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등을 기록한 확인용 팔찌를 감아준다.
(8) 신생아에 대한 산모의 반응은 어떠한가?
- 아이를 보자 미소를 지으며 매우 좋아하셨다.
(9) 분만 2기 이후 모아관계를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 모아관계의 강화를 위해서 신생아와 산부를 잠시 서로 바라보게 하여 눈을 마주치게 하 였으며 분만 즉시 엄마의 심박동을 들을 수 있도록 엄마배위에 올려놓아 주었다.
(10) 분만동안 모-아 상호관계(meternal-child interaction)를 강화시키거나 장애를 가져오 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분만즉시 suction을 하고 산모 배위에 아기를 엎드려 엄마의 심박동을 듣게 하여 엄마 와 아기의 친밀감의 상호관계를 증진시켜주고 가족분만시 아기가 태어나면 아빠가 아기 를 만져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았던 것 같다. 그렇지만 아기와 엄마가 함께 있는 시간 이 짧은 듯 했다.
14) 임상검사 (Laboratory Findings)
-
15) 현재 투약하고 있는 약물
약품명
투약방법
적응증과 효과
부작용
금기
Oxytocin
5~10IU를
5%DW에 혼합하여 0.5~0.75/min의 속도로 시작하여 5ml/min 초과
하지 않도록 점적 주입
-자궁평활근에 작용하여 자궁을 수축시키며 유선을 자극함.
-승압효과는 거의 없음.
-분만유도, 진통미약시 분만촉진, 불완전하거나 혹은 불가피한 분만 보조제.
-분만후 자궁수축과 산후출혈방지에 사용함.
태아의 서맥,
신생아 황달,
오심, 구토,
산후출혈,
심부정맥
심한 골반상부의 불균형, 임신중독증, 태아의 위치에 의한 난산, 과민한 자
Unidergine
1회에
0.125~0.23mg씩
1일 2~4회 투여
태반 만출 후,
분만 후 출혈,
자궁 퇴축 부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구역/구토, 복통,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심근경색, 협심증, 관동맥 경축, 빈맥, 서맥, 두통, 졸음, 현기, 구갈, 이명, 흥분, 태반감둔, 흉부압박감 등
임부, 가임부, 분만 중인 여성,
자간환자, 분만유도 환자, 아두만출 전, 고혈압, 임신 중독증 환자, 본제 또는 맥갈 알칼로이드에 과민증 및 그 기왕력자, 중증 허혈성 심질환 및 그 기왕력자, 폐색성 혈관 질환 또는 그 기왕력자, 중증 전염상태에 있는 환자, 패혈증 환자
16)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배가 너무 아파요”
“첫 아이 때 보다 더 힘든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수축시마다 통증이 심하셔 많이 힘들어하시고 얼굴을 많이 찌푸 리심
Monitor 상 NST monitor상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수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호목표
산모는 통증 조절하는 방법들을 이해하고 직접 적용함으로써 통증의 감소를 표현한다.
간호진단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자궁 수축 시 통증 완화를 위하여 라마즈 호흡과 이완법에 대해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코로 들이마시고, 입을 동모아서 내쉬는 방법)
수축시 많이 아파도 입을 벌리거나 소리를 내지 말고 길게 참으면서 힘주기를 하라고 교육한다.
힘주기 자세를 교육한다.
다리는 벌리고 대퇴부를 복부가까이 굴곡시킨 후, 팔로 무릎아래를 잡고 시선을 배꼽을 향하게 한다 .
이완기에는 천천히 호흡하며 쉬라고 격려한다.
호흡을 통해 분만을 원활히 할 수 있 다.
무릎을 잡아당기면서 턱을 가습에 대도록하면 횡격막의 압력을 아래로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다음 수축 때 힘주기를 위해 호흡을 하며 쉰다.
간호수행
산모가 수축이 올 때 천천히 심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함께 호흡을 하며 격려하였 다.
힘주기를 할때 산모의 머리를 들어주고 “입벌리지말고, 소리내지 말고 힘주세요” 라면서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산모는 통증 시 힘주기와 호흡법을 잘 시행하여 분만을 원활히 할 수 있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첫아이는 젖도 안나오고 아기도 잘 안 빨고 해서 금방 포기해버렸어요.”
“모유수유 교육도 제대로 못 받았는데 이번엔 잘 할 수 있을지 걱정이네요.”
객관적 자료
첫 아이의 모유수유를 실패하였다.
출산 후 아이의 모유수유에 대해 이야기할 때 걱정스러운 표정 을 지으셨다.
