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입양아 문제-바리데기 신화를 바탕으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입양아 문제-바리데기 신화를 바탕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연구목적 및 방향

Ⅱ. 본론
1. 작품개관
⑴ 오구굿과 바리데기
⑵ 바리데기 전승 및 채록 현황
⑶ 바리데기 서사단락 및 화소(話素) 차용 분석
2. 욕망의 구조와 바리데기의 의미
⑴ 작중 인물의 욕망 분석
⑵ 작품 외적 인물의 욕망 분석
⑶ 바리데기의 의미
3. 또 다른 바리데기의 신화 :‘대한민국’이 버린 아이들이 돌아오다.
⑴ 버려진 아이들 - 바리데기
⑵ 닮은꼴의 이야기 : 빈손으로 오지 않는 바리데기
⑶ 바리데기 신화가 재생산 되는 이유

Ⅲ. 결론

본문내용

아오는 도중에 저승 가는 배들의 행렬을 구경한다.
바리공주는 시간이 늦어서 벌써 상여가 나온다는 말을 듣는다.
바리공주는 언니들의 방해를 받으나 물리친다.
바리공주가 부모를 살려낸다.
바리공주의 남편이 대궐을 헐고 입시 한다.
키를 재어보고 바리공주와 남편이 천생연분임을 안다.
바리공주가 부모 살린 공을 받는다.
바리공주 외 다른 사람들도 공덕을 인정받는다.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7 pp.20~44
이에 비해 김복순 본은 다음 서사단락의 차례를 따른다.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이 부부의 인연을 맺는다.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이 딸 여섯을 낳는다.
아들 낳기를 원하는 길대부인에게 스님이 예언을 한다.
아들을 낳기 위해 공을 드린다.
태몽을 얻는다.
일곱 번째도 공주를 낳는다.
일곱 번째 딸을 버린다.
구조자가 공주를 구해낸다.
구조자의 도움으로 바리데기는 무럭무럭 자라난다.
오구대왕이 병을 얻는다.
병을 낳게 하는 약이 약수임을 알게 된다.
여섯 딸들에게 약수를 길러 올 것을 청하나 모두 거절한다.
꿈속에서 백발노인이 바리데기를 찾으라고 조언한다.
바리데기가 길대부인과 상봉한다.
바리데기가 병든 오구대왕과 상면한다.
바리데기가 남복을 입고 약수를 찾아 떠난다.
수미산 팔공사에 묵는다.
바리데기가 천태산 마고할머니, 논가는 노인의 과업을 해결하고 길을 인도 받는다.
열두 고개를 넘어 유수강을 건너 서천서역국에 다다른다.
동수자를 만나 백일기도를 드리고, 오줌 내기를 한다.
동수자와 결혼하여 아들 셋을 낳는다.
동수자가 약수 있는 곳을 가르쳐 준다.
꽃과 약수를 구한다.
자식들을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돌아오는 길에 군사들에 의해 방해를 받으나 이겨낸다.
부친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바리데기가 상여를 막아서고 죽이려하는 위기를 물리친다.
꽃과 약수로 아버지를 살려낸다.
일곱공주는 하늘의 칠성별 태주가 되었고, 다들 삼형제는 삼태성에 응해졌고,
바리데기와 동수자는 은하수의 견우 직녀 되었다.
전국 「바리데기」의 종합적 서사단락과 김복순 본 「바리데기」의 서사단락을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종합적 서사단락의 1, 2, 4, 10, 18, 19, 24, 25, 29, 33, 37, 38등은 김복순 본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바리데기의 부모가 만나서 혼인하는 단락과 바리데기가 버려지는 과정이 나타난 단락, 약수와 꽃을 얻는 과정이 나타난 단락 등은 그 차례에서도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 단락들은 바리데기의 서사구조를 이루는 데 있어 중심이 되는 단락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각 지역마다 특색적으로 삽입된 부수적 단락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김복순 본은 바리데기의 영웅적 행위와 일치된 핵심단락의 논리적 진행 서대석이 구분한 「바리데기」의 핵심단락은 9가지 구성된다.
