값이 크게 나온 점이 이상했다. 염소산칼륨의 양도 꽤 정확하게 측정해서, 0.01g 이상 차이가 나지 않았고, 오히려 염소산칼륨을 측정할 때 사용한 종이에 소량의 염소산칼륨이 묻은 채로 남아서 측정한 양보다 더 적은양의 염소산칼륨을 이용하여 실험을 했을 텐데도 실험 값이 크게 나온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원인으로는 무게측정 시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 점과, 무게를 측정할 때 사용한 종이에 염소산칼륨이 묻은 채로 떨어져나가지 않아서 실제 측정한 값보다 적은 양의 염소산칼륨을 사용한 점, 그리고 도가니에서 염소산칼륨을 가열한 후 시험관으로 옮길 때 도가니에 묻어있는 염소산칼륨을 모두 털어내어 옮기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4. 참고문헌
대학화학실험법 (단국대학교출판부)
산소와 어떤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면서 격렬하게 반응하는 것을 연소라고 하며 그것을 ‘탄다’고 한다. 이때 산소와 반응한 물질은 산화물이 된다.
산소는 반응성이 매우 커서 비활성 원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만든다. 즉 비활성 원소를 제외한 모든 물질들을 잘 태운다.
3. 고찰
이번 실험은 기체를 다뤘던 실험이라 평소보다 조금 더 신중하게 했다. 특히 중/고등학교 때 과학책에서나 화학책에서 많이 봤던 실험이라 더욱 흥미가 생겨서 제대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론 값을 구해보니 실험 값과 차이가 많이 나서 아쉬웠다. 실험 값과 이론 값을 비교해 보며 한 가지 이상한 점을 발견했는데, 이번 실험은 실험 값이 이론 값 보다 클 수 없는 실험인 것 같은데 실험 값이 크게 나온 점이 이상했다. 염소산칼륨의 양도 꽤 정확하게 측정해서, 0.01g 이상 차이가 나지 않았고, 오히려 염소산칼륨을 측정할 때 사용한 종이에 소량의 염소산칼륨이 묻은 채로 남아서 측정한 양보다 더 적은양의 염소산칼륨을 이용하여 실험을 했을 텐데도 실험 값이 크게 나온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원인으로는 무게측정 시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 점과, 무게를 측정할 때 사용한 종이에 염소산칼륨이 묻은 채로 떨어져나가지 않아서 실제 측정한 값보다 적은 양의 염소산칼륨을 사용한 점, 그리고 도가니에서 염소산칼륨을 가열한 후 시험관으로 옮길 때 도가니에 묻어있는 염소산칼륨을 모두 털어내어 옮기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4. 참고문헌
대학화학실험법 (단국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