간호목표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올바른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간호진단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산모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모유수유의 장점, 방법 등)
유즙 분비 기전과 원활한 젖분비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출산 후 빠른시간 내에 젖을 빨리도록 교육한다.(임신 중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에 의해 억제되어 있던 프로락틴이 태반만출 후 최고로 분비되며 유즙 생산이 시작된다. 유방에 젖이 충분할 때는 프로락틴분비가 억제되므로 젖의 생산도 억제되며 젖의 생산량은 소비되는 젖의 양과 젖꼭지 자극에 의해 좌우된다. 분만 후 가능한 한 빨리 젖을 빨리고 자주 젖을 빨게 하거나 유방마사지 등을 통해 젖꼭지에 자극을 준다.)
모유수유의 올바른 자세와 시간 등에 대해 교육한다.(아기의 입안으로 엄마의 유륜이 1cm 이상 들어가야 하며 1일 8~12차례 매번 적어도 15분 이상 젖을 먹인다.)
모유수유의 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포기하지 않고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산모의 지식 수준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고 잘못된 정보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여 올바른 지식을 갖도록 한다.
아기를 분만하자마자 젖을 빨리면 젖이 빨리 많이 만들어질 뿐아니라 유방의 울혈도 예방한다.
모유수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여 아기의 건강과 산모의 건강을 유지한다.
모유수유는 모체의 호르몬 조절과 체중 조절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며 아기와 애착을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며 면역 성분이 있어서 아기의 질병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산모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했다.
유즙 분비 기전과 원활한 젖분비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출산 후 빠른시간 내에 젖을 빨리도록 교육했다.
모유수유의 올바른 자세와 시간 등에 대해 교육했다.
모유수유의 이점에 대해 다시한번 강조하였으며 포기하지 않고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간호평가
산모는 모유수유의 올바른 방법을 설명할 수 있으며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말로 표현했다.
(8) 신생아에 대한 산모의 반응은 어떠한가?
- 아이를 보자 미소를 지으며 매우 좋아하셨다.
(9) 분만 2기 이후 모아관계를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 모아관계의 강화를 위해서 신생아와 산부를 잠시 서로 바라보게 하여 눈을 마주치게 하 였으며 분만 즉시 엄마의 심박동을 들을 수 있도록 엄마배위에 올려놓아 주었다.
(10) 분만동안 모-아 상호관계(meternal-child interaction)를 강화시키거나 장애를 가져오 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분만즉시 suction을 하고 산모 배위에 아기를 엎드려 엄마의 심박동을 듣게 하여 엄마 와 아기의 친밀감의 상호관계를 증진시켜주고 가족분만시 아기가 태어나면 아빠가 아기 를 만져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았던 것 같다. 그렇지만 아기와 엄마가 함께 있는 시간 이 짧은 듯 했다.
14) 임상검사 (Laboratory Findings)
-
15) 현재 투약하고 있는 약물
약품명
투약방법
적응증과 효과
부작용
금기
Oxytocin
5~10IU를
5%DW에 혼합하여 0.5~0.75/min의 속도로 시작하여 5ml/min 초과
하지 않도록 점적 주입
-자궁평활근에 작용하여 자궁을 수축시키며 유선을 자극함.
-승압효과는 거의 없음.
-분만유도, 진통미약시 분만촉진, 불완전하거나 혹은 불가피한 분만 보조제.
-분만후 자궁수축과 산후출혈방지에 사용함.
태아의 서맥,
신생아 황달,
오심, 구토,
산후출혈,
심부정맥
심한 골반상부의 불균형, 임신중독증, 태아의 위치에 의한 난산, 과민한 자
Unidergine
1회에
0.125~0.23mg씩
1일 2~4회 투여
태반 만출 후,
분만 후 출혈,
자궁 퇴축 부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구역/구토, 복통,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심근경색, 협심증, 관동맥 경축, 빈맥, 서맥, 두통, 졸음, 현기, 구갈, 이명, 흥분, 태반감둔, 흉부압박감 등
임부, 가임부, 분만 중인 여성,
자간환자, 분만유도 환자, 아두만출 전, 고혈압, 임신 중독증 환자, 본제 또는 맥갈 알칼로이드에 과민증 및 그 기왕력자, 중증 허혈성 심질환 및 그 기왕력자, 폐색성 혈관 질환 또는 그 기왕력자, 중증 전염상태에 있는 환자, 패혈증 환자
16)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배가 너무 아파요”
“첫 아이 때 보다 더 힘든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수축시마다 통증이 심하셔 많이 힘들어하시고 얼굴을 많이 찌푸 리심
Monitor 상 NST monitor상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수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호목표
산모는 통증 조절하는 방법들을 이해하고 직접 적용함으로써 통증의 감소를 표현한다.
