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려시대 교육기관 국자감
1. 국자감의 창설
2. 국자감의 성격
3. 국자감의 교육내용
4. 국자감의 수업연한
Ⅱ. 고려시대 교육기관 학당
1. 등장시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의의
Ⅲ. 고려시대 교육기관 향교
Ⅳ. 고려시대 교육기관 십이도(십이공도)
Ⅴ. 고려시대 교육기관 서당
Ⅵ.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1. 성립
2. 배경
3. 형태
4. 내용과 종류
1) 제술과(진사과)
2) 명경과(생원과)
3) 잡과(의복과)
4) 승과
5. 응시자격
6. 과거의 특징
7. 장·단점
1) 장점
2) 단점
참고문헌
1. 국자감의 창설
2. 국자감의 성격
3. 국자감의 교육내용
4. 국자감의 수업연한
Ⅱ. 고려시대 교육기관 학당
1. 등장시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의의
Ⅲ. 고려시대 교육기관 향교
Ⅳ. 고려시대 교육기관 십이도(십이공도)
Ⅴ. 고려시대 교육기관 서당
Ⅵ.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1. 성립
2. 배경
3. 형태
4. 내용과 종류
1) 제술과(진사과)
2) 명경과(생원과)
3) 잡과(의복과)
4) 승과
5. 응시자격
6. 과거의 특징
7. 장·단점
1) 장점
2) 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 17대 인종(仁宗)때(1122-1146)의 학풍을 적고 있는 바 그 내용(內容)은 「마을의 거리에는 경관(經館)과 서사(書社)가 두, 셋이 서로 바라보며 민간의 미혼자제가 무리로 모여 스승에게 경(經)을 배우고 좀 성장(成長)하면 끼리끼리 벗을 택하여 사(寺)(절간. 불교의 건물) 관(觀)(도교의 건물)으로 가서 공부하고 아래로는 졸오(卒俉) 동치(童穉)들도 역시 향(鄕)선생에게 배운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으로 보면 그 당시 서당(書堂)이 많이 있어 지방 마을 사람들의 자제교육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Ⅵ.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1. 성립
- 고려 초 광종9년에 귀화한 후주인 쌍기의 건의로 성립되었다.
-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지공거(시험관)가 되었다.
2. 배경
고려의 과거제도는 왕권확립이라는 필요성에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다.
3. 형태
- 과거를 동당감시(東堂監試)라고 했다.
- 초기의 과거는 동당감시만 합격되는 단일제
- 고려 말에 이르러 원나라의 \'향시\', \'회시\', \'전시\'의 삼층제가 확립되었다.
4. 내용과 종류
1) 제술과(진사과)
문과시험으로 경의, 시, 부, 송, 책, 논 등의 문예
2) 명경과(생원과)
문과시험으로 서경, 역경, 시경, 춘추, 예기 등의 유교 경전
3) 잡과(의복과)
기술관 시험으로 의학, 천문, 음양지리 등
4) 승과
승려 등용시험으로 교종시와 선종시로 구별
5. 응시자격
신분적 제한은 두지 않았지만 천민을 제외한 모든 일반서민에게도 자격을 주었다.
6. 과거의 특징
좌주문생제도(座主門生制度)란 지공거와 급제자는 좌주와의 관계를 맺어 급제자는 문생의 예를 지켰는데, 부자 관계와 같았다.
7. 장·단점
1) 장점
능력본위의 관리 등용했다.
2) 단점
교육기관이 과거준비기관으로 변질, 폭넓은 학문의 발전 제한, 부정부패 조장, 교육의 귀족화 또는 특권화 및 유교경전을 암기하는 주입식 교육 등이다.
참고문헌
◎ 김영우·서영현·이항재·피정만·한규원, 교육사철학, 교육연구
◎ 목영해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2006
◎ 신천식, 고려 교육제도사 연구 운영적 측면에서, 관동사학 제2집, 1984
◎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1998~2000
◎ 임동철, 고려전기의 국자감에 관한 연구,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1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방미디어, 2001
◎ 한국교육사 안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85
Ⅵ.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1. 성립
- 고려 초 광종9년에 귀화한 후주인 쌍기의 건의로 성립되었다.
-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지공거(시험관)가 되었다.
2. 배경
고려의 과거제도는 왕권확립이라는 필요성에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다.
3. 형태
- 과거를 동당감시(東堂監試)라고 했다.
- 초기의 과거는 동당감시만 합격되는 단일제
- 고려 말에 이르러 원나라의 \'향시\', \'회시\', \'전시\'의 삼층제가 확립되었다.
4. 내용과 종류
1) 제술과(진사과)
문과시험으로 경의, 시, 부, 송, 책, 논 등의 문예
2) 명경과(생원과)
문과시험으로 서경, 역경, 시경, 춘추, 예기 등의 유교 경전
3) 잡과(의복과)
기술관 시험으로 의학, 천문, 음양지리 등
4) 승과
승려 등용시험으로 교종시와 선종시로 구별
5. 응시자격
신분적 제한은 두지 않았지만 천민을 제외한 모든 일반서민에게도 자격을 주었다.
6. 과거의 특징
좌주문생제도(座主門生制度)란 지공거와 급제자는 좌주와의 관계를 맺어 급제자는 문생의 예를 지켰는데, 부자 관계와 같았다.
7. 장·단점
1) 장점
능력본위의 관리 등용했다.
2) 단점
교육기관이 과거준비기관으로 변질, 폭넓은 학문의 발전 제한, 부정부패 조장, 교육의 귀족화 또는 특권화 및 유교경전을 암기하는 주입식 교육 등이다.
참고문헌
◎ 김영우·서영현·이항재·피정만·한규원, 교육사철학, 교육연구
◎ 목영해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2006
◎ 신천식, 고려 교육제도사 연구 운영적 측면에서, 관동사학 제2집, 1984
◎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1998~2000
◎ 임동철, 고려전기의 국자감에 관한 연구,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1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방미디어, 2001
◎ 한국교육사 안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85
추천자료
고려시대의 교육·과거·음서
고려시대의 교육과 학교제도
[조선]조선시대 교육기관 관학 성균관, 조선시대 교육기관 관학 사부학당, 조선시대 교육기관...
고려시대 교육기관 관학 국자감, 고려시대 교육기관 관학 학당, 고려시대 교육기관 관학 향교...
고려시대교육 개요,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국자감,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학당, 고려시대교...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국자감,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학당,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고려시대교육]고려시대교육의 학제, 고려시대교육의 교육사상가, 고려시대교육의 사회교육, ...
[고려시대 국자감]고려시대 국자감의 특징, 고려시대 국자감의 성격, 고려시대 국자감의 목적...
[학당 교육적 의의][학당 특징][배재학당 역사][배재학당 교육과정][영어학교][이화학당]학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