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의 흐름과 주요 이론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 정치의 흐름과 주요 이론 정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914 세계 제 1차대전

1920~1940 : 이상주의 by 윌슨(W.Wilson) ,타넨바웅(F.Tannenbaum)

1939 : 세계제2차대전 발발

1940~1960 : 전통적 현실주의 by 모겐소(H.J.Morgenthau) , 니부어 냉전시작과 핵무기 경쟁(balance of terror), 세계 전쟁의 재발 가능성

1950년대의 기능주의 by 미트라니(David Mitrany) -> 자유주의의 기반

1960년대의 신기능주의 by 하스(Ernst Hass), 칼도이치(Karl W. Deutsch), 슈미터(Joseph Schmitter), 나이(Joseph Nye Jr.), ->자유주의의 기반

1972 닉슨과 모택동의 정상회담(데탕트)

1970‘s 자유주의의 시대

1979 소련의 아프간 침공, 이란의 미 대사관 점거 및 신냉전의 시작

1980~ : 신현실주의 by 왈츠(Waltz)-> 『Man, the stats and war』, 길핀(R.Gilpin)

1970년대 이후 : 신자유제도주의 by 코헤인(Robert O. Keohane), 프리드만(M. Friedman), 하이예크(F. V. Hayek)

1970~80 상호 의존론(자유주의적 갈래)

맑시즘 by 맑스의 『자본론』, 엥겔스

제국주의론 by레닌

종속이론

세계체제론

네오 맑시즘 by 안토니오 그람시

구성주의 - 페미니즘, 비판이론, 포스트모더니즘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 구성주의의 갈래

본문내용

업무를 분리하기 어렵고, 엘리트의 의식적 통합노력을 강조
국가간의 자원의 공유를 인정하고 이를 위한 주권의 일부를 초국적 제도에 양도하는 것을 핵심, 제도에 포함된 국가는 제도를 통한 지역적 문제해결과 함께 국정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
프랑스의 나토 탈퇴와 미국의 베트남전 참전, 서독과 일본의 경제적 부상, 1,2차 오일쇼크로 세계의 모습이 통합과 거리가 멀어진다. 그러나 1988년 유럽단일의정서와 1933년 마스트리히트조약으로 유럽통합이 급진전하면서 신기능주의에 대한 관심 고조
도이취는 통합의 동인으로 거래의 증가와 국경을 넘는 커뮤니케이션 주목
즉 기능주의가 파급효과를 무의식적인 것이고 자동적으로 보는데 반해, 신기능주의는 파급을 학습에 의한 자동적 현상이 아닌 정치적 의지를 필요로 한다고 본다.
1972 닉슨과 모택동의 정상회담(데탕트)
1970‘s 자유주의의 시대
사상적 배경 : 로크(J. Locke)
1. 공화주의적 자유주의 by 루소
개인의 자유보호에 근거하는 공화주의 내지 민주주의 체제가 전제주의 체제보다 평화지향적
2. 상업적 자유주의 by 애덤 스미스
교역의 확대가 국제 평화 유도, 상호 의존의 심화와 전쟁의 위험 감소
3. 규율적 자유주의 (제도적 자유주의) by 칸트, 로크
국가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규칙과 제도가 평화의 달성을 위해 중요, 칸트의 『영구평화론』 제도를 통한 민주주의 발전과 국제평화기여
자유주의의 기본 가정
1. 국가만이 국제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자는 아니다.
2. 이타심이 아닌 이기심에 의해 국가간 협력이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국제 협력이 가능한 이유는 각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합리적 행위자이기 때문이다.
3. 하위정치의 자율성에 대한 강조이다. 즉, 안보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나 환경, 인권, 빈곤과 같은 문제에 대한 강조이다.
1979 소련의 아프간 침공, 이란의 미 대사관 점거 및 신냉전의 시작
1980~ : 신현실주의 by 왈츠(Waltz)-> 『Man, the stats and war』, 길핀(R.Gilpin)
1. 단일한 행위자로서의 국가
국제적 세력분포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며, 국가간 내적, 질적 차이는 당구대의 당구공처럼 결정된것(주어진것)이라고 본다. ->비판 : 국내의 내적, 질적 차이에 대한 고려 미흡
2. 통합된 행위자로서의 국가
비판 :국가 이익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의문과 더불어 ‘제2이미지 역전’이론에서와 같이 국내의 이익집단 간의 갈등으로 인한 국내정치를 국제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비판, ‘지배연합이론’에 의한 한 국가의 정치는 지배연합과 피지배연합의 갈등의 결과
3. 합리적 행위자로서의 국가
비판: 현실의 정치 상황 설명 미흡(후세인의 미국과의 전투나 미국의 진주만 공습)
현실의 상황은 불완전정보상태이고, 또한 불확실성이 존재
4. 무정부적 국제체제
왈츠는 국제 정치는 무정부상태이고 국가간의 관계는 수평적으로 보았으나 길핀의 ‘패권안정론’을 통해 보면 국가간의 관계는 수평적이지 않으며 준정부적 역할을 하는 헤게모니국가가 존재할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28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