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곡정수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곡정수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물(BDOC),염소계소독 부산물인 THMs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오존 및
활성탄을 병행하여 처리하고 있다.
정류→배수지
고도정수처리시설에는 오존접촉지에서 물에 오존(O3)을 접촉시켜 살균 및 색도,맛,냄새 등을 제거하고 유기물을 산화시키는방법과 활성탄 흡착지에서 오존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질의 흡착 및 미생물 처리를 하는 방법이있다.
활성탄 흡착지에서는 로 보낼때 배수지에 약품을 섞는다 그이유는 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6. 정수지
정수과정의 최종단계로서 후염소를 투입하여 소독능을 향상시키고, 사고시 수량확보에 대비.저장 하였다가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따라서 정수장 업무의 표준화 구축으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수지에 정수된 물을 일정시간 저장하여 염소살균 소독을 한후 송수펌프를 통해서 산위에 있는 배수지로 물을보낸다 배수지에서는 보통 자연유하의 힘에 의해서 각 가정으로 물을 전해준다.
위 사진은 매곡정수사업소의 모든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관리 하는 중앙통제실의 모습이다.
중앙통제실에서 각부분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고 BOD,COD,각종 수질체크를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정수처리를 할 수 있다.
하수처리장 견학
1. 하수처리장 및 각종시설 개요
하수처리장수 : 총6개
하수발생량 : 142만 m3/일
소각처리시설 : 1개소, 시설용량 600t/일
음식물 쓰레기 병합처리시설 : 1개소, 시설용량 200t/일
2. 하수처리 순서
침사지→최초침전지(이물질 가라앉힘)→생물반응조→(혐기성조,무산소조,호기성조로구성)→
최종침전지(중력을 이용하여 슬리지를 가라앉힘)→모래여과지(미세한입자제거)→
오존접촉산화시설(각종세균제거,산화)
3. 슬러지 처리순서
농축조→소화조→1차혐기성소화→탈수기→소각장 or 매립장
4. 각과정 상세 설명
침사지
침사지에서는 굵은모래나 협잡물을 제거 한다.
1차침전지(최초침전지)→자연유하로 나갈 유기물제거,4~6시간정도 체류 찌꺼기는 펌프시설에의해 농축지로 이동한다.
바닥에기포는 찌꺼기가 썩어서 발생하는 CO2 or CH4
생물반응조
생물반응조에서는 물속의 유기물을 미생물을 키워서 먹게 한다 위사진에서 검게보이는 것이 미생물이다.
혐기조→산소 즉 용존산소도 없고 화학적결합산소도 없다
무산소→용존산소는 없으나 화학적 결합산소는 있다.
포기조에서 인과 질소를 동시에 처리한다.
인처리 미생물은 공기가있을때와 없을때 방식을 달리한다.
최종 침전지
최종침전지에서는 물,슬러지를 분리한다. 여기서 슬러지는 반송펌프를 통해서 생물반응조의 맨앞으로 보내진다.
슬러지가 붉게 보이는데 그이유는 염색공단에서 쓰는 약품을 공단에서 방출 할때 100%완벽하게 처리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기준 400이내)
방류
위 사진 그림 12에 보는것처럼 방류되는 물에 살포를 해주는 이유는 생활하수에 포함되어있는 세제거품들을 터뜨리기 위해서이다. 세제거품이 그대로 방류될 경우 미관상으로 안좋을뿐만아니라 물의 부영양화를 초래할수도있다.
5. 슬러지 처리
슬러지처리의 순서
농축조(1차침전지 슬러지를 가져옴)→소화조(30일체류시간 이기간동안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