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탄성충돌
2. 실험 결과
3. 결과 분석
4. 오차및 원인
5. 결론 및 토의
2. 실험 결과
3. 결과 분석
4. 오차및 원인
5.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않아도 탄성충돌처럼 운동에너지가 보존된다는 의미로 해석 될 수도 있고, 역으로 탄성충돌 시에 두 물체는 일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와 운동에너지가 같다는 것, 즉 충돌 시 어떠한 운동에너지의 손실도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② 만약 [충돌1],[충돌2]를 동전 대신에 당구공으로 할 경우 복잡한 묘기 당구 현상 역시 식(1)~(4)만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설명할 수 없다면 고려해야하는 새로운 물리적 원리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설명 할 수 없다. 충돌1과 충돌2의 전제는 마찰력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인데, 당구는 물론 탄성과는 매우 관계가 깊지만, 당구 특히 묘기당구에서 중요한건 당점의 위치와 큐의 힘으로 만들어지는 공의 회전이다. 공의 회전은 바로 이 마찰력과 연관되어 진다. 이를 설명하자면 공에 회전이 걸리게 되면 지면과의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는 회전은 거의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다(미소의 공기 저항력을 유발할 뿐이다). 하지만 마찰력이 있는 경우는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공이 구르기 때문에 공의 경로는 물론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운동량에서는 경로와 속도, 운동에너지의 경우는 속도를 변화 시키므로 설명이 불가능 한 것이다.
② 만약 [충돌1],[충돌2]를 동전 대신에 당구공으로 할 경우 복잡한 묘기 당구 현상 역시 식(1)~(4)만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설명할 수 없다면 고려해야하는 새로운 물리적 원리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설명 할 수 없다. 충돌1과 충돌2의 전제는 마찰력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인데, 당구는 물론 탄성과는 매우 관계가 깊지만, 당구 특히 묘기당구에서 중요한건 당점의 위치와 큐의 힘으로 만들어지는 공의 회전이다. 공의 회전은 바로 이 마찰력과 연관되어 진다. 이를 설명하자면 공에 회전이 걸리게 되면 지면과의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는 회전은 거의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다(미소의 공기 저항력을 유발할 뿐이다). 하지만 마찰력이 있는 경우는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공이 구르기 때문에 공의 경로는 물론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운동량에서는 경로와 속도, 운동에너지의 경우는 속도를 변화 시키므로 설명이 불가능 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