부부가 딸만 계속 일곱(또는 아홉)을 낳는다.
부모는 마지막 딸을 버린다.
부모(또는 부친)이 병이 든다.
병든 부모는 약물을 먹어야 낳을 수 있다.
집에서 기른 딸들은 약물 길어 오기를 거절한다
버린 딸을 찾아서 약물을 길어오게 한다.
마지막 딸은 약물 있는 곳에 가서 약값으로 많은 고된 일을 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약물 관리자와 결혼하고 아들까지 낳아줌)
마지막 딸은 약물을 얻어 가지고 와서 죽은 부모(또는 부친)을 살린다.
마지막 딸은 그 공으로 신직(神職)을 부여받는다.(이것이 없는 본도 많다.)
- 서대석, 앞의 책, pp. 215~216
을 보이므로, 여타 다른 동해안 지역의 「바리데기」처럼 비교적 완성된 논리적 구조의 서사무가로 볼 수 있다.
2) 고대서사문학 화소(話素)의 차용
「바리데기」가 종교적 행위를 목적으로 한 서사무가이지만, 문학사적 중요 특징 중 하나는 고대서사문학의 여러 화소(話素)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리데기」는 바리데기의 출생과 버려짐, 부친의 득병으로 인한 바리데기의 구약(救藥) 노정 그리고 부친을 재생시키고 오구신으로 좌정하는 내용으로, 시련과 고난 극복의 순환과 승리의 행위항을 축으로 전개되고 있다. 구조적으로 신화나 설화, 소설로 이어지는 고대 서사문학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고대 신화나 설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여러 화소(話素)가 유기적 논리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
㉮자슥이 무엇인고 자슥이 무엇인고 아들이 무엇인지
석달 열흘 불공을 드디러 올라가는구나.
㉯돈도 올라가고 시주도 올라가고 초도 올라가고 미역도 올라가야 석달 열흘 불공을 마치고 그 질로 돌아와야 그 날 밤에 꿈을 꾸니 하늘에 서기가 반공한다. 천지일월이 명랑하드니마는 하늘에 올라 옥녀선녀 학을 타고 하늘에서 나려온다. …(중략)… 소녀는 다른 사람 아니옵고 서왕모의 딸일러니 반도 진상가는 길에 옥경 비자 잠간 만나 수작을 하옵다가 때가 조금 늦었기로 황제께 특죄하고 인간에 정배하야 지하땅을 보내거날 갈 바를 몰랐더니 태상노군 후토부인 제불보살 석가님이 댁으로 지시하여 찾아 왔아오니 어엿비 여기소서. 품에 와서 안기거날 깜짝 놀라니 남가일몽 이로구나.
㉰눈을 떠서 살펴보니 죽으라고 버린 자식 말도 초면이고 얼굴도 초면이건 마는 갑자 사월 초파일 날 꿈 속에서 보던 선녀가 바로 네 얼골이었구나.
(영일 김복순본 「바리데기」)
바리데기의 출생은 영웅의 일생을 다루는 신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화소이다. ㉮에 나타난 명산대천에 대한 기자정성과 ㉯에 나타난 선녀가 품에 안기는 태몽은 주인공의 비범성을 보이기 위해 사용되는 전통적인 서사문학의 중요 화소이다. 꿈속이긴 하지만 선녀는 옥황상제의 벌을 받아 지상세계로 내려온 인물로, ㉰에서 바리데기가 선녀와 동일시되고 있다. 이 역시 천상강림(天上降臨)이라는 고대 서사문학의 화소 중 하나이다.
…바위돌에 눕혀 놓고 한짝 날개는 깔리고 한짝 날개는 덮어 애기 젖을 먹이고 …(중략)… 하날에 내려올 적에는 청학 백학이 되었건마는 지하 땅에 내려와 여 삼일만에 무슨 선녀가 되어서 그 산중에다 무슨 집을 지어 놓고 올라가며 따고 내려오며 따고 만학천봉 밑으로 내려가며 열매를 따가지고 물로 마셔서루 애기를 키울적에 …
(영일 김복순본 「바리데기」)
…하늘에 학이 한 쌍 내려와서 두 입으로 덜컹 물어 왕대 밭에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