간호진단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자궁 수축 시 통증 완화를 위하여 라마즈 호흡과 이완법에 대해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코로 들이마시고, 입을 동모아서 내쉬는 방법)
수축시 많이 아파도 입을 벌리거나 소리를 내지 말고 길게 참으면서 힘주기를 하라고 교육한다.
힘주기 자세를 교육한다.
다리는 벌리고 대퇴부를 복부가까이 굴곡시킨 후, 팔로 무릎아래를 잡고 시선을 배꼽을 향하게 한다 .
이완기에는 천천히 호흡하며 쉬라고 격려한다.
호흡을 통해 분만을 원활히 할 수 있 다.
무릎을 잡아당기면서 턱을 가습에 대도록하면 횡격막의 압력을 아래로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다음 수축 때 힘주기를 위해 호흡을 하며 쉰다.
간호수행
산모가 수축이 올 때 천천히 심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함께 호흡을 하며 격려하였 다.
힘주기를 할때 산모의 머리를 들어주고 “입벌리지말고, 소리내지 말고 힘주세요” 라면서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산모는 통증 시 힘주기와 호흡법을 잘 시행하여 분만을 원활히 할 수 있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첫아이는 젖도 안나오고 아기도 잘 안 빨고 해서 금방 포기해버렸어요.”
“모유수유 교육도 제대로 못 받았는데 이번엔 잘 할 수 있을지 걱정이네요.”
객관적 자료
첫 아이의 모유수유를 실패하였다.
출산 후 아이의 모유수유에 대해 이야기할 때 걱정스러운 표정 을 지으셨다.
간호목표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올바른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간호진단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산모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모유수유의 장점, 방법 등)
유즙 분비 기전과 원활한 젖분비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출산 후 빠른시간 내에 젖을 빨리도록 교육한다.(임신 중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에 의해 억제되어 있던 프로락틴이 태반만출 후 최고로 분비되며 유즙 생산이 시작된다. 유방에 젖이 충분할 때는 프로락틴분비가 억제되므로 젖의 생산도 억제되며 젖의 생산량은 소비되는 젖의 양과 젖꼭지 자극에 의해 좌우된다. 분만 후 가능한 한 빨리 젖을 빨리고 자주 젖을 빨게 하거나 유방마사지 등을 통해 젖꼭지에 자극을 준다.)
모유수유의 올바른 자세와 시간 등에 대해 교육한다.(아기의 입안으로 엄마의 유륜이 1cm 이상 들어가야 하며 1일 8~12차례 매번 적어도 15분 이상 젖을 먹인다.)
모유수유의 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포기하지 않고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산모의 지식 수준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고 잘못된 정보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여 올바른 지식을 갖도록 한다.
아기를 분만하자마자 젖을 빨리면 젖이 빨리 많이 만들어질 뿐아니라 유방의 울혈도 예방한다.
모유수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여 아기의 건강과 산모의 건강을 유지한다.
모유수유는 모체의 호르몬 조절과 체중 조절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며 아기와 애착을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며 면역 성분이 있어서 아기의 질병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산모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했다.
유즙 분비 기전과 원활한 젖분비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출산 후 빠른시간 내에 젖을 빨리도록 교육했다.
모유수유의 올바른 자세와 시간 등에 대해 교육했다.
모유수유의 이점에 대해 다시한번 강조하였으며 포기하지 않고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간호평가
산모는 모유수유의 올바른 방법을 설명할 수 있으며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말로 표현했다.
추천자료
분만 과정
조기분만 간호과정
유도분만,경막외마취,간호과정
조기파막,정상 분만 산욕부 간호과정-
(모성간호학)산전, 분만, 산욕 ,간호과정 CASE 총 정리
[자연과학] 자연분만 대상자 간호과정
초등3) <(창의적 체험활동(창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KBS 다큐멘터리 ‘태아’> 2. 아...
분만의 과정 및 종류 전반에 대한 검토
[출산의 과정] <출산> 출산의 과정 (개구기, 출산기, 후산기), 출산방법(자연분만,무통분만,...
제왕절개분만 (cesarean section)간호과정 제왕절개 케이스 case study
[영유아발달] ≪출산(出産)≫ 출산 준비, 출산 과정, 대안적인 분만방법들, 출산과정에서 발생...
[여성] 정상분만[Normal delivery(NFSD)]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모성간호A+]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 간호과정 자연두정태위분만 간호과정 자연분만 case 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